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피해물범
![]() | ||||||||||||||||||||||
보전 상태 | ||||||||||||||||||||||
---|---|---|---|---|---|---|---|---|---|---|---|---|---|---|---|---|---|---|---|---|---|---|
![]() 위기(EN), IUCN 3.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Pusa caspica Gmelin, 1788 | ||||||||||||||||||||||
![]() 카스피해물범의 분포 지역 |
카스피해물범(Pusa caspica)은 물범중 가장 작은 종에 속하며, 카스피 해에만 서식한다. 해안선뿐만 아니라 호안의 암초에도 발견되며, 유빙에도 서식한다. 겨울등 추운 계절에는 북쪽으로 이동하며, 얼음이 녹기 시작하면 볼가 강이나 우랄 강 하구, 남쪽지역에서도 발견될 수도 있다.
이들이 카스피 해에 고립되어 있는 이유는 분명하지 않다. 어떠한 가설에 의하면 빙하호가 많아질 시기에 이동해 왔다고 한다. 바이칼물범처럼 고리무늬물범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등 쪽은 노르스름한 짙은 회색이고 배 쪽은 밝은 회색을 띈다.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물범과의 계통 분류이다.[1]
물범과 |
| ||||||||||||||||||||||||||||||||||||||||||||||||||||||||||||||||||||||||||||||||||||||||||||||||||||||||||||
각주[편집]
- ↑ Dirk-Martin Scheel, Graham Slater, Sergios-Orestis Kolokotronis, Charles Potter, David Rotstein, Kyriakos Tsangaras, Alex Greenwood, Kristofer M. Helgen: Biogeography and taxonomy of extinct and endangered monk seals illuminated by ancient DNA and skull morphology. ZooKeys 409 (2014), Pages: 1-33, doi: 10.3897/zookeys.409.6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