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채태인: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팀교체
30번째 줄: 30번째 줄:
}}
}}


'''채태인'''(蔡泰仁, [[1982년]] [[10월 11일]] ~ )은 [[MLB 리그]] [LA Dodgers|엘에이다저스의]] [[내야수]], [[지명타자]]이다.
'''채태인'''(蔡泰仁, [[1982년]] [[10월 11일]] ~ )은 LG트윈스의[[지명타자]]이다.


==아마추어 선수 시절==
==아마추어 선수 시절==

2017년 11월 30일 (목) 08:36 판

채태인
LA Dodgers No.17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생년월일 1982년 10월 11일(1982-10-11)(41세)
출신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신장 187cm
체중 94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좌투좌타
수비 위치 투수(입단 당시), 1루수, 지명타자
프로 입단 연도 MLB / 2001년
KBO / 2007년
드래프트 순위 2001년 2차 10라운드(두산 베어스)
해외파 특별 지명(삼성 라이온즈)
첫 출장 KBO / 2007년 5월 11일
대구현대
획득 타이틀
계약금 1억원
연봉 3억원 (2017년)
경력


채태인(蔡泰仁, 1982년 10월 11일 ~ )은 LG트윈스의지명타자이다.

아마추어 선수 시절

부산상업고등학교 시절 화랑대기 대회 우승 당시 타점상을 받았다. 이러한 이력으로 당당한 체구에서 뿜어나오는 장타력과 정교함을 인정받아[1] 삼성 라이온즈 입단 후 타자로 전향하는 계기가 되었다.

미국 프로야구 시절

보스턴 레드삭스 시절

부산상업고등학교 시절 뛰어난 좌완 투수로 해외 스카우트들의 관심을 얻어 2001년 신인 지명에서 두산 베어스의 2차 10순위 지명을 받았으나, 입단을 거절하고[2] 계약금 80만 달러의 조건으로 보스턴 레드삭스에 입단하였다.[3] 하지만 2001년 6월 어깨 수술[4] 을 받은 이후 부상자 명단에 올라가게 되어 투수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되자 2002년 9월에 보스턴 레드삭스에서 임의탈퇴되었다.

한국 프로야구 시절

삼성 라이온즈 시절

보스턴에서 임의탈퇴된 후 2002년 말에 귀국하자마자 공익근무요원으로 군 복무를 시작하여 2005년 2월 25일에 복무를 마치고 소집 해제되었다. 소집 해제된 후 보스턴 레드삭스의 극동 담당 스카우트이자 오스트레일리아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인 존 디블과 면담한 후 2005년 9월에 상호 간 계약을 완전히 해지하였다. 그의 타격 능력을 높이 본 김응용 당시 사장을 통해 가능성을 인정받아 해외파 특별 지명에 참가하여 유예 기간 봉인을 해제했다. 2007년 해외파 특별 지명에서 삼성 라이온즈의 지명을 받아 4월 5일 계약금 1억 원, 연봉 5,000만 원의 조건으로 입단하였다.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함과 동시에 이종두 타격코치를 통해 1루수로 전향했다. 2007년 7월 18일 춘천 의암야구장에서 처음으로 열린 2군 올스타전인 퓨처스 올스타전에서 초대 MVP를 수상하였다. 제이컵 크루즈가 방출된 이후 타선에서 기회를 잡아 2008년 시즌 중반부터 타자로서 두각을 드러내어 삼성의 중심 타자로 꾸준한 활약을 보여 주었다. 하지만 2008년 말 도박 사건에 연루되어, 2009년 시즌 개막 전에 1군 5경기 출장 정지 처분을 받은 후 2009년 4월 10일 광주 KIA전에 복귀하여 첫 타석에서 장외 홈런을 기록했다. 하지만 2010년 8월에 1루수 수비를 보면서 파울 플라이 타구를 잡다가 땅바닥에 머리를 강하게 부딪히면서 뇌진탕 증세가 왔고, 거기에다가 허리 통증까지 겹쳐 우울한 나머지 시즌을 보냈다. 2011년 부터 뇌진탕 후유증으로 인한 극심한 부진에 빠졌다. 2011년에는 홈런을 5개 밖에 치지 못하였고, 2012년에는 홈런을 1개 밖에 못 치고 타점도 많이 기록하지 못하고 늘 대타로만 출전하는 등 2012년 후반까지 부진을 떨쳐내지 못하였다. 그러나 2013년 타격 폼을 바꾸는 등 온갖 노력 끝에 1군에 복귀하여 그간의 슬럼프를 깨 버리는 듯 리그 교타자에 올라섰다. 또 다시 어깨에 실금이 가는 부상이 드러나 규정 타석을 채우지 못해 장외 타격왕에 그쳤지만, 11홈런, 53타점, 52득점을 기록하여 두 자릿수 홈런에 복귀했으며 2013년 한국시리즈에서 박한이와 함께 좋은 모습을 보여 우승에 기여하였다. 2014 시즌도 3번타자로 활약했다. 2014 시즌 3할타율, 14홈런, 99타점으로 2년 연속 두 자릿수 홈런을 기록했다. 2014년 한국시리즈에서도 5차전 9회말 2아웃에서 팀의 역전승의 디딤돌을 놓는 안타를 만들었고, 6차전 결정적인 2타점 적시타를 기록하여 팀의 통합 4연패에 기여하였다. 2015 시즌 옆구리 부상으로 인해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다 5월 12일 복귀전에서 투런홈런을 쏘아올렸다. 시즌 동안 신인 구자욱과 1루 경쟁 아닌 경쟁을 하기도 하였다. 시즌 내내 주로 7번에서 머물렀고 규정타석을 채우지는 못했다.

