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수체에
exp
(
2
π
i
/
5
)
{\displaystyle \exp(2\pi i/5)}
를 추가한 원분체 는 그 갈루아 군 이 5차 순환군 이므로 순환 확대이자 아벨 확대이다.
체론 에서 아벨 확대 (Abel擴大, 영어 : Abelian extension )는 그 갈루아 군 이 아벨 군 이 되는 갈루아 확대 이다.
아벨 확대 는 갈루아 군 이 아벨 군 인 갈루아 확대 이다. 순환 확대 (영어 : cyclic extension )는 갈루아 군 이 순환군 인 갈루아 확대 이다.
특정 경우, 주어진 체 위의 모든 순환 확대 및 아벨 확대를 분류할 수 있다.
쿠머 이론 (Kummer理論, 영어 : Kummer theory )은 1의 거듭제곱근 이 충분히 존재하는 체 위의 아벨 확대 들을 분류한다. 이에 따르면, 이러한 체 위의 모든 아벨 확대는 거듭제곱근들을 첨가하여 얻을 수 있다.
쿠머 이론은 확대의 차수가 체의 표수 와 겹치는 경우 사용될 수 없다. 이 경우 아르틴-슈라이어 이론 (영어 : Artin–Schreier theory )은 차수가 표수와 같은 경우의 순환 확대를 분류하며, 이를 일반화한 아르틴-슈라이어-비트 이론 (영어 : Artin–Schreier–Wit theory )은 차수가 표수의 거듭제곱인 순환 확대를 분류한다. 이를 통해 차수가 표수의 거듭제곱인 모든 유한 아벨 확대를 분류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이러한 경우 모든 아벨 확대는 비트 벡터 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특정 다항식의 근들을 첨가하여 얻을 수 있다.
만약 1의 거듭제곱근 이 충분히 존재하지 않지만, 체가 대역체 또는 국소체 인 경우, 유체론 을 사용하여 모든 아벨 확대를 분류할 수 있다.
유한 생성 아벨 군 의 구조론에 따라, 모든 유한 아벨 군 은 크기가 소수 의 거듭제곱인 순환군 들의 직접곱 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유한 아벨 확대를 분류하려면 소수 거듭제곱 크기의 순환 확대들을 분류하는 것으로 족하다.
쿠머 이론 에 따르면, 1의 원시
n
{\displaystyle n}
제곱근 (즉,
{
ζ
n
0
,
ζ
n
,
…
,
ζ
n
n
−
1
}
{\displaystyle \{\zeta _{n}^{0},\zeta _{n},\dots ,\zeta _{n}^{n-1}\}}
이 모두 서로 다른,
ζ
n
n
=
1
{\displaystyle \zeta _{n}^{n}=1}
인 원소
ζ
n
∈
K
{\displaystyle \zeta _{n}\in K}
)을 갖는 체
K
{\displaystyle K}
(
char
K
∤
n
{\displaystyle \operatorname {char} K\nmid n}
) 위의 확대
L
/
K
{\displaystyle L/K}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 이다.[ 1] :Theorem 1.1
n
{\displaystyle n}
차 순환 확대
L
/
K
{\displaystyle L/K}
이다.
L
/
K
≅
K
(
a
n
)
/
K
{\displaystyle L/K\cong K({\sqrt[{n}]{a}})/K}
가 되는
a
∈
K
{\displaystyle a\in K}
가 존재한다.
다음과 같은 가환 그림의 텐서곱
L
≅
K
⊗
K
[
x
,
x
−
1
]
K
[
x
,
x
−
1
]
{\displaystyle L\cong K\otimes _{K[x,x^{-1}]}K[x,x^{-1}]}
이 성립하는 원소
a
∈
K
×
{\displaystyle a\in K^{\times }}
가 존재한다.
L
←
K
[
x
,
x
−
1
]
↑
↑
x
↦
x
n
K
←
x
↦
a
X
{\displaystyle {\begin{matrix}L&\leftarrow &K[x,x^{-1}]\\\uparrow &&\uparrow &\scriptstyle x\mapsto x^{n}\\K&{\underset {x\mapsto a}{\leftarrow }}&X\end{matrix}}}
다음 가환 그림이 올곱 이 되게 하는
K
{\displaystyle K}
-스킴 사상
a
:
Spec
K
→
G
m
(
K
)
{\displaystyle a\colon \operatorname {Spec} K\to \mathbb {G} _{\operatorname {m} }(K)}
이 존재한다.
