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건물범
보이기
![]() | |
---|---|
![]() 두건물범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식육목 |
아목: | 개아목 |
상과: | 기각상과 |
과: | 물범과 |
아과: | 북방물범아과 |
족: | 물범족 |
속: | 두건물범속 (Cystophora) Nilsson, 1820 |
종: | 두건물범 (C. cristata) |
학명 | |
Cystophora cristata | |
(Erxleben, 1777) | |
두건물범[1]의 분포 지역 | |
![]() 두건물범의 분포 지역, 번식지(청색) | |
보전상태 | |
|
두건물범(Cystophora cristata)은 북대서양 중부와 서부 지역에서만 발견되는 대형 물범류의 일종으로 동쪽의 스발바르 제도부터 서쪽의 세인트로렌스만에 이르는 지역에 분포한다. 두건물범속(Cystophora)의 유일종이다. 두건물범은 무리 지어 살지 않는다. 하프물범보다 덩치가 큰데 수컷의 몸길이는 3m쯤 된다.[3] 대체로 은-회색을 띠며, 몸 대부분에 다양한 크기의 검은 반점이 덮여 있다.[4] 두건물범 새끼는 배 쪽의 희끄무레한 색과 함께 등에 청-회색을 띠기 때문에 "검은 등"으로 알려져 있지만, 14개월 후 허물을 벗을 때 털 색이 바뀐다.[5]
계통 분류
[편집]다음은 물범과의 계통 분류이다.[6]
물범과 |
| ||||||||||||||||||||||||||||||||||||||||||||||||||||||||||||||||||||||||||||||||||||||||||||||||||||||||||||
각주
[편집]- ↑ Wozencraft, W.C. (2005). “Order Carnivora” [식육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Cystophora cristata”.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1월 28일에 확인함.
- ↑ 이와고 미쓰야키. 《세계동물기 p72-73》.
- ↑ Kovacs, Kit. “Hooded Seal”. 《Noerwegian Polar Institute》.
- ↑ “Hooded Seal (Cystophora cristata)”.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 ↑ Dirk-Martin Scheel, Graham Slater, Sergios-Orestis Kolokotronis, Charles Potter, David Rotstein, Kyriakos Tsangaras, Alex Greenwood, Kristofer M. Helgen: Biogeography and taxonomy of extinct and endangered monk seals illuminated by ancient DNA and skull morphology. ZooKeys 409 (2014), Pages: 1-33, doi: 10.3897/zookeys.409.6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