한국의 포유동물
한국의 포유동물 또는 한국의 포유류는 총 7목 102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한국 전체가 반도이므로 대륙의 대형포유동물과 해양의 대형 고래들이 서식한다. 포유동물의 다양성은 일본과 비교하면 종수에서는 적지만 호랑이, 표범 등 대형동물이 일본에서는 서식하지 않는 것과 대조된다. 현재 한반도에서는 멸종위기에 처한 종류는 호랑이를 비롯한 22종이며 대부분이 대형포유동물이 속해있다. 주로 번성하는 포유동물은 멧돼지, 고라니, 너구리, 청서등 적응력이 뛰어나고 번식력이 매우 강한 종류이다.
고래목
[편집]고래는 고래목에 속하는 포유류의 총칭으로, 수염고래류와 이빨고래류으로 나뉜다. 고래목은 수중생활에 가장 잘 적응한 포유류이다. 몸은 유선형이며, 앞다리는 지느러미로 진화하였다. 뒷다리는 퇴화하였는데, 척추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몸 속에 작은 흔적이 남아있다. 꼬리지느러미는 수평방향이다. 몸에 털이 거의 없으며 두꺼운 피하지방이 체온을 보호한다.
- 수염고래과 (Balaenopteridae)
- 귀신고래과 (Eschrichtiidae)
- 참돌고래과 (Delphinidae)
- 쇠돌고래과 (Phocoenidae)
- 향고래과 (Physeteridae)
- 부리고래과 (Ziphidae)
고슴도치목
[편집]이전에는 땃쥐목과 함께 식충목으로 분류되었으나 지금은 독자적인 목으로 분류한다 우리나라에는 고슴도치과 1속 1종만이 서식하고 있다.
# | 과 | 속 | 사진 | 일반명 | 학명 | 선호되는 서식지 | 분포 | 상태 | 기타 |
---|---|---|---|---|---|---|---|---|---|
1 | 고슴도치과 (Erinaceidae) |
고슴도치속 | 고슴도치 | Erinaceus amurensis (Schrenk, 1859) |
낙엽수림, 혼합림[1] | 한반도 전역 |
땃쥐목
[편집]이전에는 식충목으로 분류되었으나 식충목이 다계통군으로 밝혀진뒤에 고슴도치목과 같이 목(目)이 따로 분류되었다. 시력이 거의 퇴화되고 후각과 청각을 주로 이용한다. 땃쥐, 뒤쥐, 두더지가 여기에 속한다
# | 과 | 속 | 사진 | 일반명 | 학명 | 선호되는 서식지 | 분포 | 상태 | 기타 |
---|---|---|---|---|---|---|---|---|---|
1 | 땃쥐과 (Soricidae) |
갯첨서속 | 갯첨서 | Neomys fodiens (Pennant, 1771) |
강기슭,고지대 호수[3] | 북한 북부 지역[4] | |||
2 | 뒤쥐속 | 긴발톱첨서 | Sorex unguiculatus (Dobson, 1890) |
다습한 지역 | 북한 북동부.[5] | ||||
3 | 꼬마뒤쥐 | Sorex minutissimus (Zimmermann, 1780) |
1500m 이상 산악지역[7] | 한반도 중부 및 북부[8] | |||||
4 | 뒤쥐 | Sorex caecutiens (Laxmann, 1788) |
산악 지역 | 북한 북부 지역[9] | |||||
5 | 백두산뒤쥐 | Sorex daphaenodon (Thomas, 1907) |
한대림과 고산 목초지 | 백두산 일원[10] | |||||
6 | 쇠뒤쥐 | Sorex gracillimus (Thomas, 1907) |
침엽수림과 고산 지역 | 북한 북동부[11] | |||||
7 | 큰발뒤쥐 | Sorex isodon (Turov, 1924) |
산림 지역 | 백두대간[13] | |||||
8 | 큰첨서 | Sorex mirabilis (Ognev, 1937) |
1500m 이상 습지[7] | 한반도 중부 및 북부 | |||||
9 | 땃쥐속 | 땃쥐 | Crocidura lasiura (Dobson, 1890) |
널리 분포. | 한반도 전역 | ||||
10 | 작은땃쥐 | Crocidura suaveolens (Pallas, 1811) |
습한 낙엽수림 | 울릉도를 포함한 한반도 전역[3] | |||||
11 | 두더지과 (Talpidae) |
두더지속 | 두더지 | Mogera robusta (Nehring, 1891) | 고지대 다습한 숲 | 한반도 전역 제주도와 울릉도에서는 발견되지 않음 |
박쥐목
[편집]한국에 서식하는 박쥐는 지금까지 조사된 바로는 4과[14] 10속 24종 6아종[15] 이 알려져 있다.