Spec
L
→
G
m
↓
↓
x
↦
x
n
Spec
K
→
a
G
m
{\displaystyle {\begin{matrix}\operatorname {Spec} L&\to &\mathbb {G} _{\operatorname {m} }\\\downarrow &&\downarrow &\scriptstyle x\mapsto x^{n}\\\operatorname {Spec} K&{\underset {a}{\to }}&\mathbb {G} _{\operatorname {m} }\end{matrix}}}
여기서
G
m
(
K
)
=
Spec
K
[
x
,
x
−
1
]
=
Spec
K
[
x
,
y
]
/
(
x
y
−
1
)
{\displaystyle \mathbb {G} _{\operatorname {m} }(K)=\operatorname {Spec} K[x,x^{-1}]=\operatorname {Spec} K[x,y]/(xy-1)}
은
K
{\displaystyle K}
위의 곱셈 군 스킴 이다.
이에 따라,
K
{\displaystyle K}
위의
n
{\displaystyle n}
차 순환 확대는
K
{\displaystyle K}
-스킴 사상
Spec
K
→
G
m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K\to \mathbb {G} _{\operatorname {m} }(K)}
에 의하여 주어진다.
보다 일반적으로,
n
{\displaystyle n}
이 가역원인 체
K
{\displaystyle K}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K
{\displaystyle K}
-군 스킴 의 짧은 완전열 이 존재하며, 이를 쿠머 완전열 (영어 : Kummer exact sequence )이라고 한다.
1
→
μ
n
(
K
)
→
G
m
(
K
)
→
(
−
)
n
G
m
(
K
)
→
1
{\displaystyle 1\to \mu _{n}(K)\to \mathbb {G} _{\operatorname {m} }(K){\xrightarrow {(-)^{n}}}\mathbb {G} _{\operatorname {m} }(K)\to 1}
여기서
μ
n
(
K
)
=
Spec
K
[
x
]
/
(
x
n
−
1
)
{\displaystyle \mu _{n}(K)=\operatorname {Spec} K[x]/(x^{n}-1)}
는
K
{\displaystyle K}
속의 1의
n
{\displaystyle n}
제곱근 들로 구성된 군 스킴 이다.
G
m
(
K
)
{\displaystyle \mathbb {G} _{\operatorname {m} }(K)}
는
K
{\displaystyle K}
의 가역원군 에 해당하는 군 스킴 이다.
(
−
)
n
:
G
m
(
K
)
→
G
m
(
K
)
{\displaystyle (-)^{n}\colon \mathbb {G} _{\operatorname {m} }(K)\to \mathbb {G} _{\operatorname {m} }(K)}
는
n
{\displaystyle n}
제곱에 해당하는 군 스킴 사상이다.
양의 표수
p
>
0
{\displaystyle p>0}
의 체
K
{\displaystyle K}
에서는
(
x
−
1
)
p
=
x
p
−
1
{\displaystyle (x-1)^{p}=x^{p}-1}
이므로, 1의
p
{\displaystyle p}
제곱근이 중복되며, 따라서 차수가
p
{\displaystyle p}
의 거듭제곱인 순환 확대에 대해서는 쿠머 이론을 적용시킬 수 없다. 이 경우 대신 아르틴-슈라이어(-쿠머) 이론을 적용시킬 수 있다.
아르틴-슈라이어 이론 에 따르면, 양의 표수
p
>
0
{\displaystyle p>0}
의 체
K
{\displaystyle K}
위의 확대
L
/
K
{\displaystyle L/K}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 이다.
p
{\displaystyle p}
차 순환 확대
L
/
K
{\displaystyle L/K}
이다.
L
{\displaystyle L}
이
x
p
−
x
−
a
∈
K
[
x
]
{\displaystyle x^{p}-x-a\in K[x]}
의 분해체 가 되는
a
∈
K
{\displaystyle a\in K}
가 존재한다.
