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리안 (위성)
천리안 | |
임무 정보 | |
---|---|
관리 기관 | KARI, KORDI, KMA, ETRI |
계약 기관 | EADS 아스트리움, ITT 코퍼레이션 |
임무 유형 | 해양 위성, 기상 위성, 통신 위성 |
발사일 | 2010년 6월 26일(현지 시각) |
발사체 | 아리안 5호 |
발사 장소 | 기아나 우주 센터 |
임무 기간 | 7년[1] |
우주선 정보 | |
중량 | 2.5톤 |
전장 | 2.4m |
전폭 | 2.2m |
전고 | 2.6m |
궤도 정보 | |
궤도고도 | 정지궤도 35,857km |
경도 | 동경 128.2도 |
주기 | 24시간 |
탑재체 | |
해상도 | 해양탑재체 - 500 m 기상탑재체 - 가시광선 1km, 적외선 4km |
통신해양기상위성(通信海洋氣象衛星,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 또는 천리안(千里眼,天利安)[2] 은 대한민국 최초의 해양 관측, 기상 관측, 통신 서비스 임무를 수행하는 정지궤도 복합위성이다. 위성 발사에 성공하면서, 대한민국은 세계 최초의 정지궤도 해양관측위성 보유국이자, 미국·중국·일본·유럽 연합(EU)·인도·러시아에 이어 세계 7번째로 기상관측위성 보유국이 되었다.[3]
개요
[편집]구성
[편집]통신해양기상위성은 지구의 적도 상공 36,000 km 고도와 동경 128.2도에 위치하면서 해양관측, 기상관측, 통신서비스 임무를 수행하는 대한민국 최초의 정지궤도 복합위성이다.
통신해양기상위성사업단이 프랑스의 EADS 아스트리움과 공동 개발했다. 탑재체는 태양 전지판을 제외하고, 크게 세 부분으로 통신 탑재체, 정지궤도 해색 탑재체(GOCI), 기상 탑재체(MI)로 구분된다.[4][5] 정지궤도 해색 탑재체는 한국해양연구원의 소요제기 및 임무개발을 통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프랑스의 EADS 아스트리움에서 공동으로 개발하였다. 정지궤도 위성으로는 세계 최초로 개발된 천리안 위성 해색 탑재체는 한반도 주변해역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를 감시하는 역할과 해양의 클로로필 생산량 추정 및 어장 정보를 생성한다.[6] 기상 탑재체는 기상임무를 수행하며, 태풍, 집중호우, 황사 등 위험기상을 조기 탐지하는 기능과 장기간의 해수면온도, 구름 자료를 통한 기후변화를 분석한다. 이것은 미국 ITT사의 미국 GOES-8호~GOES-13호 및 일본 MTSAT-2에 탑재된 기상센서와 동일한 시스템이다.[4] 통신탑재체는 대한민국산 Ka 밴드 통신탑재체로 광대역 위성 멀티미디어 시험서비스를 위한 것이다. [4]
발사체
[편집]발사체는 프랑스 아리안스페이스(Arianespace)사의 아리안-5ECA 발사체이며, 위성은 발사 32분 38초 후 2천5.3km 고도에서 발사체로부터 분리되었다. 이때부터 위성에 탑재된 컴퓨터의 자동 프로그램이 작동하고 위성 초기화가 이뤄졌다.[7]
과정
[편집]2003년 9월부터 개발에 착수하여 2008년 12월 국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총조립을 마쳤고, 2009년 7월 기능 시험과 환경 시험이 마무리되었다.[8] 10월에는 우주환경시험을 성공리에 마쳤다. 이후 위성을 프랑스 톨루즈의 아스트리움사로 이송하여 추진계고압시험과 RF 적합성시험의 추가적인 성능시험을 2009년 12월과 2010년 1월에 걸쳐 수행하였고, 지난 2월에 2차례에 걸친 선적 전(船積前) 검토 회의(PSR)를 완료하였다.[9]
준비 과정
[편집]프랑스령 기아나 쿠루로 이송되었고, 2010년 4월 말에 기아나 우주 센터에서 발사될 예정이었으나 천리안에 앞서 독일과 룩셈부르크의 위성을 발사할 예정이었던 아리안 로켓의 발사가 2차례나 연기되면서 한때 발사 일정이 불투명해졌다.[10] 그러나 5월 22일, 이 둘 위성의 발사에 성공하여 천리안의 발사 예정일이 2010년 6월 23일(현지 시각, 한국 시각 6월 24일)로 확정되었다.[11]
발사 과정
[편집]2010년 6월 23일 발사일 밤, 발사 47분 37초를 남기고 발사체 상단 센서 오류로 인한 압력 저하로 발사 과정이 중지되었다.[12] 그 다음날인 6월 24일(한국 시각 6월 25일)에 발사 시도가 이루어졌으나, 발사 예정 시각인 오후 6시 41분을 17초 남기고 중단되었다. 약 1시간 후인 오후 7시 48분을 재발사 시간으로 지정하고 발사 카운트다운에 돌입하였으나, 발사 16초를 남기고 1단 발사체 압력 저하 문제로 중단되었다.[13]
2010년 6월 26일 오후 6시 41분(한국 시각 6월 27일 오전 6시 41분)에 4차 발사 시도가 이루어졌고, 끝내 발사에 성공하였다. 발사 38분 후에는 오스트레일리아 동가라(Dongara) 지상국과의 첫 교신도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14]