# | 과 | 속 | 사진 | 일반명 | 학명 | 선호되는 서식지 | 분포 | 상태 | 기타 |
---|---|---|---|---|---|---|---|---|---|
1 | 관박쥐과 (Rhinolophidae) |
관박쥐속 | 관박쥐
제주관박쥐 |
Rhinolophus ferrumequinum ferrumequinum (Schreber, 1774) Rhinolophus ferrumequinum quelpartis (Mori, 1933 ) |
동굴, 폐광 | 한반도 전역
제주도 |
|||
2 | 긴가락박쥐과 (Miniopteridae) |
긴가락박쥐속 | 긴가락박쥐 / 긴날개박쥐 |
Miniopterus fuliginosus (Hodgson, 1835) |
여름에는 초지와 숲, 겨울에는 동굴 | 전역에 분포 | |||
3 | 작은긴날개박쥐 | Miniopterus fuscus | |||||||
4 | 애기박쥐과 (Vespertilionidae) |
관코박쥐속 | 관코박쥐 | Murina leucogaster (Milne-Edwards, 1872) |
산림의 나무구멍 동굴 |
남한엔 소수의 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짐 개체수 파악 자료 없음 |
|||
5 | 작은관코박쥐 | Murina aurata (Milne-Edwards, 1872) |
알 수 없음 |
|
|||||
6 | 멧박쥐속 | 멧박쥐 | Nyctalus aviator (Thomas, 1911) |
전역에 분포 | |||||
7 | 작은멧박쥐 | Nyctalus noctula (Thomas, 1911) |
|||||||
8 | 애기박쥐속 | 북방애기박쥐 | Vespertilio murinus (Linnaeus, 1758) |
여름에는 고지대 숲과 초지 | 북한 함경북도 | ||||
9 | 안주애기박쥐 | Vespertilio superans (Thomas, 1899) |
중부 이북.[22] | ||||||
10 | 윗수염박쥐속 | 긴꼬리윗수염박쥐 | Myotis frater (G.M. Allen, 1923) |
숲 | 중부 이북[23] | ||||
11 | 물윗수염박쥐 / 우수리박쥐 |
Myotis daubentonii (Kuhl, 1817) |
물가 | 제주도 포함 한국 전역 | |||||
12 | 붉은박쥐 / 오렌지윗수염박쥐 / 황금박쥐 |
Myotis rufoniger (Tomes, 1858)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25] |
|
|||||
13 | 윗수염박쥐 | Myotis mystacinus (Kuhl, 1817) |
숲 | 제주도와 울릉도 포함 전국[26] | |||||
14 | 작은윗수염박쥐 | Myotis ikonnikovi (Ognev, 1912) |
제주도 포함 전국 | ||||||
15 | 큰발윗수염박쥐 | Myotis macrodactylus (Temminck, 1840) |
제주도 포함 전국 | ||||||
16 | 흰배윗수염박쥐 | Myotis bombinus[27] (Thomas, 1906) |
동굴에서 동면. | 제주도 포함 전국 | |||||
