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1세 (잉글랜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임스 6세/1세
James Charles Stuart
스코틀랜드 국왕
재위 1567년 7월 24일 – 1625년 3월 27일
대관식 1567년 7월 29일
전임 메리 스튜어트
후임 찰스 1세
섭정
잉글랜드 국왕
아일랜드 국왕
재위 1603년 3월 24일 – 1625년 3월 27일
대관식 1603년 7월 25일
전임 엘리자베스 1세
후임 찰스 1세
신상정보
출생일 1566년 6월 19일
사망일 1625년 3월 27일
가문 스튜어트
부친 단리 경 헨리 스튜어트
모친 메리 스튜어트
배우자 아나 애 단마르크
자녀 웨일스 공 헨리 프레더릭
보헤미아 왕비 엘리자베스
잉글랜드-스코틀랜드 왕 찰스
종교 성공회
묘소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
서명

제임스 1세(영어: James I, 1566년 6월 19일 ~ 1625년 3월 27일)는 잉글랜드스코틀랜드 왕국의 왕이다. 휘는 제임스 찰스 스튜어트(James Charles Stuart). 모친 스코틀랜드 여왕 메리 1세의 뒤를 이어 스코틀랜드의 군주 제임스 6세(스코트어: James VI)로 즉위하였으며 후에 잉글랜드 여왕 엘리자베스 1세의 종손[1] 자격으로 그녀의 뒤를 이어 잉글랜드왕 제임스 1세로 즉위하였다.

생애[편집]

혈통[편집]

제임스의 생모는 스코틀랜드의 여왕 메리 스튜어트다. 제임스의 어머니 메리 스튜어트는 프랑스의 왕 프랑수아 2세의 왕비였으나 프랑수와 2세가 사망한 후 귀국하여 스코틀랜드 여왕에 올랐다. 그러나 그녀는 실정을 거듭한 끝에 1567년 7월 24일에 스코틀랜드 귀족들에 의해 폐위 된 후 잉글랜드로 망명하였다. 그녀의 왕위는 태어난지 얼마 안된 아들 제임스(제임스 6세)가 이어받았다. 스코틀랜드의 국왕이었던 제임스는 훗날 1603년에 잉글랜드 여왕 엘리자베스 1세가 사망한 뒤에 잉글랜드 왕위에도 올라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의 공동 국왕으로 동군연합을 형성했다. 제임스는 혈통상 잉글랜드의 왕위계승권의 자격이 있었는데 그의 증조모이자 외증조모가 마거릿 튜더였기 때문이다.

마거릿은 잉글랜드 국왕 헨리 7세의 장녀이며 마거릿과 헨리 8세는 잉글랜드 국왕 에드워드 4세의 외손들로서 혈통을 이어받았다. 마거릿은 스코틀랜드 국왕 제임스 4세와의 사이에서 제임스 5세를 낳았고 얼마 지나지않아 남편을 사별하게 된다. 이후 마거릿은 앵거스 백작 아치볼드 더글라스와 혼인하여 마거릿 더글라스를 낳았다. 마거릿 더글라스는 레녹스 백작 매슈 스튜어트와 혼인하여 아들 단리 경 헨리 스튜어트를 낳았다. 제임스 5세와 마거릿 더글라스는 동복남매이며 제임스 5세의 딸 메리와 헨리 스튜어트는 사촌간이다. 이들 사이에 태어난 자식이 스코틀랜드왕으로 즉위한 제임스 6세이다.

정치[편집]

엘리자베스 1세 때부터 의회는 독점권 부여를 에워싸고 국왕과 대립해 있었는데 제임스 시대에 시민계급을 중심으로 한 의회 세력은 강력해지고 있었다. 그는 이러한 신흥 세력을 충분히 평가하지 못하였고 의회에 부여되어 있던 특권·관행에도 무지하여 종교·재정·외교 문제로 사사건건 의회와 대립했다. 그는 엘리자베스 1세의 뒤를 이어서 영국을 다스렸으나 엘리자베스 1세의 위대한 업적에 가려져 별 볼일 없는 왕으로 평가받았다. 기록에 따르면 국민들은 위대한 엘리자베스 시대에 향수를 느끼기 시작했고 그에 따라 제임스 1세의 인기는 점점 없어져 갔다고 한다.

