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구르드 디그리

시구르드 디그리
Sigurðr digri | |
---|---|
![]() | |
노섬브리아 백작 | |
재위 | 1041년–1055년 |
전임 | 시구르드 디그리 (요크 백작) 애드울프 3세 (베르니시아 백작) |
후임 | 토스티그 고드윈손 |
군주 | 하르다크누트 (1040년-1042년) 에드워드 참회왕 (1042년-1066년) |
요크 백작 | |
재위 | 1023년-1033년 |
전임 | 에이리크 하코나르손 |
후임 | 시구르드 디그리 (노섬브리아 백작) |
군주 | 크누트 대왕 (1016년-1035년) |
이름 | |
휘 | 시구르드 (고대 노르드어: Sigurðr, 고대 영어: Sigeweard, 라틴어: Siwardus) |
별호 | 굳센 (고대 노르드어: digri, 라틴어: Grossus) |
신상정보 | |
출생일 | ?? |
출생지 | 스칸디나비아 |
사망일 | 1055년 |
부친 | 뵤른 (Bjorn)? |
배우자 | 앨드레드 2세의 딸 앨플래드 (Ælfflæd) 고드기푸 (Godgifu) |
자녀 | 오스뵤른 불락스 (모친 미상) 월세오프 (앨플래드 소생) |
기타 친인척 | 울프 야를? |
묘소 | 세인트올라브 교회 |
시구르드 디그리(고대 노르드어: Sigurðr digri, 고대 영어: Sigeweard, 라틴어: Siwardus Grossus:[1] ?-1055년)는 11세기 북잉글랜드의 중요한 백작이다. "디그리"란 "굳세다"라는 뜻이다. 시구르드는 스칸디나비아 출신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울프 야를의 친척일 가능성도 있다. 크누트 대왕이 1010년대에 잉글랜드를 정복하자 많은 노르드인들이 잉글랜드로 이주했는데, 시구르드도 그 중 하나였을 것이다. 크누트 치하에서 시구르드는 북잉글랜드에서 군림하는 대영주로 위세를 누렸다. 1033년부터 죽을 때까지 크누트의 직속 백작으로서 노섬브리아 남부, 오늘날의 요크셔 지방을 다스렸다.
시구르드는 크누트의 후계자인 하르타크누트, 에드워드 아래에서도 군사령관 및 자문관으로서 계속 권력을 유지했다. 1050년대에는 노샘프턴이나 헌팅던 같은 중부 잉글랜드에도 통치권을 얻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컴벌랜드에 노섬브리아의 영향력을 투사했다는 증거가 다소 있다. 1050년 초 시구르드는 북쪽의 알바 왕국의 왕 막 베하드 막 핀들라크를 적대하여 전쟁을 벌였다. 1054년 전투에서 아들 오스뵤른 불락스가 전사했지만 전투에는 승리하여 막 베하드를 쳐부쉈다. 1055년 시구르드는 사망했다. 생존한 유일한 아들 월세오프는 작위를 계승하지 못했고 나중에 노섬브리아 백작이 되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맥베스』에 나오는 "노섬브리아 백작 시워드"가 이 사람이다.
각주[편집]
- ↑ The English name Siward or Sigeweard was cognate to the single Old Norse name written variously as Sigvarðr and Sigurðr; see Holman, Northern Conquest, p. 103; Munch (ed.), Chronica regum Manniae et Insularum, vol. i, p. 140; Stevenson, Simeon of Durham, p. 119. He was known in Latin as Siwardus.
![]() |
이 글은 잉글랜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