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디난트 2세
페르디난트 2세
| |
![]() | |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독일의 군주 | |
재위 | 1619년 8월 28일–1637년 2월 15일 |
---|---|
대관식 | 1619년 9월 9일 프랑크푸르트 |
전임자 | 마티아스 |
후임자 | 페르디난트 3세 |
오스트리아 대공 | |
재위 | 1619년 3월 20일 - 1637년 2월 15일 |
전임자 | 마티아스 |
후임자 | 페르디난트 3세 |
크로아티아와 헝가리의 군주 | |
재위 | 1618년 7월 1일 - 1637년 2월 15일 |
전임자 | 마티아스 |
후임자 | 프리드리히 5세 |
보헤미아의 군주 | |
재위 | 1617년 6월 5일 - 1637년 2월 15일 |
전임자 | 마티아스 |
후임자 | 페르디난트 3세 |
신상정보 | |
출생일 | 1578년 7월 9일 |
출생지 | 오스트리아 그라츠 |
사망일 | 1637년 2월 15일 (58세) |
사망지 | 오스트리아 빈 |
가문 | 합스부르크 가문 |
부친 | 카를 2세 |
모친 | 바이에른의 마리아 아나 |
배우자 | 바이에른의 마리아 아나 엘레오노라 곤차가 |
자녀 | 페르디난트 3세 |
페르디난트 2세(Ferdinand II, 1578년 ~ 1637년, 재위 기간 1619년 ~ 1637년)은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이다. 보헤미아의 국왕 페르디난트 2세(체코어: Ferdinand II.), 헝가리의 국왕 페르디난드 2세(헝가리어: II. Ferdinánd)에 해당한다.
페르디난트 1세의 손자이자 오스트리아 대공 카를 2세의 아들이다. 반종교개혁의 전형적인 군주이다. 예수회원들에게 교육을 받은 그는 전제주의자이자 예수회파였다. 그는 황제에 선출되자마자 개신교 탄압에 앞장 섰다.[1] [2]
마티아스와 루돌프 2세와는 사촌간으로, 1617년 보헤미아 왕, 1618년 헝가리의 왕이 되어 프로테스탄트를 압박하고 로마 가톨릭 교회의 재건에 노력했다. 그 때문에 보헤미아의 프로테스탄트들은 가톨릭교도인 그의 폐위를 선포하고 팔츠 선제후(選帝侯) 프리드리히 5세를 옹립하여 30년 전쟁의 발단이 되었다. 그는 1619년 황제가 되어 내외의 가톨릭 세력의 원조를 얻어(이 당시 얀 예세니우스를 처형했다), 1620년 바이센베르크에서 프리드리히를 격파하고, 보헤미아에 합스부르크의 지배권을 확립하였다. 이어서 발렌슈타인을 기용하여 덴마크 왕 크리스티안 4세의 세력을 내몰아 한때는 전독일을 제패했다. 1629년 개신교인들에게 빼앗겼던 가톨릭 교회 재산을 복구시킨다는 복구령(Edict of Restitution)을 내리며 개신교를 가혹하게 탄압했다. 스웨덴 왕 구스타프 아돌프의 침입 및 그에 대한 프랑스 프로테스탄트의 원조로 그의 기도는 좌절되고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죽었다.
