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한양대학교: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Modamoda (토론 | 기여)
→‎연혁: 성장기 편집
Modamoda (토론 | 기여)
→‎발전기(1959~1978): 편집, 내용추가
38번째 줄: 38번째 줄:
=== 발전기(1959~1978) ===
=== 발전기(1959~1978) ===
종합대학 한양대학교 승격인가 후부터 반월분교(현 에리카켐퍼스)설립 전까지를 발전기라 한다. <ref name="archive" />
종합대학 한양대학교 승격인가 후부터 반월분교(현 에리카켐퍼스)설립 전까지를 발전기라 한다. <ref name="archive" />
[[1959년]] [[대학|종합대학]]인 한양대학교로의 승격이 인가되었으며 3개 단과대학<ref>종합대학 승격 당시 있었던 단과대학은 공과대학, 문리과대학(자연과학 및 인문학) 정경대학(정치, 법률)이었다.</ref> 19개 학과 및 이부대학, 대학원으로 개편하였다. [[1959년]] 교내 언론기관인 한양대학보를 창간하고 중앙도서관을 준공하였다. 이듬해인 [[1960년]]에는 방송기관인 HUBS(現 한양대학교 교육방송국의 모체)을 개시하였으며, 같은해 예체능 관련학과<ref>음악과 및 영화과</ref>를 인가 및 신설하였다. 그 해 일어난 [[4.19]]에 학생들이 가담에 사상자가 나기도 하였다<ref>[http://www.hanyang.ac.kr/code_html/HY01/000002/105/69.html 한양대학교 자료]에 의하면 사망1, 부상2, 실종5로 기록되어있다.</ref>. 같은 해 학생회 및 단과대학 학생회, 총동문회가 구성 및 창립 되었다. [[1961년]]에는 [[ROTC]]교육훈련을 시작하였으며 이후 [[5.16]]등으로 혼란했던 사회상황때문에 학과 및 정원 재조정이 빈번했다<ref>[[1960년]]부터 [[1964년]]까지의 기간동안 학과및 정원 조정이 총 10번 있었다.</ref>. [[1965년]] 일본 [[와세다 대학]]과 상호 학술교류협정을 체결하였으며, [[1968년]]에는 계절학기를 도입하였다. [[1969년]]에는 現 학칙이 승인되었으며 이후 수회의 학과 및 정원 조정과 건물 준공 및 용도변경, 해외대학과의 자매결연 협정<ref>최초 해외대학과의 자매결연은 [[1971년]] 미국의 [[서던 일리노이대학교]](Southern Illinois University)이며 [[2009년]] 현재 미국은 40개 학교, 전 세계적으로는 30개국 151개교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ref>이 있었다. [[1972년]]에는 [[계엄령]]선포로 인해 45일간 휴교한 적도 있었으며, 같은해 [[한양대학병원|부속병원]]을 400병상 규모로 개설하였다. [[1973년]]에는 초대 [[김연준]] 총장이 물러나고 2대 총장 [[이해남]] 박사가 취임하였다. [[1975년]]에는 중국의 교육기관과 자매결연<ref>최초의 자매결연 중국 교육기관은 [[중국문화학원]](College of Chinese Culture)이며 2009년 현재는 중국의 45개 대학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ref>을 시작했으며, [[1976년]], [[2009년]]까지 사용 예정<ref>한양대학교에서는 [[2009년]] 가을 새로운 UI를 공표할 예정이다.</ref>인 UI(University Identity)를 공표하였다.<ref name="history" />
{{미완성}}


=== 도약기(1978~1989) ===
=== 도약기(1978~1989) ===

2009년 9월 13일 (일) 01:07 판

한양대학교
표어사랑의 실천
종류사립
설립1939년
총장김종량
학부생 수24,756 (2008)
대학원생 수7,948 (2008)
교직원 수1,182 (2008)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위치서울특별시 성동구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상징물개나리, 사자, 비둘기, 남색
웹사이트http://www.hanyang.ac.kr
Map 한양대학교의 위치

한양대학교(漢陽大學校; Hanyang University)는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동과 경기도 안산시 사1동에 위치한 사립대학교이다.