17 | 졸망박쥐속 | 고바야시박쥐 / 고바야시박쥐 |
Eptesicus kobayashii (Mori, 1928) |
한국 중서부.[30] | |||||
12 | 작은졸망박쥐 생박쥐 |
Eptesicus nilssonii (Keyserling et Blasius, 1839) |
남한 북서부 경기도와 북한 북동부 함경북도에서 발견됨. | ||||||
13 | 문둥이박쥐 굵은가락졸망박쥐 |
Eptesicus serotinus (Schreber, 1774) |
지붕, 벽의 횃대 | 한국 북서부에서 가장 흔함. | |||||
15 | 집박쥐속 | 집박쥐 | Pipistrellus abramus[32]
|
전역에 분포 | |||||
10 | 작은집박쥐 | Pipistrellus endoi | |||||||
집박쥐속 | 검은집박쥐 | Pipistrellus savii[33] (Bonaparte, 1837) |
동굴의 횃대[34] | 전역에 분포 | |||||
19 | 토끼박쥐속 | 토끼박쥐 | Plecotus auritus (Linnaeus, 1758) |
고산 지대 | 북한 북부 태백산과 백두산 전역. | ||||
20 | 큰귀박쥐과 (Molossidae) |
큰귀박쥐속 | 큰귀박쥐 | Tadarida insignis |
설치목
[편집]
설치류는 쥐목 포유류의 총칭이다. 앞니는 위아래 모두 한 쌍뿐이며 일생 동안 자란다. 아래턱을 위아래로 움직여서 물건을 갉는다. 포유류 중 종수, 개체수가 가장 많다. 앞뒷다리 모두 5개의 발가락이 있고, 발톱은 갈고리 모양이나 흔적만이 남아 있거나, 없는 경우도 있다. 앞니는 앞면만 에나멜질로 덮여 있으며, 끝은 끌처럼 날카롭다. 앞니와 앞어금니 사이가 떨어져 있다. 다람쥐·비버·쥐·호저·카피바라·집쥐·생쥐·햄스터·레밍·하늘다람쥐·날다람쥐·청서·프레리도그·기니피그·사향뒤쥐를 비롯하여 1,730여 종이 알려져 있다.
- 비단털쥐과 (Cricetidae)
- 쥐과 (Muridae)
- 뛰는쥐과 (Dipodidae)
- 청설모과(다람쥐과) (Sciuridae)
토끼목
[편집]# | 과 | 속 | 사진 | 일반명 | 학명 | 선호되는 서식지 | 분포 | 상태 | 기타 |
---|---|---|---|---|---|---|---|---|---|
1 | 우는토끼과 | 우는토끼속 | 우는토끼 | Ochotona coreana | 고산 목초지, 1000–2500 m. | 한국 북부 | |||
2 | 토끼과 (hyperborea) |
산토끼속 | 만주토끼 | Lepus mandschuricus | 고지대 산악림 | 한국 북부 | |||
3 | 멧토끼 | Lepus coreanus | 저고도에 널리 분포[36] | 본토 전역에 분포.[35] |
식육목
[편집]식육목(食肉目)은 260여종의 포유류를 포함하는 목이다. 자이언트판다와 레서판다만이 예외적으로 초식동물이고 곰과 여우가 잡식성이라는 것을 제외하면 모든 종이 거의 육식만을 하는 육식동물이다. 식육목 동물에는 고유한 두개골 모양이 있으며, 송곳니와 열육치(裂肉齒)가 발달해 있다. 이들은 동물을 잡아먹기에 알맞게 눈, 코 등의 감각 기관이 발달되어 있으며, 지능이 높고 행동이 빠르다.