제원
[편집]- 기능
특징 및 의의
[편집]이전까지는 일본의 기상위성인 MTSAT-1R과 미국의 기상위성으로부터 위성 영상 이미지를 얻었으나, 천리안이 운영되면 독자적인 위성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기상관측 센서는 미국의 ITT사에서 주문 제작하였고,[15] 기상자료 처리시스템(CMDPS)은 국립기상연구소에서 개발하였다.[16]
천리안에는 설계, 제작, 시험 등 전 과정을 순수 대한민국 국산 기술로 개발한 통신 중계기가 처음으로 탑재되어,[17] 대한민국은 세계 10번째 정지궤도 통신위성의 자체개발 국가가 되었다. 통신 탑재체 및 관제시스템은 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주관하여 개발했다.[16] 또한 천리안 위성은 위성통신을 위해 흔히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인 Ku 밴드가 포화됨에 따라, 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인 Ka 밴드의 지원을 포함하였다.[15] Ka-Band는 3DTV나 UHDTV와 같은 광대역 위성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수용에 유리하지만, 보다 높은 수준의 기술이 필요하다.
해양관측 센서는 EADS 아스트리움사와 공동으로 제작하였고, 해양자료 처리시스템은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에서 개발하였다.[16]
충돌 위험
[편집]러시아는 천리안의 궤도 동경 128.2도의 정지궤도가 러시아 소유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정지궤도는 어느 특정국가가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자원이 아니며, 러시아가 동경 128.2도에 정지궤도위성이 없으므로 한국은 이를 무시하고 발사했다. 2011년 2월 NORAD에 등록되지 않은 러시아 군용 통신 위성 라두가 1-7이 궤도를 변경해 천리안 위성을 위협했다. 천리안 위성은 충돌을 피하기 위해 궤도를 변경했다. 위성은 잦은 궤도를 변경하면 내부 탑재 연료가 일찍 소모되어 위성 수명이 짧아진다.[18][19]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국산 1호 통신해양기상위성 발사된다 대덕넷2002-12-16
- ↑ 통신해양기상위성 명칭 '천리안' 선정, 연합뉴스, 2010년 4월 1일
- ↑ 기상관측 전용위성 2008년 발사…佛과 공동개발 세계일보 2006-08-23
- ↑ 가 나 다 “국가기상위성센터 천리안위성 소개”. 2017년 7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25일에 확인함.
-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천리안 1호 소개
- ↑ 천리안해양관측위성 소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구용회 기자 (2010년 6월 27일). “국내 첫 정지궤도 위성 천리안 발사 성공”. 노컷뉴스. 2010년 6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통신해양기상위성' 최종시험 위해 프랑스로 이송, 아시아경제, 2009년11월 25일.
- ↑ “천리안(통신해양기상위성) 발사준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0년 3월 31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나로호 발사 순항, 천리안 발사 안개 속, YTN, 2010년 4월 15일.
- ↑ 통신해양기상위성 ‘천리안’ 내달 24일 발사, 공감코리아, 2010년 5월 28일
- ↑ 기상관측위성 천리안 발사 25일 재시도, 한국일보, 2010년 6월 24일.
- ↑ <천리안 위성> 25일 발사도 16초전 중단, 연합뉴스, 2010년 6월 25일.
- ↑ <천리안 위성> 발사 성공..천이궤도 진입(종합), 연합뉴스, 2010년 6월 27일.
- ↑ 가 나 우주 셋방살이 '탈출 프로젝트' 가동 대덕넷 2005-09-20
- ↑ 가 나 다 2008년 통신해양기상위성 쏜다 국제신문 2005-04-22
- ↑ (사보마당)항우연 통신해양기상위성 사업단은? 대덕넷 2006-07-26
-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52&aid=0000343741
-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2&aid=0002239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