연혁

한양대학교 김종량 10대 총장이 제 11회 한양가요제 수상자와 함께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1939년 7월 김연준 (2008년 1월 7일 향년 94세의 나이로 작고)에 의하여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세워진 동아공과학원을 모태로 한 사립대학교이다. 1941년 동아고등공업학원으로 인가된 후 해방과 함께, 건국기술학교로 교명을 변경 하였으며, 1948년 재단법인 한양학원 인가와 함께 건국기술학교를 한양공과대학으로 승격, 초대학장에 김연준 박사로 했다. 그 후 6.25 사변 이후 서울 수복 후, 현 교지인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동 17번지에 교사를 건립한다. 1959년 한양공과대학을 교육법에 의해서 종합대학으로 승격, 현재의 교명으로 승격하였으며, 초대 총장에 김연준 박사가 취임하였다. 1978년 경기도 반월공업도시(현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3동)에 반월분교(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를 신설하였다. 1995년에는 경기도 구리시에 의과대학 부속 구리병원을 개원하였다. 2009년 안산캠퍼스의 명칭을 클러스터형 산업중심대학을 뜻하는 에리카캠퍼스(ERICA)로 변경하였다.[1] 2009년 8월 현재는 제 10대 김종량 총장이 역임중이다.

요람기(1939~1948)

동아공과 학원 설립부터 초대 이사장 취임 전까지를 요람기라 칭한다.[2] 1939년 7월 초대 김연준 박사에 의해 현 서울시 종로구터에 동아공과학원을 설립하게 되었으며, 2년제 3개 과로 개교하게 되었다. 1942년 동아고등공업학원을 설립하였으며, 일제의 고등교육 정책에 따라 신입생 모집 금지령을 당해 1944년 폐교하게 되었다. 이후 1945년 광복건국기술학교를 설립하였으며, 1946년 재단법인 한양학원을 설립하고 김연준 박사가 이사장에 취임하게 되었다. 이후 소화공과학교를 인수하여 한양공업학교를 설립하였다. 이후 건국기술학교를 개명, 승격등의 과정을 거쳐 한양공업대학관으로 승격하였으며, 재단법인 한양공과대학 설립인가를 받아 4년제 정규대학으로 승격하게 되었다. [3]

성장기(1948~1959)

초대 김연준이사장 취임부터 한양대학교 승격인가 전까지를 성장기라 한다. [2] 1948년 초대 법인 이사장에 김연준박사자 취입하였으며, 이후 몇가지 학과 개편과 부설 중등교원양성소를 설치하였다. 1950년 발발된 6.25사변과 함께 부산시 완월동의 가교사에서 수업을 하였으며, 1952년에는 한양공대 제1회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1953년 대학원 설립 인가를 받아 설치하게 되었으며, 1953년 서울 수복 후 성동구 신당동 인근의 임시교사에서 수업을 하고 이후 현 한양대학교가 위치한 행당동으로 이전 및 교사를 신축하게 되었다. 1955년 자연과학 관련 학과 신설 및 정원 확대를 하게 되었으며, 이후 여러 이공계 관련 학과들을 신설 및 확장하였다. [3]

발전기(1959~1978)

종합대학 한양대학교 승격인가 후부터 반월분교(현 에리카켐퍼스)설립 전까지를 발전기라 한다. [2] 1959년 종합대학인 한양대학교로의 승격이 인가되었으며 3개 단과대학[4] 19개 학과 및 이부대학, 대학원으로 개편하였다. 1959년 교내 언론기관인 한양대학보를 창간하고 중앙도서관을 준공하였다. 이듬해인 1960년에는 방송기관인 HUBS(現 한양대학교 교육방송국의 모체)을 개시하였으며, 같은해 예체능 관련학과[5]를 인가 및 신설하였다. 그 해 일어난 4.19에 학생들이 가담에 사상자가 나기도 하였다[6]. 같은 해 학생회 및 단과대학 학생회, 총동문회가 구성 및 창립 되었다. 1961년에는 ROTC교육훈련을 시작하였으며 이후 5.16등으로 혼란했던 사회상황때문에 학과 및 정원 재조정이 빈번했다[7]. 1965년 일본 와세다 대학과 상호 학술교류협정을 체결하였으며, 1968년에는 계절학기를 도입하였다. 1969년에는 現 학칙이 승인되었으며 이후 수회의 학과 및 정원 조정과 건물 준공 및 용도변경, 해외대학과의 자매결연 협정[8]이 있었다. 1972년에는 계엄령선포로 인해 45일간 휴교한 적도 있었으며, 같은해 부속병원을 400병상 규모로 개설하였다. 1973년에는 초대 김연준 총장이 물러나고 2대 총장 이해남 박사가 취임하였다. 1975년에는 중국의 교육기관과 자매결연[9]을 시작했으며, 1976년, 2009년까지 사용 예정[10]인 UI(University Identity)를 공표하였다.[3]