# | 과 | 속 | 사진 | 일반명 | 학명 | 선호되는 서식지 | 분포 | 상태 | 기타 |
---|---|---|---|---|---|---|---|---|---|
개과 (Canidae) |
개속 | 늑대 | Canis lupus (Linnaeus, 1758) |
숲 | 백두산 지역 남한에서는 절멸된 것으로 추정됨 |
|
한반도에는 아종인 한국늑대(Canis lupus chanco)가 서식함 | ||
너구리속 | 너구리 | Nyctereutes procyonoides (Gray, 1834) |
나무가 자란 언덕 | 본토 전역에 분포. | 한반도 중부, 남부에는 한국너구리(Nyctereutes procyonoides ssp. koreensis)가 서식하며 한반도 동북부에는 우수리너구리(Nyctereutes procyonoides ssp. ussuriensis)가 서식함. | ||||
승냥이속 | 승냥이 | Cuon alpinus alpinus[40] (Pallas, 1811) |
밀림, 고산 지대 | 한반도 북부에는 우수리승냥이(Cuon alpinus alpinus)가 서식함 | |||||
여우속 | 여우 | Vulpes vulpes peculiosa | 덤불이 우거진 지역과 숲의 가장자리 | 북한, 중부지방, 남부지방 | 한국 아종 | ||||
고양이과 (Felidae) |
삵속 | 삵 | Prionailurus bengalensis euptilurus[44] (Kerr, 1792) |
밀림 | 한반도 전역 | ||||
스라소니속 | 스라소니 | Lynx lynx wrangeli (Linnaeus, 1758) |
산지림 지대 | 북한 함경북도와 자강도 | |||||
표범속 | 표범 | Panthera pardus orientalis (Schlegel, 1857) |
고지대 밀림 | 한국 북부 | 아무르 아종 | ||||
호랑이 | Panthera tigris altaica (Temminck, 1844) |
산악 지대 | 북한 북동부 함경도 | 시베리아 아종 | |||||
바다사자과 | 물개속 | 물개 | Callorhinus ursinus (Linnaeus, 1758) |
해안과 바다 | 동해 | ||||
바다사자과 | 큰바다사자속 | 큰바다사자 | Eumetopias jubatus (Schreber, 1776) |
해안과 바다 | 황해 북부와 동해 | ||||
바다사자과 | 바다사자속 | 바다사자 | Zalophus japonicus[52] (Peters, 1866) |
암석 해안 | 1951년 독도에서 마지막으로 관찰. | ||||
물범과 | 물범속 | 잔점박이물범 | Phoca vitulina richardii (Linnaeus, 1758) |
해안과 바다 | 동해 북부 | ||||
점박이물범 | Phoca largha (Pallas, 1811) |
해안과 바다 | 황해, 동해, 대한해협 전역; 백령도에 대량 서식지 |
- 족제비과 (Mustelidae)
우제목
[편집]소목(소目) 또는 우제목(偶蹄目)은 초식 포유류이다. 발가락의 수는 2개 또는 4개인데 대부분 셋째발가락이나 넷째발가락이 크며, 그 사이가 발의 주축이 된다. 뿔은 매년 나는 것, 또는 속이 비어 있는 것 등이 있으며, 없는 것도 있다. 한편 멧돼지와 같이 되새김을 하지 않는 것이 있는가 하면, 되새김을 하는 것도 있다. 멧돼지·돼지·하마·낙타·사슴·기린·양·염소·물소·소 등을 포함하여 약 220여 종이 알려져 있다.
