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기즈 칸 국제공항

칭기즈 칸 국제공항 Чингис хаан олон улсын нисэх буудал Chinggis Khaan International Airport | ||||||
---|---|---|---|---|---|---|
IATA: UBN - ICAO: ZMCK | ||||||
개요 | ||||||
공항종별 | 공용 | |||||
운영시간 | 24시간 | |||||
지역 | 울란바토르 | |||||
위치 | ![]() | |||||
거점 항공사 | ||||||
해발고도 | 4,482 ft / 1,366 m | |||||
좌표 | 북위 47° 39′ 06″ 동경 106° 49′ 18″ / 북위 47.651581° 동경 106.821772° | |||||
웹사이트 | ||||||
지도 | ||||||
칭기즈 칸 국제공항 위치 | ||||||
활주로 | ||||||
방향 | 면적(m*m) | ILS | 표면 | |||
길이 | 폭 | |||||
11/29 | 3,600 | 11,811 | YES | 아스팔트, 콘크리트 |
칭기즈 칸 국제공항(영어: Chinggis Khaan International Airport, 몽골어: Чингис хаан олон улсын нисэх буудал, IATA: UBN, ICAO: ZMCK)은 울란바토르의 두번째 국제공항이다. 2021년 7월 4일에 개장했으며 울란바토르와 수도권의 주요 공항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공항은 부얀트 우카 국제공항의 국제선을 대체하는 역할을 한다.
개요[편집]

공항의 면적은 104,200 km2이다. 길이 3,600m, 폭 45m의 하나의 활주로를 가지고 있다. 또한 3,339m(너비 23m)의 평행 유도로, 2개의 고속 유도로, 3개의 출구 유도로가 있다.
승객[편집]
공항의 여객 터미널의 면적은 25,300km2,이며, 도착지는 1층이고 출발지는 2층이다.
화물[편집]
화물 터미널의 면적은 3,750km2이고 공항의 연간 화물 용량은 11,900톤이다. 위험물, 고가품, 냉장물의 수출입을 위한 별도의 시설도 갖추고 있다.
교통[편집]
공항은 수도로 연결되는 고속도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울란바토르 시내 4개 지점, 드래곤버스터미널, 부얀트 우카, 울란바토르 철도역, 던진가라프시장 등 셔틀버스가 운행되며 편도 80~100분 소요된다. 약 60대의 택시도 승객을 태울 예정이다.
운항 노선[편집]
국제선[편집]
항공사 | 목적지 |
---|---|
![]() |
도쿄(하네다), 도쿄(나리타),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방콕(수완나품), 베를린(테겔), 베이징(서우두), 서울(인천), 부산, 홍콩(첵랍콕), 광저우, 무안 |
![]() |
도쿄(나리타), 알타이, 얼렌하오터, 톈진, 홍콩(첵랍콕) |
![]() |
우루무치, 이르쿠츠크, 후허하오터 |
![]() |
하이라얼 |
![]() |
서울(인천) |
![]() |
서울(인천) |
![]() |
부산 |
![]() |
|
![]() |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
![]() |
야쿠츠크 |
![]() |
베이징(서우두) |
![]() |
톈진, 후허하오터 |
![]() |
이스탄불(아르나부코이) |
국내선[편집]
항공사 | 목적지 |
---|---|
![]() |
바잉홍거르, 초이빌산, 달란자드가드, 호브드, 무론, 오보트, 오유톨고이, 타반톨고이 |
![]() |
바잉홍거르, 초이발산, 도노이, 호브드, 바안울지, 오유톨고이, 오보트, 울란곰 |
![]() |
바잉홍거르, 바안울지, 초이발산, 달란자드가드, 홉드, 헙스걸, 오보트, 오유톨고이, 타반톨고이, 울란곰, 울란바우드, 자브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