다음과 같은 가환 그림의 텐서곱
L
≅
K
⊗
K
[
x
,
x
−
1
]
K
[
x
,
x
−
1
]
{\displaystyle L\cong K\otimes _{K[x,x^{-1}]}K[x,x^{-1}]}
이 성립하는 원소
a
∈
K
×
{\displaystyle a\in K^{\times }}
가 존재한다.
L
←
K
[
x
]
↑
↑
x
↦
x
p
−
x
K
←
x
↦
a
K
[
x
]
{\displaystyle {\begin{matrix}L&\leftarrow &K[x]\\\uparrow &&\uparrow &\scriptstyle x\mapsto x^{p}-x\\K&{\underset {x\mapsto a}{\leftarrow }}&K[x]\end{matrix}}}
다음 가환 그림이 올곱 이 되게 하는
K
{\displaystyle K}
-스킴 사상
a
:
Spec
K
→
G
m
(
K
)
{\displaystyle a\colon \operatorname {Spec} K\to \mathbb {G} _{\operatorname {m} }(K)}
이 존재한다.
Spec
L
→
G
a
↓
↓
Frob
−
id
Spec
K
→
a
G
a
{\displaystyle {\begin{matrix}\operatorname {Spec} L&\to &\mathbb {G} _{\operatorname {a} }\\\downarrow &&\downarrow &\scriptstyle \operatorname {Frob} -\operatorname {id} \\\operatorname {Spec} K&{\underset {a}{\to }}&\mathbb {G} _{\operatorname {a} }\end{matrix}}}
여기서
G
a
(
K
)
=
Spec
K
[
x
]
{\displaystyle \mathbb {G} _{\operatorname {a} }(K)=\operatorname {Spec} K[x]}
은
K
{\displaystyle K}
위의 덧셈 군 스킴 이다.
Frob
−
id
:
G
a
(
K
)
→
G
a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Frob} -\operatorname {id} \colon \mathbb {G} _{\operatorname {a} }(K)\to \mathbb {G} _{\operatorname {a} }(K)}
는 프로베니우스 사상 과 항등 사상 의 차이다. 이는 다항식환 의 자기 사상
eval
x
↦
x
p
−
x
:
K
[
x
]
→
K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eval} _{x\mapsto x^{p}-x}\colon K[x]\to K[x]}
으로부터 정의된다.
표수가
p
{\displaystyle p}
인 체
K
{\displaystyle K}
위에서 다음과 같은 군 스킴 의 짧은 완전열 이 존재하며, 이를 아르틴-슈라이어 완전열 (영어 : Artin–Schreier exact sequence )이라고 한다.
1
→
(
Z
/
p
)
/
K
→
G
a
(
K
)
→
Frob
−
id
G
a
(
K
)
→
1
{\displaystyle 1\to (\mathbb {Z} /p)_{/K}\to \mathbb {G} _{\operatorname {a} }(K){\xrightarrow {\operatorname {Frob} -\operatorname {id} }}\mathbb {G} _{\operatorname {a} }(K)\to 1}
여기서
(
Z
/
p
)
/
K
=
Spec
K
[
x
]
/
(
x
p
−
x
)
{\displaystyle (\mathbb {Z} /p)_{/K}=\operatorname {Spec} K[x]/(x^{p}-x)}
는 프로베니우스 사상 의 고정점 들로 구성된 군 스킴 이다.
아르틴-슈라이어-비트 이론 은
p
{\displaystyle p}
차 순환 확대에 적용되는 아르틴-슈라이어 이론을
p
k
{\displaystyle p^{k}}
차에 대하여 일반화한 것이다.
아르틴-슈라이어-비트 이론 에 따르면, 표수
p
>
0
{\displaystyle p>0}
의 체
K
{\displaystyle K}
의 확대
L
/
K
{\displaystyle L/K}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 이다.[ 2] :§7 [ 1] :Theorem 1.2
확대
L
/
K
{\displaystyle L/K}
가
p
n
{\displaystyle p^{n}}
차 순환 확대이다.