넥센 히어로즈 시절

2015년 12월 2일, 박병호미네소타 트윈스와 계약을 체결하면서, 그의 빈자리를 채울 목적으로 2016년 3월 22일, 투수 김대우와 1:1 트레이드 되어 넥센 히어로즈로 이적하게 되었다.[5] 2016년 4월 28일 NC전에서 7회초 김진성을 상대로 역전 투런홈런을 때려 이적 후 첫 홈런이자 팀의 역전승의 발판을 마련하였다.[6] 2016년 시즌 후 3억원에 연봉계약을 체결하였다.[7]

출신 학교

등번호

  • '64' (2007년 ~ 2008년)
  • '17' (2009년 ~ 2015년, 2016년 ~ 현재[8])
  • '65' (2016년)

연도별 타격 성적

연도 소속




2

3





도루
실패
희생
번트
희생
플라이

고의
사구









O
P
S
2007년 삼성 31 84 77 6 17 5 0 1 25 10 0 0 1 0 5 1 1 17 0 .221 .277 .325 .602
2008년 68 270 248 32 66 12 1 10 165 42 1 1 0 3 19 2 2 55 6 .266 .322 .444 .766
2009년 118 425 368 58 108 26 2 17 189 72 0 0 1 2 49 4 5 90 4 .293 .382 .514 .896
2010년 102 396 356 48 104 13 0 14 159 54 0 3 2 3 33 3 2 94 6 .292 .353 .447 .799
2011년 53 218 182 25 40 7 1 5 64 28 1 0 0 2 33 0 1 59 1 .220 .339 .352 .691
2012년 54 159 135 15 28 7 0 1 38 9 1 1 0 1 21 0 2 35 2 .207 .321 .281 .602
2013년 94 342 299 52 114 15 0 11 162 53 4 0 0 0 38 1 5 70 9 .381 .459 .542 1.001
2014년 124 541 492 69 156 38 1 14 238 99 1 0 0 6 41 1 2 91 8 .317 .368 .484 .852
2015년 104 373 333 35 116 19 0 8 159 49 0 2 0 4 33 3 3 92 10 .348 .408 .477 .885
2016년 넥센 124 417 370 29 106 14 3 7 147 72 0 0 0 9 36 1 2 92 13 .286 .345 .397 .743
2017년 109 384 342 46 110 23 1 12 171 62 0 1 0 3 34 2 5 94 9 .322 .388 .500 .888
통산:11년 981 3609 3202 415 965 179 9 100 1462 550 8 8 4 31 342 18 30 789 68 .301 .371 .457 .828
  • 2017년 기준, 굵은 글씨는 시즌 최고 성적.

참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