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무 정보
|
관리 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
발사일
|
미정
|
발사 장소
|
미정
|
탑재체
|
탑재체
|
SAR
|
해상도
|
0.5m
|
아리랑 6호는 2022년에 발사될 예정인 대한민국의 해상도 0.5m급 레이다 영상 다목적실용위성이다.[1]
2016년 8월 9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러시아의 로켓 업체인 국제발사체서비스(ILS)와 앙가라 1.2를 이용해 한국의 아리랑 6호를 2022년 러시아 플레세츠크 우주기지에서 발사하기로 계약했다고 밝혔다.[2]
2022년 이후에 일어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발사일정이 무산됐으며, 후보지로 미국의 spaceX 와 영국의 ESA와 협력해서 발사될 예정이다.[3]
같이 보기[편집]
- ↑ 관계부처 합동 (2013년 11월).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 (PDF). 2014년 2월 28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아리랑6호, 러시아 상업 발사체 앙가라 통해 발사, 세계일보, 2016.08.09
- ↑ 한국위성 러시아 발사 사실상 무산…정부, 대체발사 881억 추산, 연합뉴스, 2022.09.28
|
---|
개발기관 | |
---|
우주센터 | |
---|
로켓 엔진 | |
---|
로켓 | 한국형 과학관측 로켓 (KSR) | |
---|
한국형 우주 발사체 (KSLV) | |
---|
|
---|
인공위성 | 소형위성 (100~500㎏) | |
---|
중형위성 (500~1000㎏) | |
---|
군사위성 | |
---|
통신위성 |
- 무궁화 위성 (1호(1995–2005)
- 2호(1996–2015)
- 3호(1999–현재)
- 5호(2006–현재)
- 6호(2010–현재)
- 7호(2017–현재)
- 5A호(2017–현재))
|
---|
정지궤도위성 |
- 천리안 위성 (1호(2010–현재)
- 2A호(2018–현재)
- 2B호(2020-현재))
|
---|
항공위성 | |
---|
큐브위성 | |
---|
|
---|
우주 탐사선 | |
---|
기타 | |
---|
개발중이거나 연구중인 것은기울림꼴 로 표기, 실패한 것은 †로 표기 운용 기간은 (20nn–20nn) 형식으로 표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