L
/
K
≅
K
(
f
−
1
(
a
→
)
)
{\displaystyle L/K\cong K(f^{-1}({\vec {a}}))}
인 비트 벡터
a
→
∈
W
n
,
p
(
K
)
∖
f
(
W
n
,
p
(
K
)
{\displaystyle {\vec {a}}\in \mathbb {W} _{n,p}(K)\setminus f(\mathbb {W} _{n,p}(K)}
가 존재한다. 여기서
f
:
W
n
,
p
→
W
n
,
p
{\displaystyle f\colon \mathbb {W} _{n,p}\to \mathbb {W} _{n,p}}
는
f
:
(
a
1
,
a
p
,
a
p
2
…
)
↦
(
a
1
p
,
a
p
,
a
p
2
p
,
…
,
a
p
n
−
1
p
)
−
(
a
1
,
a
p
,
a
p
2
,
…
,
a
p
n
−
1
)
{\displaystyle f\colon (a_{1},a_{p},a_{p^{2}}\dots )\mapsto (a_{1}^{p},a_{p},a_{p^{2}}^{p},\dots ,a_{p^{n-1}}^{p})-(a_{1},a_{p},a_{p^{2}},\dots ,a_{p^{n-1}})}
이며, 여기서
−
{\displaystyle -}
는 비트 벡터 의 뺄셈이다 (성분별 뺄셈과 다르다).
K
(
f
−
1
(
a
→
)
)
{\displaystyle K(f^{-1}({\vec {a}}))}
는 비트 벡터의 연산으로 정의되는
n
{\displaystyle n}
개의 다항식
(
f
(
x
→
)
−
a
→
)
p
i
∈
K
[
x
]
(
i
∈
{
0
,
1
,
…
,
n
−
1
}
{\displaystyle (f({\vec {x}})-{\vec {a}})_{p^{i}}\in K[x]\qquad (i\in \{0,1,\dots ,n-1\}}
들의 분해체 를 뜻한다.
다음과 같은 가환 그림의 텐서곱
L
≅
K
⊗
K
[
x
→
]
K
[
x
→
]
{\displaystyle L\cong K\otimes _{K[{\vec {x}}]}K[{\vec {x}}]}
이 성립하는 원소
a
∈
W
n
,
p
(
K
)
{\displaystyle a\in \mathbb {W} _{n,p}(K)}
가 존재한다. (여기서
x
→
=
(
x
0
,
x
1
,
…
,
x
n
−
1
)
{\displaystyle {\vec {x}}=(x_{0},x_{1},\dots ,x_{n-1})}
는 비트 벡터 의 성분으로 간주한 형식적 변수들이며,
x
→
(
p
)
−
x
→
{\displaystyle {\vec {x}}^{(p)}-{\vec {x}}}
에서
−
{\displaystyle -}
는 비트 벡터 로서의 뺄셈이며,
x
→
(
p
)
=
(
x
0
p
,
x
1
p
,
…
,
x
n
−
1
p
)
{\displaystyle {\vec {x}}^{(p)}=(x_{0}^{p},x_{1}^{p},\dots ,x_{n-1}^{p})}
는 프로베니우스 사상 이다.)
L
←
K
[
x
→
]
↑
↑
x
→
↦
x
→
(
p
)
−
x
→
K
←
x
→
↦
a
→
K
[
x
→
]
{\displaystyle {\begin{matrix}L&\leftarrow &K[{\vec {x}}]\\\uparrow &&\uparrow &\scriptstyle {\vec {x}}\mapsto {\vec {x}}^{(p)}-{\vec {x}}\\K&{\underset {{\vec {x}}\mapsto {\vec {a}}}{\leftarrow }}&K[{\vec {x}}]\end{matrix}}}
다음 가환 그림이 올곱 이 되게 하는
K
{\displaystyle K}
-스킴 사상
a
:
Spec
K
→
G
m
(
K
)
{\displaystyle a\colon \operatorname {Spec} K\to \mathbb {G} _{\operatorname {m} }(K)}
이 존재한다.
