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다싱 국제공항
베이징 다싱 국제공항 北京大兴国际机场 Beijing Daxing International Airport | ||||||
---|---|---|---|---|---|---|
![]() ![]() | ||||||
개요 | ||||||
공항종별 | 군·민 공용 | |||||
시간기준 | UTC+08:00 | |||||
운영시간 | 24시간 | |||||
지역 | ![]() | |||||
위치 | ![]() | |||||
거점 항공사 | 차이나 유나이티드 항공 | |||||
건립시기 | 2019년 9월 25일 | |||||
사용시기 | 2019년 9월 25일 ~ 현재 | |||||
좌표 |
북위 39° 40′ 43″ 동경 116° 24′ 38″ / 북위 39.67861° 동경 116.41056° | |||||
웹사이트 | ||||||
지도 | ||||||
활주로 | ||||||
방향 | 면적(m*m) | ILS | 표면 | |||
길이 | 폭 | |||||
17L/35R | 3,800 | 60 | YES | 콘크리트 | ||
17R/35L | 3,800 | 45 | YES | 콘크리트 | ||
01L/19R | 3,400 | 60 | YES | 콘크리트 | ||
11L/29R | 3,800 | 60 | YES | 콘크리트 | ||
18/36¹ | 3800 | 60 | YES | 콘크리트 | ||
건설 예정 | ||||||
건설 예정 | ||||||
통계 | ||||||
이용 여객 | ||||||
운항 횟수 | ||||||
처리 화물 | ||||||
¹: 군용 활주로 |
베이징 다싱 국제공항(중국어 간체자: 北京大兴国际机场, 정체자: 北京大興國際機場, 북경 대흥 국제공항, IATA: PKX, ICAO: ZBAD)은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최남단의 다싱구와 허베이성 랑팡시 광양구에 걸쳐 건설된 국제공항이다. 베이징시 도심의 톈안먼 광장에서 남쪽으로 46km 떨어져 있다.[1] 이 공항은 2019년 9월 25일에 개항하였고, 개항 다음날에 군-민 공용 공항인 베이징 난위안 공항의 기능을 일괄 이관받았다.[2]
다싱 공항에는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을 운행하던 중국 3대 항공사 중 중국동방항공과 중국남방항공의 노선이 대부분 이전할 예정이며, 베이징 노선을 처음 취항하는 항공사는 중국 국내외 항공사 여부를 불문하고 이 공항을 사용하게 된다.[2]
역사[편집]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이 포화 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자, 중국 당국은 공항의 추가확장이 더는 어렵다는 판단 아래 2006년부터 베이징 제2국제공항 건설에 관한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3] 이에 따라 2009년에 베이징 다싱구에 제2국제공항을 건설하고 공역(空域)이 겹치는 인근의 펑타이구 난위안 공항을 폐쇄하기로 최종 결정하였다.[4]
애초에 이 공항은 2010년에 착공해 2015년에 개항할 계획이었으나,[5] 막대한 사업 자금의 분담, 토지 수용, 주민 이주 등의 문제 때문에 착공이 계속 미루어지다가 2014년 12월 말에 착공되었고, 2019년 9월 25일에 5본의 활주로(민용 4본, 군용 1본)를 갖춰 개항하였다.[1]
이 공항은 2021년에 연간 이용객 4,500만 명을 목표로 하고, 2025년에 7,200만 명이 이용할 것으로 계획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총 7본의 활주로(민용 6본, 군용 1본)를 갖추고 연간 1억 명 이상이 이용하는 국제공항으로 건설할 예정이다.[2][6]
당초 스카이팀 제휴 항공사가 신공항인 다싱공항으로 이전하는 가운데 스타 얼라이언스에 소속되어 있는 항공사는 계속 캐피털에 머물자, 사실상 두 공항의 허브 역할이 분담될 것으로 계획됐다. 이는 2016년 중국 민간항공청이 다른 스카이팀 항공사와 함께 중국남방항공, 중국동방항공, 샤먼 항공 등이 신공항으로 이동하고 중국국제항공, 아시아나항공, 유나이티드 항공 등과 같은 스타 얼라이언스 항공사들은 캐피털에 계속 잔류하겠다고 발표하면서 확인됐다. 2017년 12월 중국남방항공과 중국동방항공 그리고 베이징 수도항공의 다싱공항 이전 의향서를 제출하기 위해 신화통신의 보도를 통해 확인됐다.
10여객 항공사(중국남방항공, 차이나 유나이티드 항공, 상하이 항공, 베이징 캐피탈 항공, 허베이 항공은 스프링 항공, 준야오 항공, 샤먼 항공, 둥하이 항공)과 화물 항공사(중국 우편 항공)는 수도 공항 그룹과 협정들은 새로운 공항으로 들어오라고 신호를 보냈다.
CAAC는 닥싱 개항 이후 각 본토 중국 항공사(중국우체항공 제외)에 베이징 지역 공항 1곳만 서비스하도록 요구했으나, 원하면 외국 항공사(홍콩, 마카오, 대만 항공사 포함)가 두 공항 모두에서 운항할 수 있도록 했다. 중국 동부 그룹과 중국 남부 그룹은 각각 착륙 지점의 40%와 중국 본토와 국제 항공사의 나머지 20%를 할당받았다. 그러나, 2019년 5월 1일, 이 계획은 CAAC에 의해 변경되었으며, 중국 동부 그룹이 베이징 수도 공항에서 상하이-베이징 항공편을 계속 운항하는 대가로 중국 동부 그룹이 배정된 슬롯의 10%를 에어 차이나 그룹에 양도하였다.
