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점박이물범
![]() | ||||||||||||||||||||||
![]() 잔점박이물범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Phoca vitulina | ||||||||||||||||||||||
잔점박이물범의 분포 지역 |
잔점박이물범 또는 참물범(Phoca vitulina)은 물범의 한 종이다. 북반구 전체의 해안에 넓게 분포한다. 태평양과 대서양 연안을 포함하여 북해와 발트 해 연안에서 발견된다.
참물범은 특유의 V자 모양 콧구멍을 갖고 있으며 몸 색깔은 갈색, 황갈색 또는 회색이다. 귓바퀴가 없어서 귀가 안쪽에 숨겨져 있고, 하얀 수염이 있다. 다 자란 개체는 몸 길이 1.85m에 몸무게 130kg 정도가 된다. 수명은 암컷이 30~35년, 수컷이 20~25년 정도이다. 포식자가 미치지 못하는 바위가 많은 지형, 그리고 먹이가 되는 물고기가 풍부한 지역에 서식한다. 수컷들은 물 속에서 암컷을 놓고 다투며, 암컷은 가장 강한 수컷과 짝짓기를 하여 한 마리의 새끼를 밴다. 새끼는 태어난 지 몇 시간 안에 수영하고 잠수할 수 있으며, 어미의 젖을 먹고 빠른 속도로 성장한다.
점박이물범과 비슷하지만 골격과 생태적으로 차이가 있다.
천적은 범고래, 상어(백상아리, 뱀상어, 청상아리), 큰바다사자다.
참물범의 전 세계 개체수는 40만~50만 마리이며, 어떤 아종은 멸종 위협을 받고 있다. 한때 성행했던 잔점박이물범의 사냥은 이제는 거의 불법화되어 있다.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물범과의 계통 분류이다.[2]
물범과 |
| ||||||||||||||||||||||||||||||||||||||||||||||||||||||||||||||||||||||||||||||||||||||||||||||||||||||||||||
각주[편집]
- ↑ “Phoca vitulina”.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9년 1월 29일에 확인함.
- ↑ Dirk-Martin Scheel, Graham Slater, Sergios-Orestis Kolokotronis, Charles Potter, David Rotstein, Kyriakos Tsangaras, Alex Greenwood, Kristofer M. Helgen: Biogeography and taxonomy of extinct and endangered monk seals illuminated by ancient DNA and skull morphology. ZooKeys 409 (2014), Pages: 1-33, doi: 10.3897/zookeys.409.6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