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람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Picto infobox reptile.png
다람쥐
다람쥐 Tamias sibiricus
다람쥐 Tamias sibiricus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쥐목
과: 다람쥐과

다람쥐(Chipmunk)는 소형 또는 중형 설치류를 포함하는 다람쥐과 동물 중 일부를 일컫는 말이다. 좁게는 한반도에 사는 다람쥐과 동물인 다람쥐(Tamias sibiricus) 한 종만을 지칭하는 경우도 있고, 넓게는 북아메리카, 유럽 등에 사는 청서속(Sciurus)과 하늘다람쥐속(Pteromys) 등을 포함해서 부르는 말이기도 하다. 하지만 한반도에 사는 청서류인 Sciurus vulgaris coreae청서 또는 청설모라고 불린다.

서식지[편집]

다람쥐는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남극·마다가스카르섬·뉴기니를 제외한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청설모와 다람쥐의 차이[편집]

청서(청설모, red squirrel)와 다람쥐(chipmunk)는 먹이의 종류도 비슷하고 한반도 거의 전역에서 살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다른 점도 있다. 가장 쉽게 구별할 수 있는 차이점은 생김새이다. 다람쥐는 갈색 털빛에 등에 줄무늬가 있고 나무를 잘 타지만 주로 땅 위에서 생활하는 반면에, 청설모는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한다. 또한 먹이의 종류도 조금씩 달라 다람쥐는 도토리를, 청설모는 을 가장 즐겨 먹는다. 무엇보다도 가장 큰 차이점은 다람쥐는 겨울에 겨울잠을 자지만 청설모는 겨울이 되어 이 쌓여도 겨울잠을 자지 않고 먹이를 찾아 돌아다닌다는 것이다. 이렇게 비슷하면서도 다르기 때문에 청설모와 다람쥐는 같은 에서 살아갈 수가 있지만, 때론 청서가 자기 영역에 들어온 다람쥐를 마구 공격하여 쫓아버릴 때도 있다. 영단어 squirrel은 청설모, 하늘다람쥐같은 다람쥐과의 동물을 통틀어 부르는 말이며, chipmunk는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를 뜻한다. 유럽과 아메리카 등에서 다람쥐(chipmunk)는 잘 보기 힘든 특이한 다람쥐의 한 종이고, 일반적인 다람쥐는 바로 동부회색청서같은 청설모류이지만 유럽과 아메리카의 이야기와 신화 등에서 등장하는 다람쥐는 모두 청설모류다.[1][2][3]

다람쥐와 사람의 관계[편집]

다람쥐는 , 도토리를 좋아하여 밤 산지에 피해를 준다. 또 둥지를 만들기 위하여 나무껍질을 벗겨 나무의 성장을 방해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귀엽게 생긴 생김새 때문에 사람과 반려동물 사이로도 산다.

대한민국의 다람쥐 수출[편집]

1962년 4월일본으로 다람쥐 2000마리를 수출한 것을 시작으로 하여, 대한민국에서 한 때 1년에 30만 마리의 다람쥐가 포획되어 수출되기도 하였다. 수출 당시 1마리에 1달러 정도에 팔리기도 하였고, 2달러 40센트에 팔리던 때도 있었다[4].

특이 사항[편집]

  • 국립국어원에서는 마우스를 다듬은 한국어 순화 표현으로 널리 보급하였으나 정착되지 않았다.
  • 다람쥐는 서울시 보호 야생 생물 대상종이다.[5]
  • 미국과 유럽의 일부 지역에서는 다람쥐나 청설모를 식용으로 쓰기도 한다. 영국에서는 토종인 청서를 위협하는 동부회색청서 식용을 권장하고 있다.[6][7]
  • 세상에서 제일 수줍은 동물로 기네스북에 올랐다.

다람쥐와 관련된 캐릭터[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squirrel의 뜻은 다람쥐? 청솔모?
  2. 우린, 청설모를 오해하고 있다!
  3. “청설모와 다람쥐의 차이”. 2017년 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21일에 확인함. 
  4. "메이드 인 코리아 70억불 (70) 다람쥐", 경향신문, 1977년 10월 26일자
  5. “서울시 보호 야생 생물 지정,관리”. 2015년 1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7월 30일에 확인함. 
  6. 이유진 (2008년 5월 12일). ““오늘 저녁엔 다람쥐 고기 어때?””. 2017년 8월 1일에 확인함. 
  7. Frauenfelder, Mark (2012년 4월 30일). “How to make a squirrel sandwich”. Boing Boing. 2017년 8월 1일에 확인함. 
  8. 서구의 '西', '살피다'의 '覽'
  9. 정확히 청서의 일종.
Heckert GNU white.svgCc.logo.circle.svg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