# | 과 | 속 | 사진 | 일반명 | 학명 | 선호되는 서식지 | 분포 | 상태 | 기타 |
---|---|---|---|---|---|---|---|---|---|
멧돼지과 | 멧돼지속 | 멧돼지 | Sus scrofa ussuricus | 산림 | 한반도 전역 | 동북아시아 아종, 과거에는 한반도에 서식하던 개체군을 Sus scrofa coreanus로 별개의 아종으로 여겼으나 현재는 Sus scrofa ussuricus으ㅣ 동종이명으로 됨. | |||
사향노루과 | 사향노루속 | 사향노루 | Moschus moschiferus | 산림 | 북한 지역 및 강원도 | ||||
사슴과 | 고라니속 | 고라니 |
Hydropotes inermis argyropus | 낮은 산 강가 |
한반도 전역 | 한국 아종 | |||
노루속 | 노루 | Capreolus pygargus | 숲 가 | 한국 전역, 울릉도 제외 |
시베리아 종 | ||||
사슴속 | 대륙사슴 | Cervus nippon mantchuricus | 숲 | 북한 일부 지역(과거에는 한반도 전역, 제주도 포함) | 만주 아종
과거에는 한반도에는 Cervus nippon hortulorum가 북한에는 Cervus nippon mantchuricus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현재는 Cervus nippon hortulorum는 Cervus nippon mantchuricus의 동종이명임. 현재 한국에서는 내륙 및 제주도에서 발견되는 아종은 대부분 대만아종(Cervus nippon taiouanus)이거나 일부 일본 야쿠아종(Cervus nippon yakushimae) 또는 교잡임.[59] | ||||
백두산사슴 (말사슴) |
Cervus canadensis xanthopygus | 와피티사슴의 만주, 및 연해주 아종
최근 제주도에 서식하는 붉은사슴이라는 집단이 있는데, 언론에서는 Cervus elaphus라고 하지만 중국 쓰촨과 티벳에 서식하는 Cervus elaphus 아종은 없기 때문에 실제로는 유럽에 서식하는 Cervus elaphus이 아닌 Cervus canadensis macneilli로 판단된다. 한때, Cervus canadensis는 Cervus elaphus 아종이었던 시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즉 현재 제주도에 서식하는 붉은사슴은 Cervus canadensis macneilli이다. | |||||||
소과 | 산양속 | 산양 | Naemorhedus caudatus raddeanus[60] | 높은 산 | 태백산맥 북부 DMZ[61] |
각주
[편집]- ↑ Won & Smith (1999), p. 6.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Won & Smith (1999), p. 7.
- ↑ 가 나 다 라 마 Won & Smith (1999), p. 9.
- ↑ There are also unverified reports from Seoraksan in South Korea. Won (2004), p. 29.
- ↑ May also have been collected from Jirisan, but this has not been confirmed. Won (2004), p. 35.
- ↑ Won & Smith (1999), p. 10-11.
- ↑ 가 나 Won (2004), p. 34.
- ↑ Has been recorded only from Seoraksan and Odaesan. Won & Smith (1999), p. 10.
- ↑ Also reported from Mungyeong, South Korea.
- ↑ The first specimen was found there in 2001. Won (2004), p. 31.
- ↑ There is also an unconfirmed 1983 report from Jirisan in South Korea. Won (2004), p. 32.
- ↑ Won & Smith (1999), p. 10.
- ↑ The first specimen was taken on Odaesan in South Korea in 1999. Won (2004), p. 33; cites Han et al. (2000), "New records of two Sorex species (Soricidae) from South Korea", Mammal Study 25:2, 141-144.
- ↑ 손성원,《박쥐》,87쪽 2001,지성사, 손성원은 이 책에서 3과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Miniopterus을 예전에는 긴날개박쥐아과(Miniopterinae)로 분류했만, 이제는 별도의 과로 분류하고 있기 때문에 3과가 아닌 4과이다.
- ↑ 손성원,《박쥐》,87쪽,2001,지성사
- ↑ 가 나 다 Won & Smith (1999), p. 11.
- ↑ 가 나 다 라 Won & Smith (1999), p. 15.
- ↑ “Murina aurata”.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6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1996. 2006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Nyctalus aviator”.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6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1996. 2006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Won & Smith (1999), p. 13.
- ↑ 가 나 다 라 마 Won & Smith (1999), p. 14.
- ↑ There are records from the provinces of Gyeonggi, South Korea, and South Pyongan, 북한. However, the only recent record is from Anju in 북한.
- ↑ Also reported from Masan, South Korea, according to Won (2004), p. 57.
- ↑ “Myotis frater”.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6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1996. 2006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Won (2004), p. 61.