국기의 변화[편집]

맨 처음 영국 국기잉글랜드 국기였으나 제임스 1세가 잉글랜드의 국왕이 된 계기로 1606년스코틀랜드 국기와 합쳐져 최초의 영국 국기가 탄생하였다. 또 제임스 1세가 왕위에 오른 뒤인 1607년 5월 14일 영국인이 배를 타고 북아메리카 신대륙으로 갔었는데 그곳을 제임스타운이라고 부른 것도 이 제임스 1세의 이름을 딴 것이다. 그리고 제임스타운을 포함한 당시 13주가 영국의 식민지에 속하였기 때문에 줄무늬가 13개로 된 비공식 국기가 탄생하였고 이는 곧 미국 국기의 유래가 되었다.

종교 정책[편집]

제임스 1세는 영국 국왕에 오른 이후 의회를 해산하고 청교도에게 영국 성공회로 개종할 것을 강요하는 등 독재 정치를 폈다. 이에 1620년 청교도들은 박해를 피해 메이 플라워 호를 타고 자유를 찾기 위해 북아메리카 신대륙으로 떠나 그곳을 퓨리턴이라고 불렀다.[2]

'No Bishop No King'- 제임스 1세는 주교에 강력한 권한을 주는 것이 왕의 권력을 유지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는 1604년 헴튼 법정에서 가톨릭과 청교도 학자들이 모이게 한 뒤, 청교도에 적대적인 고교회파를 강력하게 지지하는 입장을 가졌다.

킹 제임스 성경 편찬[편집]

"번역은 빛이 들어오도록 창문을 열어주고, 성스러운 땅이 보이도록 장막을 걷어주고, 물을 마실 수 있도록 우물 덮개를 치워주는 것이다"

제임스 1세가 발간한 킹 제임스 성경의 서문에는 이렇게 쓰여 있다. 이전 문서에서는 중세시대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는 성경을 금서로 지정하여 일반인들이 읽지 못하도록 하였다고 잘못 서술했으나, 《성서, 역사와 만나다》(야로슬라프 펠리칸, 김경민, 양세규 옮김, 비아)에 따르면 구텐베르크가 인쇄술을 발명하기 이전에는 성서를 비롯한 책은 손으로 옮겨 써야 했기 때문에 아주 비싼 것이었으므로 당연히 평신도들은 성서를 사서 읽기 어려웠다. 당시 책이 매우 비싸다는 사실은 대학교에서 학생회가 교수들에게 "강의를 대충 하지 말 것. 일일이 손으로 옮겨서 펴내는 터라 교과서가 비싸서 교수들의 강의를 듣고 공부를 해야 하는데, 교수가 강의를 대충 하면 학문을 할 수 없음."이라고 항의한 사실(김경묵 외 씀, 《이야기 세계사》, 청아출판사,1985년)에서도 드러난다.