가족[편집]
- 첫 번째 아내 : 바이에른의 마리아 안나
- 크리스티네(1601)
- 카를(1603)
- 요한 카를(1605~1619)
- 페르디난트 3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 마리아 안나(1610~1665) 바이에른 선제후비
- 체칠리아 레나타(1611~1644) 폴란드 왕비(브와디스와프 4세 바사와 결혼)
- 레오폴트 빌헬름(1614~1662) 스페인령 네덜란드 총독
- 두 번째 아내 : 엘레오노라 곤차가
각주[편집]
참고 자료[편집]
전임 카를 2세 |
내지(內地) 오스트리아 대공 (페르디난트 3세로서) 1590년 - 1637년 |
후임 페르디난트 4세 |
전임 마티아스 |
보헤미아의 왕 1617년 - 1637년 |
후임 프리드리흐 |
전임 마티아스 2세 |
헝가리,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의 왕 (페르디난드 2세로서) 1618년 - 1637년 |
후임 페르디난드 3세 |
전임 마티아스 |
독일 왕 (공식적으로는 로마 왕) 1618년 - 1637년 |
후임 페르디난트 3세 |
전임 마티아스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스트리아 대공 1619년 - 1637년 |
후임 페르디난트 3세 |
전임 마티아스 |
외지(外地) 오스트리아 대공 (페르디난트 3세로서) 1619년 - 1623년 |
후임 레오폴트 5세 (1619년부터 통치) |
신성로마황제 | ||
---|---|---|
카롤링거 제국 | ||
신성 로마 제국 |
독일의 군주 | ||
---|---|---|
프랑크인의 왕 (-843년) |
| |
동프랑크인의 왕 (843–918) | ||
독일왕 (918–962) | ||
독일왕 겸 신성로마황제 (962–1806) | ||
라인 동맹 보호자 (1806–1813) | ||
독일 연방 의장 (1815–1848) | ||
독일인의 황제 (1849-1850) | ||
독일 연방 의장 (1850–1866) | ||
북독일 연방 의장 (1867–1871) | ||
독일 황제 (1871–1918) |
오스트리아의 군주 | |
---|---|
바벤베르크 가 | |
대공위 시대 | |
합스부르크 가 오스트리아 |
오스트리아 대공 | |
---|---|
1세대 | |
2세대 | |
3세대 | |
4세대 | |
5세대 | |
6세대 | |
7세대 | |
8세대 | |
9세대 | |
10세대 | |
11세대 | |
12세대 | |
13세대 | |
14세대 | |
15세대 | |
16세대 | |
17세대 | |
18세대 | |
19세대 | |
¹스페인 인판테 겸임 ²토스카나 공자 겸임 ³모데나 공자 겸임 |
헝가리의 군주 | ||
---|---|---|
아르파드 왕조 (대공, 850년 ~ 1000년) | ||
아르파드 왕조 (왕, 1000년 ~ 1301년) | ||
프르셰미슬 왕조 | ||
비텔스바흐 왕조 | ||
앙주 왕조 | ||
룩셈부르크 왕조 | ||
합스부르크 왕조 | ||
야기에우워 왕조 | ||
후녀디 왕조 | ||
야기에우워 왕조 | ||
서포여이 왕조 | ||
합스부르크 왕조 | ||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
보헤미아의 군주 | ||
---|---|---|
프르셰미슬 왕조 (공작, 870년경 ~ 1198년) | ||
프르셰미슬 왕조 (왕, 1198년 ~ 1306년) | ||
왕조 없음 | ||
루쳄부르스키 왕조 | ||
합스부르크 왕조 | ||
왕조 없음 | ||
야기에우워 왕조 | ||
합스부르크 왕조 | ||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
크로아티아의 군주 | ||
---|---|---|
크로아티아 공작 (카롤루스 제국의 봉신) | ||
트르피미로비치조 | ||
스바치치조 (명목왕) | ||
아르파드조 (헝가리와 동군연합) | ||
카페조 (헝가리·나폴리와 동군연합) | ||
룩셈부르크조 (헝가리·보헤미아와 동군연합) | ||
야기에우워조 (폴란드·보헤미아와 동군연합) | ||
후녀디가 (보헤미아와 동군연합) | ||
합스부르크조 (오스트리아·헝가리 ·보헤미아와 동군연합) | ||
합스부르크로트링겐조 (오스트리아·헝가리 ·보헤미아와 동군연합) | ||
카라조르제비치조 (유고슬라비아 국왕) | ||
사보이아오스타조 (나치 괴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