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방큰돌고래
![]() | ||||||||||||||||||||
![]() | ||||||||||||||||||||
보전 상태 | ||||||||||||||||||||
---|---|---|---|---|---|---|---|---|---|---|---|---|---|---|---|---|---|---|---|---|
![]() 정보부족(DD),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Tursiops aduncus (Ehrenberg, 1833) | ||||||||||||||||||||
![]() 남방큰돌고래의 분포 지역 | ||||||||||||||||||||
이명 | ||||||||||||||||||||
Delphinus aduncus Ehrenberg, 1833 |
남방큰돌고래(영어: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 학명: Tursiops aduncus) 또는 인도태평양병코돌고래는 큰돌고래속에 속하는 돌고래 종의 하나이다.[2] 이 돌고래는 몸길이 2.6m, 몸무게 230kg까지 성장한다.[3] 인도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중국 남부 연안, 홍해 그리고 아프리카 동부 연안 ,제주도 연안 등에서 서식한다.[3] 등 쪽은 어두운 회색을 띠며, 배 쪽은 회색 반점과 함께 밝은 회색 또는 흰색에 가까운 색깔을 띤다.[3]
1998년까지는 큰돌고래속(병코돌고래속) 종으로 큰돌고래( T. truncatus)가 유일한 것으로 간주해왔으나, 1998년에 남방큰돌고래를 별도의 종으로 인정했다.[4][5] 남방큰돌고래는 일반적으로 큰돌고래(커먼큰돌고래)보다 작고, 부리는 더 길고 균형이 잡혀 있으며, 배 쪽과 아래 쪽에 반점을 갖고 있다.[4][6] 또한 큰돌고래가 각각의 턱에 21~24개의 이빨을 갖고 있는 것에 비해, 남방큰돌고래는 23~29개로 더 많은 이빨을 갖고 있다.[6] 남방큰돌고래가 커먼큰돌고래보다는 알락돌고래속(Stenella)과 참돌고래속(Delphinus)의 돌고래 종들, 특히 대서양알락돌고래(S. frontalis)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추정하는 증거도 있다.[4][7]
함께 읽기[편집]
각주[편집]
- ↑ Hammond, P.S.; Bearzi, G.; Bjørge, A.; Forney, K.; Karczmarski, L.; Kasuya, T.; Perrin, W.F.; Scott, M.D.; Wang, J.Y.; Wells, R.S.; 외. (2012). “Tursiops aduncus”. 《IUCN 적색 목록》 (IUCN) 2012: e.T41714A17600466. doi:10.2305/IUCN.UK.2012.RLTS.T41714A17600466.en. 2018년 1월 16일에 확인함.
- ↑ Mead, J.G.; Brownell, R.L., Jr. (2005). 〈Order Cetacea〉 [고래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723–743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가 나 다 Shirihai, H. and Jarrett, B. (2006). 《Whales Dolphins and Other Marine Mammals of the World》. 159–161쪽. ISBN 0-691-12757-3.
- ↑ 가 나 다 Wells, R. and Scott, M. (2002). 〈Bottlenose Dolphins〉. Perrin, W.; Wursig, B. and Thewissen, J.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Academic Press. 122–127쪽. ISBN 0-12-551340-2.
- ↑ Möller Luciana M., Beheregaray Luciano B. 2001. Coastal bottlenose dolphins from southeastern Australia are Tursiops aduncus according to sequences of the mitochondrial DNA control region. Marine Mammal Science 17(2): 249-263.
- ↑ 가 나 Reeves, R.; Stewart, B.; Clapham, P.; Powell, J. (2002). 《Guide to Marine Mammals of the World》. 362–365쪽. ISBN 0-375-41141-0.
- ↑ Leduc, R., Perrin, W. & Dizon, E. (1998년 8월 18일).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the Delphinid Cetaceans Based on Full Cytochrome B Sequences”. 《Marine Mammal Science》 15 (3): 619–648. doi:10.1111/j.1748-7692.1999.tb00833.x. 2008년 10월 5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Cockcroft VG, Ross GJB. 1990. Age, growth, and reproduction of bottlenose dolphins Tursiops truncatus from the east coast of southern Africa. Fishery Bulletin 88(2): 289-302.
- Moller Luciana M., Beheregaray Luciano B., Allen Simon J., Harcourt Robert G. 2006. Association patterns and kinship in female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s (Tursiops aduncus) of southeastern Australia. Behavioural Ecology Sociobiology 61: 109-117.
- Nowacek Stephanie M., Wells Randall S., Solow Andrew R. 2001. Short-term effects of boat traffic on bottlenose dolphins, Tursiops truncatus, in Sarasota Bay, Florida. Marine Mammal Science 17(4): 673-688.
- Schroeder, J. Pete. Breeding Bottlenose Dolphins in Captivity. In The Bottlenose Dolphin, edited by Stephen Leatherwood and Randall R. Reeves, pp. 435–446. San Diego: Academic Press, Inc., 1990.
- Shane Susan H., Wells Randall S., Wursig Bernd. 1986. Ecology, behaviour and social organization of the bottlenose dolphin: a review. Marine Mammal Science 2(1): 34-63.
- Urian, K.W., Duffield D.A., Read A.J., Wells R.S., Shell E.D. 1996. Seasonality of Reproduction in Bottlenose Dolphins, Tursiops truncatus. Journal of Mammalogy, 77(2): 394-403.
- Wells, Randall S., Scott Michael D., Irvine Blair A. The Social Structure of Free-ranging Bottlenose Dolphins. In Current Mammalogy, Volume 1, edited by H.H. Genoways, pp. 247– 305. New York: Plenum Press, 1987.
외부 링크[편집]
- Convention on Migratory Species page on the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
- Official webpage of the Memorandum of Understanding for the Conservation of Cetaceans and Their Habitats in the Pacific Islands Region
이 글은 고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