Spec
L
→
W
n
,
p
(
K
)
↓
↓
(
−
)
(
p
)
−
id
Spec
K
→
a
W
n
,
p
(
K
)
{\displaystyle {\begin{matrix}\operatorname {Spec} L&\to &\mathbb {W} _{n,p}(K)\\\downarrow &&\downarrow &\scriptstyle (-)^{(p)}-\operatorname {id} \\\operatorname {Spec} K&{\underset {a}{\to }}&\mathbb {W} _{n,p}(K)\end{matrix}}}
여기서
W
n
,
p
(
K
)
{\displaystyle \mathbb {W} _{n,p}(K)}
는 길이
n
+
1
{\displaystyle n+1}
의
p
{\displaystyle p}
진 비트 벡터 의 군이다. 스킴으로서 이는
n
{\displaystyle n}
차원 아핀 공간
A
K
n
=
Spec
K
[
x
0
,
…
,
x
n
−
1
]
=
Spec
[
x
0
,
…
,
x
n
−
1
]
{\displaystyle \mathbb {A} _{K}^{n}=\operatorname {Spec} K[x_{0},\dots ,x_{n-1}]=\operatorname {Spec} [x_{0},\dots ,x_{n-1}]}
이며, 그 위의 군 스킴 의 구조는
x
→
{\displaystyle {\vec {x}}}
위의 비트 벡터 연산으로부터 유도된다. 특히,
n
=
0
{\displaystyle n=0}
일 경우
W
0
,
p
(
K
)
≅
G
a
(
K
)
{\displaystyle \mathbb {W} _{0,p}(K)\cong \mathbb {G} _{\operatorname {a} }(K)}
가 된다.
(
−
)
(
p
)
−
id
:
G
a
(
K
)
→
G
a
(
K
)
{\displaystyle (-)^{(p)}-\operatorname {id} \colon \mathbb {G} _{\operatorname {a} }(K)\to \mathbb {G} _{\operatorname {a} }(K)}
는 프로베니우스 사상 과 항등 사상 의 차이다. 이는 다항식환
K
[
x
→
]
{\displaystyle K[{\vec {x}}]}
의 자기 사상
eval
x
→
↦
x
→
(
p
)
−
x
→
:
K
[
x
]
→
K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eval} _{{\vec {x}}\mapsto {\vec {x}}^{(p)}-{\vec {x}}}\colon K[x]\to K[x]}
으로부터 정의된다.
다음과 같은 짧은 완전열 이 존재하며, 이를 아르틴-슈라이어-비트 완전열 (영어 : Artin–Schreier–Witt exact sequence )이라고 한다. 이는 아르틴-슈라이어 완전열의 일반화이다.
1
→
(
Z
/
p
n
)
/
K
→
W
n
,
p
(
K
)
→
→
(
−
)
p
−
id
W
n
,
p
(
K
)
→
1
{\displaystyle 1\to (\mathbb {Z} /p^{n})_{/K}\to \mathbb {W} _{n,p}(K)\to {\xrightarrow {(-)^{p}-\operatorname {id} }}\mathbb {W} _{n,p}(K)\to 1}
여기서
(
Z
/
p
n
)
/
K
=
Spec
K
[
x
→
]
/
(
x
→
(
p
)
−
x
→
)
{\displaystyle (\mathbb {Z} /p^{n})_{/K}=\operatorname {Spec} K[{\vec {x}}]/({\vec {x}}^{(p)}-{\vec {x}})}
는 프로베니우스 사상
(
−
)
(
p
)
:
W
n
,
p
(
K
)
→
W
n
,
p
(
K
)
{\displaystyle (-)^{(p)}\colon \mathbb {W} _{n,p}(K)\to \mathbb {W} _{n,p}(K)}
의 고정점 들로 구성된 군 스킴 이다.
이 부분의 본문은
유체론 입니다.
쿠머 이론은 1의 거듭제곱근 을 충분히 가지는 체 에 대해서만 적용된다. 만약 1의 거듭제곱근 이 충분히 존재하지 않지만, 체가 대역체 또는 국소체 인 경우, 그 아벨 확대들은 유체론 을 통해 분류된다.
대표적인 예로, 원분체 는 유리수체 의 순환 확대이자 아벨 확대이다. 일반적으로, 소수 차수의 갈루아 확대 는 (소수 크기의 군은 순환군 밖에 없으므로) 순환 확대이다.
쿠머 이론은 에른스트 쿠머 가 1840년대에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를 연구하기 위하여 도입하였다.
이후 에밀 아르틴 과 오토 슈라이어 가 1927년에 아르틴-슈라이어 이론을 도입하였다.[ 3] 에른스트 비트 가 1936년에 비트 벡터 의 개념을 도입하여 아르틴-슈라이어 이론을 아르틴-슈라이어-비트 이론으로 일반화하였다.[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