그러나 잉글랜드에서는 김성한 선생이 쓴 역사소설 《바비도》에서 양복을 만드는 노동자인 바비도가 로마 가톨릭교회의 탄압에 굴복하지 않고, 위클리프가 대중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라틴어가 아닌, 읽기 쉬운 영문으로 옮긴 영문성서를 읽고, 로마 가톨릭 주교들의 간사한 말과 바비도의 용감함에 감탄한 왕세자의 회유에도 영문성서를 읽은 행동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빵과 포도주는 예수의 실제 몸과 피가 아닌 빵과 포도주일 뿐이라면서 양심(여기서 양심은 도덕이 아닌, 의식, 사상을 뜻한다. 실제 양심을 뜻하는 Consciense의 어원인 라틴어 Conscientia(콘시엔티아)는 의식, 사상을 뜻한다.)을 버리지 않아 순교한 줄거리(스토리)에서 알 수 있듯이 성서를 영문으로 옮겨서 평신도들이 성서를 읽을 수 있도록 한 교회개혁 전통이 있었다. 윌리엄 틴들도 로마 가톨릭 교회의 박해와 체포 위협 속에서도 유럽 대륙을 떠돌며, 지식인들만의 언어인 라틴어가 아니라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원전에 의한 번역 작업을 계속해 1526년 영어 신약 성서를 완성하고 독일에서 인쇄해 영국으로 보냈다. 지식인들만 이해할 수 있는 라틴어가 아닌, 잉글랜드 교회의 평신도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영문으로 성서를 번역한 것이다. 틴들은 1535년 네덜란드에서 가톨릭 교회에 붙잡혀 화형당하고 그의 성서는 제임스 1세의 킹 제임스 성경으로 다시 태어난다. 제임스 1세는 47명의 학자들을 동원하여 위클리프의 필사본 성서, 윌리엄 틴들의 성서, 『대성서』, 『제네바 성서』, 『비숍(주교) 성서』 등을 종합적으로 참조하여 최고의 영어 번역 성서를 출판했다. 이것이 오늘 날까지 내려오는 킹 제임스 성경이다.[3]

화약 음모 사건[편집]

제임스 1세가 엘리자베스 여왕의 뒤를 이어 잉글랜드 왕위에 올랐을 때 잉글랜드에는 스페인의 무적함대와의 전투 이후부터 심화된 반가톨릭적 정서가 강하게 존재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임스 1세가 시행한 가톨릭 정책은 그 당시로서는 놀랄 만큼 온건한 것이었다. 하지만 가톨릭 교회는 제임스 1세의 대가톨릭 정책에 만족하지 못하고 그를 암살하고자 시도했다. 그 대표적인 사건이 1605년 가톨릭 교도인 가이 포크스에 의해 저질러진 화약음모사건이다. 이 사건 직후 제임스 1세의 가톨릭 정책은 강경책으로 돌아섰지만 그렇다고 가톨릭에 대해 가혹한 박해로 연결시키지는 않았다. 역사가들은 제임스 1세가 종교적 관용의 정신에 따라 가톨릭을 포용했다고 주장하고 있다.[4]

사망[편집]

암살되었다는 설도 있으나, 실제로는 1625년 3월 27일에 59세로 병사했다.


가계도[편집]

제임스 1세가 잉글랜드의 왕위를 계승할 수 있게 만들어준 가계도이다. 엘리자베스 1세와 제임스 1세의 사이를 촌수로 따져 보면 6촌간이며 항렬로 따지면 할머니와 손자 사이가 된다.

 
 
 
 
 
 
 
 
 
 
 
 
 
 
 
 
 
 
고조부 제2대 레녹스 백작 매슈 스튜어트
 
 
 
 
 
 
 
증조부 제3대 레녹스 백작 존 스튜어트
 
 
 
 
 
 
 
 
 
 
 
고조모 엘리자베스 해밀턴[5]
 
 
 
 
 
 
 
조부 제4대 레녹스 백작 매슈 스튜어트
 
 
 
 
 
 
 
 
 
 
 
 
 
 
고외조부 제1대 애솔 백작 존 스튜어트
 
 
 
 
 
 
 
증조모 애솔 백작 영애 엘리자베스 스튜어트
 
 
 
 
 
 
 
 
 
 
 
고외조모 엘러노어 싱클레어[6]
 
 
 
 
 
 
 
부친 단리 경 헨리 스튜어트
 
 
 
 
 
 
 
 
 
 
 
 
 
 
 
 
 
고외조부 앵거스 경 조지 더글러스
 
 
 
 
 
 
 
증외조부 제6대 앵거스 백작 아치볼드 더글러스
 
 
 
 
 
 
 
 
 
 
 
고외조모 엘리자베스 드러먼드[7]
 
 
 
 
 
 
 
조모 앵거스 백작 영애 마거릿 더글러스
 
 
 
 
 
 
 
 
 
 
 
 
 
 
고외외조부 헨리 7세(=외외고조부)
 
 
 
 
 
 
 