도약기(1978~1989)

반월분교(현 에리카켐퍼스)설립 후부터 개교 50주년까지를 도약기라 한다. [2] 틀:미완성

비상기(1989~현재)

개교 50주년 후부터 현재까지를 도약기라 한다. [2] 틀:미완성

학부

서울캠퍼스

에리카캠퍼스(구 안산캠퍼스)

  • 공학대학
    • 건축학부
    • 건설교통공학부
    • 전자컴퓨터공학부
    • 재료화학공학부
    • 기계·정보경영공학부
  • 국제문화대학
    • 한국언어문학과
    • 문화인류학과
    • 문화콘텐츠학과
    • 중국학과
    • 일본언어·문화학과
    • 영미언어·문화학과
    • 프랑스언어·문화학과
  • 언론정보대학
    • 광고홍보학부
    • 신문방송·정보사회학부
  • 과학기술대학
    • 과학기술학부
    • 분자생명과학부
  • 경상대학
    • 경제학부
    • 경영학부
  • 디자인대학
    • 금속디자인과
    • 영상디자인과
    • 산업디자인과
    • 섬유디자인과
    • 시각,패키지디자인과
  • 생활체육과학대학
    • 생활스포츠학부
    • 생활무용예술학과
  • 학부대학

교통

한양대역 2번출구 애지문 학교 내부로 통해있다
왕십리역

서울 캠퍼스

에리카캠퍼스

캠퍼스 풍경

서울 캠퍼스

한양대학교의 캠퍼스는 험준하기로 유명하다[11] 가파른 언덕이나 계단에는 고유한 이름이 붙어있으며, 인공폭포[12]와 스포츠 클라이밍 장소[13]도 있다. 틀:미완성

한양대학교 서울 캠퍼스의 풍경-여름
한양대학교 서울 캠퍼스의 풍경-겨울


주요건물

  • 본관/신본관 : 신본관은 2009년 완성되었으며 총장실을 비롯한 학교의 행정기관이 이곳에 있다.
  • 중앙도서관
  • HIT
  • 퓨전 테크놀로지 센터(FTC) : 융합학문 연구센터,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가 입주해 있으며, 2009년 일본 아소 다로 총리가 이곳을 방문하기도 했다.
  • 애지문 : 서울 지하철 2호선 한양대역 2번출구, 교내(본관앞)로 연결되어있다.

틀:미완성


학습시설

백남학술정보관
신한 라운지
  • 백남학술정보관 : 중앙도서관의 역할을 하는 건물 한양대학교 정중앙이자 최고도지역에 위치. 전자정보 검색실, 스터디룸 등의 시설이 있다.
  • 법학학술정보관 : 로스쿨 개원에 발맞춰 2008년 개관. 법과대학과 경제금융대학 사이에 있다.
  • 자연과학대학 도서관 : 자연과학대학 202호에 위치
  • 사회과학대학 도서관 : 사회과학대학 1층에 위치
  • 인문과학대학 도서관 : 인문대 지하 1층에 위치
  • 경영대 도서관
  • 경제금융대학 도서관 : 경제금융대학 건물 3층에 위치
  • 의과대학 도서관
  • 정보통신대학 도서관 : 정보통신관 4층에 위치
  • 공과대학 도서관 : 제1 공학관 4층에 위치
  • 스터디룸(백남학술정보관) : 백남학술정보관 지하 1층 휴게실에 위치
  • 스터디룸(법학학술정보관) : 법학학술정보관에 위치
  • 스터디룸(경영대) : 경영관에 위치
  • 신한 라운지 : 경영관 2층에 위치

식당시설

한양대학교 패컬티 레스토랑 CLUB H
한양대학교 학생식당 나누리

한양대학교에는 9개의 건물에 15개의 식당시설이 있다.