- ↑ Won (2004), p. 54.
- ↑ Formerly considered a subspecies of Myotis nattereri. Won & Smith (1999), p. 12.
- ↑ “Myotis bombin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6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1996. 2006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Won & Smith (1999), p. 12.
- ↑ Kobayashi's Bat has been reported from Pyongyang, Kaesong, and Seoul, according to Won (2004), p. 85.
- ↑ “Eptesicus kobayashi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6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1996. 2006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Sometimes considered to belong to Pipistrellus javanicus
- ↑ Often given as Hypsugo savii, or considered to be a separate species Pipistrellus coreensis. Won (2004), p. 72; Won & Smith (1999), p. 14.
- ↑ Won (2004), p. 72.
- ↑ 가 나 다 라 Won & Smith (1999), p. 28.
- ↑ Seldom seen at elevations above 500 meters, according to Ministry of Environment (2005). 〈멧토끼〉. 《한국고유생물종도감 [Hanguk goyu saengmuljong dogam] [English title: Endemic species of Korea]》 (PDF). 6쪽. 2007년 6월 2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22일에 확인함.
- ↑ 가 나 Won & Smith (1999), p. 7. One of only 3 mammal species legally hunted in South Korea.
- ↑ “Canis lup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6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4. 2006년 12월 2일에 확인함.
- ↑ “Nyctereutes procyonoide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6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4. 2006년 12월 2일에 확인함.
- ↑ Commonly referred to C. a. alpinus. Won & Smith (1999), p. 16.
- ↑ “Cuon alpin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6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4. 2006년 10월 21일에 확인함.
- ↑ “Vulpes vulpe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6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4. 2006년 12월 2일에 확인함.
- ↑ Won (2004, p. 151); Won & Smith (1999), p. 7.
- ↑ Given as Felis bengalensis in older sources and in Won (2004).
- ↑ “Prionailurus bengalensi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6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2. 2006년 12월 2일에 확인함.
- ↑ Won & Smith (1999), p. 18.
- ↑ “Lynx lynx”.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6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2. 2006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Panthera pardus ssp. orientali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6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1996. 2006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Panthera tigris ssp. altaica”.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6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1996. 2006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Callorhinus ursin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6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1996. 2006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Pop. estimated at 1.3 million in Won (2004), p. 191.
- ↑ Sometimes treated as a subspecies of the California Sea Lion, Zalophus californianus japonicus.
- ↑ Designated Natural Monument #331 on November 4, 1982. Won (2004), p. 194.
- ↑ “Hydropotes inermi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6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1996. 2006년 10월 5일에 확인함.
- ↑ “Capreolus pygarg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6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1996. 2006년 10월 5일에 확인함.
- ↑ Won & Smith (1999), p. 21.
- ↑ “Cervus nippon”.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6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1996. 2006년 12월 1일에 확인함.
- ↑ The Samjiyon population has been Designated Natural Monument 349, and the Paegam population 천연기념물 362. “삼지연사슴”.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ebsite》. 2007년 9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2월 1일에 확인함.
- ↑ “제주대학교 오홍식 교수팀, 한라산 서식 꽃사슴 아종(亞種) 최초 규명”. 2022년 5월 1일. 2023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 Given as Nemorhaedus goral in Won (2004). The Korean population is generally referred to N. c. raddeanus Heude.
- ↑ Won (2004), p. 273; Won & Smith (1999), p. 21. It was once widespread across the Taebaek and Rangrim ranges, but the population had fallen to around 40 by 1990.
- ↑ “Naemorhedus caudatus ssp. raddean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6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1996. 2006년 10월 5일에 확인함.
- ↑ The goral of Tanchon is designated North Korean Natural Monuments 293. [1] Archived 2007년 9월 30일 - 웨이백 머신
- ↑ Designated South Korean Natural Monuments #217 on November 20, 1968. “산양”.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ebsite》. 2007년 9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2월 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