원월드의 항공사들 중 영국항공과 말레이시아 항공은 런던·쿠알라룸푸르 ~ 베이징 항공편을 다싱으로 옮길 예정이며 핀에어는 헬싱키 ~ 다싱에서 출발하는 항공편을 신청하고 캐피탈로 가는 일일 항공편을 보유할 예정이다. 아메리칸 항공은 중국남방항공과의 제휴에 따라 캐피털에서 다싱으로 항공편을 옮길 계획을 갖고 있다. 캐세이퍼시픽 항공과 캐세이 드래곤 항공은 수도 공항에 계속 머물 생각이 있다고 한다. 2019년 2월 제휴에 의해 회원 항공사들이 다싱 국제공항에서 공식 공동 취항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또한 한국행 항공편이 현재 없는 상태에 이르고 있는 다싱발 한국행 노선에 대한 개설 계획은 인천국제공항과 김해국제공항, 청주국제공항 등이 유력시될 것으로 예측된다.[7]
운항 노선[편집]
국내선[편집]
항공사 | 도착지 |
---|---|
![]() |
광저우, 난닝, 상하이(푸둥), 선양, 인촨, 쿤밍, 청두, 충칭, 항저우 |
![]() |
둥잉, 뤄양, 루저우, 린이, 상하이(푸둥, 훙차오), 시닝, 하얼빈, 항저우, 화이안 |
![]() |
광저우, 난충, 다칭, 뤄양, 선전, 시닝, 안산, 옌지, 이우, 인촨, 쭌이, 지예양, 퉁런, 청더, 칭다오 |
![]() |
안순, 아얼산, 베이청, 바오터우, 바옌나오얼, 비제, 창사, 창즈, 청두, 츠펑, 츠저우, 다롄, 다퉁, 둥잉, 포산, 푸양, 광저우, 후룬베이얼, 한중, 하얼빈, 허페이, 헝양, 후허하오터, 화이안, 화이화, 후이저우, 진창, 쿤밍, 란저우, 롄윈강, 린이, 룽난, 룽옌, 뤼량, 만저우리, 난양, 닝보, 오르도스, 칭양, 치치하얼, 취저우, 르자오, 산밍, 상하이(푸둥, 훙차오), 상라오, 선전, 시옌, 퉁랴오, 퉁런, 우란하오터, 우란차부, 우루무치, 웨이하이, 원저우, 우하이, 우저우, 샤먼, 샹양, 시린하오터, 싱이, 신양, 옌안, 옌청, 옌타이, 이춘, 인촨, 잉커, 용저우, 웨양, 위린, 주하이 |
![]() |
난창, 메이시안, 리장, 산야, 시닝, 시솽반나, 시안, 얼롄하오터, 우루무치, 우슈, 지시, 하이커우, 항저우, 허페이 |
![]() |
상하이(푸둥) |
![]() |
구이린, 난징, 난창, 난퉁, 닝보, 몐양, 란저우, 산야, 싱이, 자란툰, 준이, 창춘, 청두, 항저우 |
국제선[편집]
항공사 | 도착지 |
---|---|
![]() |
방콕(수완나품) |
![]() |
나고야(주부), 다낭, 파리(샤를 드 골), 후쿠오카 |
![]() |
도쿄(하네다), 런던(히스로),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서울(김포)(2023년 3월 26일~), 서울(인천)(2023년 3월 26일~), 이스탄불(아르나부코이), 하노이, 호찌민, 홍콩 |
![]() |
리스본, 마카오, 말레 |
![]() |
마카오 |
![]() |
하노이, 호찌민 |
![]() |
쿠알라룸푸르 |
![]() |
아부다비, 나고야(주부) |
![]() |
반다르스리브가완 |
![]() |
카사블랑카 |
![]() |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
![]() |
노보시비르스크, 블라디보스토크, 울란우데, 이르쿠츠크 |
![]() |
모스크바(주콥스키), 블라디보스토크, 예카테린부르크, 이르쿠츠크 |
![]() |
런던(히드로) |
![]() |
바르샤바 |
![]() |
헬싱키 |
![]() |
디트로이트, 시애틀(터코마) |
![]() |
카트만두 |
화물 노선[편집]
항공사 | 목적지 |
---|---|
![]() | 상하이(푸둥), 항저우, 광저우, 선전, 난징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가 나 중국 베이징 제2공항 착공..2019년 완공 목표 연합뉴스, 2014.12.26.
- ↑ 가 나 다 중국, 건국 70주년 앞두고 베이징 신공항 공식 개항 연합뉴스, 2019.9.25.
- ↑ 베이징에 제2국제공항 한국일보, 2006.7.31.
- ↑ 베이징 軍비행장 이전 연합뉴스, 2009.5.4.
- ↑ 베이징 제2공항 올해 착공..5년후 완공 연합뉴스, 2010.1.15.
- ↑ 베이징, 제2국제공항 2018년 개장 예정…승객 연 4천500만명 처리 연합뉴스, 2013.1.13.
- ↑ 김포국제공항, 대구국제공항, 제주국제공항 등 기타 한국발 다싱행 노선 개설 계획은 아직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