학생식당
  • 학생식당 : 한양플라자 3층에 위치
  • 사랑방 : 학생회관 3층에 위치
  • 중식당 : 학생회관 6층에 위치
  • 나누리 : 행원파크 지하 1층에 위치
  • 신 학생식당 : 신소재 공학관 지하 1층에 위치
  • 제 2 생활관 기숙사 식당 : 제2생활관 1층에 위치
  • 한양여대 학생식당 : 한양여자대학 행원스퀘어에 위치
교직원식당
  • 교직원 식당 : 생활과학대학 7층에 위치, 서울의 전망을 감상할 수 있는 장소로도 유명하다
  • 신 교직원 식당 : 신소재 공학관7층에 위치
  • CLUB H : HIT 6층에 위치, 프라자호텔에서 직영으로 운영한다.
  • 한양여대 교직원 식당 : 한양여자대학 행원스퀘어에 위치, 학생식당 옆에 있다.
기타 식당시설
  • 한양식당 : 병원건물에 위치
  • 한양대학교병원 구내식당 : 병원건물 지하1층에 위치
  • 김밥천국 : 한양플라자 1층에 위치
  • 파파이스 : 한양플라자 1층에 위치

편의시설

금융시설
  • 신한은행 동문회관점 : 동문회관 3층에 위치
  • 신한은행 한양여대점 : 행원스퀘어 지하1층에 위치
  • 신한은행 ATM : 백남학술정보관 1층, 생활과학대학 1층,행원파크 지하1층, 신소재공학관 지하1층, 대학원 1층, 한마당에 위치
  • 국민은행 ATM : 한마당에 위치
복지시설
한양플라자 카페테라스
  • 학생회관 : 한양 서비스센터, 사랑방 학생식당, 중식당, 총학생회실 및 언론기관들이 있다.
  • 한양플라자 : 학생복지시설, 학생식당, 기념품점, 소극장, 우체국, 동아리방, 취업지원센터, 편의점
녹지시설
  • 행원파크 : 나누리 학생식당, 골프연습장, 인공폭포, 분수대, 녹지시설, 커피숍, 편의점
  • 정문 분수대 : 계단분수대 / 일반 분수대 2기가 위치
  • 행원파크 분수대 : 일반 분수대
  • 인공폭포 : 행원파크에 위치
  • 진사로 : 나무계단, 녹지, 쉼터등이 위치
커피숍 / 베이커리
  • 로즈버드 한양플라자점 : 한양플라자 1층에 위치
  • 프리페레 : 한양플라자 1층에 위치
  • Museum Cafe : 박물관 옆 야외에 위치
  • 로즈버드 대학병원점 : 한양대학교 병원 본관 1층에 위치
  • 로즈버드 한양여대점 : 행원스퀘어에 위치
  • 커피 빌리지 : 행원파크 지하 1층에 위치
  • 쿠벅 학술정보관점 : 제 1 공학관, 백남학술정보관, 생활과학대학 중앙에 위치
  • 쿠벅 법학학술정보관점 : 법학학술정보관 입구에 위치 2009년 7월 한양사이버대학교 제 2 교사로 이전
  • 쿠벅 한양사이버대학점 : 한양사이버대학교 제 2 교사 1층에 위치
  • 르방 베이커리 : 한양플라자 1층에 위치
  • 신라명과 : 행원스퀘어에 위치
  • 호두과자 : 한양플라자 3층에 위치
매점 / 편의점
  • 미니스톱 한양플라자점 : 한양플라자 1층에 위치
  • 미니스톱 대학병원점 : 한양대학교 병원 본관 3층에 위치
  • 세븐일레븐 신소재공학관점 : 신소재 공학관 지하 1층에 위치
  • 미니스톱 학술정보관점 : "사자가군것질할때"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줄여서 "사군"이라고도 한다. 제 1 공학관, 백남학술정보관, 생활과학대학 중앙에 위치
  • 인문대 매점 : 자연대, 인문대 사이 혁신광장(청년광장)에 위치
  • 경영대 매점 : 행원파크 지하 1층에 위치
  • 경금대 매점 : 경제금융대학 야외에 위치 2009년 7월 한양사이버대학교 제2 교사로 이전
  • 한양사이버대학 매점 : 한양사이버대학교 제2교사 2층에 위치
  • 체육대학 매점 : 올림픽 체육관 2층에 위치
  • 제2 공학관 매점 : 제 2 공학관, 노천극장 사이에 위치
  • 한양여대 매점 : 행원스퀘어 지하 1층에 위치
샤워시설
  • 노천극장 1층
  • IT/BT관 전층
  • 자연과학대학 지하 1층 / 6층
  • 경금대 5층
  • 인문대 지하 1층

