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돌고래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
![]() 필돌고래 | ||||||||||||||||||||
보전 상태 | ||||||||||||||||||||
---|---|---|---|---|---|---|---|---|---|---|---|---|---|---|---|---|---|---|---|---|
![]() 정보부족(DD),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Lagenorhynchus australis (Peale, 1848) | ||||||||||||||||||||
필돌고래의 분포 지역 |
필돌고래(Lagenorhynchus australis)는 참돌고래과 낫돌고래속에 속하는 작은 고래이다.[2] 남아메리카 남단의 티에라델푸에고 제도 주변 해역에서 발견된다.[1]
각주[편집]
- ↑ 가 나 “Lagenorhynchus australi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9년 3월 24일에 확인함. Database entry includes a brief justification of why this species is of data deficient.
- ↑ Mead, J.G.; Brownell, R.L., Jr. (2005). 〈Order Cetacea〉 [고래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723–743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LeDuc, R.G.; Perrin, W.F.; Dizon, A.E. (1999년 7월).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the delphinid cetaceans based on full cytochrome b sequences”. 《Marine Mammal Science》 15: 619–648. doi:10.1111/j.1748-7692.1999.tb00833.x. ISSN 0824-0469.
- May-Collado, Laura; Agnarsson, Ingi (2006). “Cytochrome b and Bayesian inference of whale phylogeny” (PDF).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38: 344–54. doi:10.1016/j.ympev.2005.09.019. ISSN 1055-7903. OCLC 441745572. PMID 16325433. January 2013에 확인함.
- Schevill, W.E.; Watkins, W.A. (1971년 1월 15일). “Pulsed sounds of the porpoise Lagenorhynchus australis”. 《Breviora》 366: 1–10. ISSN 0006-9698. OCLC 80876226.
- National Audubon Society: Guide to Marine Mammals of the World ISBN 0-375-41141-0
-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ISBN 0-12-551340-2
이 글은 고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