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쯔강돌고래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
![]() 사람과 비교한 크기 | ||||||||||||||||||||||
보전 상태 | ||||||||||||||||||||||
---|---|---|---|---|---|---|---|---|---|---|---|---|---|---|---|---|---|---|---|---|---|---|
![]() 절멸(EX),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Lipotes vexillifer Miller, 1918 | ||||||||||||||||||||||
양쯔강돌고래의 분포 |
양쯔강돌고래(Lipotes vexillifer)는 양쯔 강에서만 사는 강돌고래이다. 바이지 또는 바이지툰(중국어: 白鱀豚, 병음: báijìtún)라고도 부른다.
상태[편집]
2006년 12월 4일, 신화통신사는 30여 명의 학자들을 동원한 6주 간의 조사를 통해 양쯔 강에서 양쯔강돌고래가 멸종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12월 13일, 중국정부는 이를 공식확인했다.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인간의 활동으로 멸종한 첫 고래목의 동물이라고 확실시된다. 이 결과는 2007년 8월 7일, 학술지 Biology Letters에 발표되었으므로, 범세계적인 학자들로 구성된 연구단의 폭넓은 추가조사가 없는 한, 이 고래목의 동물은 멸종되었다고 볼 수 있다.
계통 분류[편집]
비-남아시아 강돌고래 |
| |||||||||||||||||||||||||||||||||
각주[편집]
- ↑ Smith, B.D., Zhou, K., Wang, D., Reeves, R.R., Barlow, J., Taylor, B.L. & Pitman, R. (2008). “Lipotes vexillifer”.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2.2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13년 1월 18일에 확인함.
- ↑ Hrbek, Tomas; Da Silva, Vera Maria Ferreira; Dutra, Nicole; Gravena, Waleska; Martin, Anthony R.; Farias, Izeni Pires (2014년 1월 22일). Turvey, Samuel T., 편집. “A New Species of River Dolphin from Brazil or: How Little Do We Know Our Biodiversity”. 《PLOS ONE》 9: e83623. PMC 3898917. PMID 24465386. doi:10.1371/journal.pone.0083623.
이 글은 고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