증외조모 잉글랜드 왕녀 마거릿 튜더(=외증조모)
 
 
 
 
 
 
 
 
 
 
 
고외외조모 잉글랜드 왕녀 요크의 엘리자베스[8](=외외고조모)
 
 
 
 
 
 
 
제임스 1세 (잉글랜드), 6세 (스코틀랜드)
 
 
 
 
 
 
 
 
 
 
 
 
 
 
 
 
 
 
 
 
외고조부 제임스 3세
 
 
 
 
 
 
 
외증조부 제임스 4세
 
 
 
 
 
 
 
 
 
 
 
외고조모 마르그레테 애 단마르크 왕녀[9]
 
 
 
 
 
 
 
외조부 제임스 5세
 
 
 
 
 
 
 
 
 
 
 
 
 
 
외외고조부 헨리 7세(=고외외조부)
 
 
 
 
 
 
 
외증조모 잉글랜드 왕녀 마거릿 튜더(=증외조모)
 
 
 
 
 
 
 
 
 
 
 
외외고조모 잉글랜드 왕녀 요크의 엘리자베스[10](=고외외조모)
 
 
 
 
 
 
 
모친 메리 1세
 
 
 
 
 
 
 
 
 
 
 
 
 
 
 
 
 
외외고조부 르네 2세 드 로렌 공작
 
 
 
 
 
 
 
외외증조부 클로드 드 기즈 공작
 
 
 
 
 
 
 
 
 
 
 
외외고조모 필리파 폰 겔더른 공녀[11]
 
 
 
 
 
 
 
외조모 마리 드 기즈 공녀
 
 
 
 
 
 
 
 
 
 
 
 
 
 
외외외고조부 프랑수아 드 방돔 백작
 
 
 
 
 
 
 
외외증조모 앙투아네트 드 방돔 백작 영애
 
 
 
 
 
 
 
 
 
 
 
외외외고조모 마리 드 생폴 백작 영애[12]
 
 
 
 
 
 

가족관계[편집]

덴마크의 앤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들은 다음과 같다.

사진 이름 생일 사망 기타
웨일스 공 헨리 프레더릭 1594년 2월 19일 1612년 12월 8일(18세) 요절.
엘리자베스 스튜어트 1596년 8월 19일 1662년 2월 13일 프리드리히 5세 폰 팔츠의 부인
마거릿 1598년 12월 24일 1600년 요절.
찰스 1세 1600년 11월 19일 1649년 1월 30일(48세)
로버트 1602년 1월 18일 1602년 5월 27일
메리 1605년 4월 8일 1607년 12월 16일(2세) 요절
소피아 1607년 1607년 요절

자녀들은 대부분 일찍 요절했다.

각주[편집]

  1. 제임스 1세의 증조모이자 외증조모 마거릿이 잉글랜드왕 헨리 7세의 딸이며 엘리자베스는 헨리 7세의 손녀이기에 제임스는 잉글랜드 왕위계승권 보유
  2. 《예수와 제국》/리처드 호슬리 지음/김준우 옮김/한국기독교연구소 刊
  3. 부길만 《출판기획물의 세계사》(커뮤니케이션북스)
  4. 강미경《제임스1세의 가톨릭 정책,영국 연구 27호》(영국사학회, 2012)
  5. 제1대 해밀턴 경 제임스 해밀턴의 영애
  6. 제1대 케이스네스 백작 윌리엄 싱클레어(케이스네스는 갈리브(Gallaibh)로도 불림)의 영애
  7. 제1대 드러먼드 경 존 드러먼드의 영애
  8. 에드워드 4세의 딸
  9. 크리스티안 1세의 딸
  10. 에드워드 4세의 딸
  11. 아돌프 폰 겔더른 공작의 영애
  12. 피에르 2세 드 생폴 백작의 영애

참고 자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임
메리 1세
스코틀랜드의 왕
1567년 - 1625년
후임
찰스 1세
전임
종조모 엘리자베스 1세
잉글랜드아일랜드의 왕
1603년 - 1625년
후임
찰스 1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