틀:미완성

서점 / 문구점
  • 구내 서점 학생회관점 : 학생회관 1층에 위치
  • 구내 서점 동문회관점 : 동문회관 3층에 위치
  • 구내 문구점 학생회관점 : 학생회관 1층에 위치
  • 구내 문구점 동문회관점 : 동문회관 3층에 위치
  • 구내 문구점 신소재공학관점 : 신소재 공학관 지하1층에 위치
복사실

틀:미완성

  • 인문대 지하 1층
  • 정보통신관 1층
  • 한양플라자 1층
  • 백남학술정보관 지하 1층
  • 제1공학관 1층
  • 공업센터 본관 4층
  • 신소재공학관 지하 1층
  • 학생회관 2층
  • 경제금융대학 지하 1층
기타
  • 기념품점 : 한양플라자 1층
  • 휴대폰 판매점 : 한양플라자 1층
  • 구내 여행사 : 한양플라자 3층
  • 구내 시계판매점 : 한양플라자 1층
  • 구내 사진부 : 한양플라자 1층

틀:미완성

언덕

  • 진사로 : 정문에서 한마당으로 올라가는 언덕, 매우 가파르다. 지금은 리모델링하여 녹지시설과 나무계단이 있다.
  • 폭풍의 언덕 : 생활과학대학 - 한양사이버대학 - 법학학술정보관으로 이어지는 언덕길, 바람이 자주 불어 폭풍의 언덕이라 한다

계단

한마당과 미나스티리스를 이어주는 138계단
  • 138계단 : 한마당 - 인문과학대학을 이어주는 계단, 2008년 리모델링 후 20개가 더 늘어서 현재는 158개의 계단이 있다.
  • 88계단 : 한마당 - 사회과학대학을 이어주는 계단, "애국한양"이라는 글씨가 쓰여있며 한양플라자측 계단을 통해 갈 경우 F학점을 맞는다는 미신이 있다. 실제 계단의 수는 83개라고 한다. 2009년 한양대학교 축제 라치오스의 일환으로 페인팅을 다시 했다
  • 정력계단 : 의과대학 - 자연과학대학을 이어주는 계단, 계단 하나하나의 고저차가 커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공연시설

겨울의 노천극장
  • 노천극장 : 제2 공학관 앞에 위치, 한양가요제, MBC FM4U 공개방송등 비중이 큰 공연이 이곳에서 열린다.
  • 한양예술극장 : 정보통신관 1층 - 올림픽 체육관 1층에 위치
  • 소극장 : 한양플라자 1층에 위치
  • 콘서트홀 : 학생회관 4층에 위치

지역

  • 미나스티리스 : 인문대 - 자연대 - 사범대가 있는 최고도지역을 칭하는말, 반지의 제왕에 나온 요새와 흡사하게 절벽위에 건물이 있어 이런 별칭이 붙었다
  • 제 3 캠퍼스 : 경금대, 법대, 정책대, 경영대, 정보통신대, 예술학부, 체육대학 등 산 꼭대기 너머에 있는 지역을 칭하는 말, 실제로는 서울캠퍼스에 편제되어있으나, 지형으로 인한 접근성 문제나 인문학 중심의 학문의 특성상 자연계열 중심 지역(산 너머가기전)과의 교류가 드물어 이런 별칭이 붙었다.

에리카 캠퍼스

틀:미완성

사건 / 사고 / 행사(단기성/일회성)

이석씨 폭행 치사사건

1997년 한양대학교 총학생회실에서 이석씨가 사망한 사건. 가해자인 한총련측은 이석씨가 경찰의 프락치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경찰측은 이석씨가 단순 기능수리공이었으며 한총련측에서 프락치로 오인을 해서 사망에 이르게 했다고 주장하고 있다.[14]

36대 Change 4 U 총학생회 학생회비 배임 및 횡령사건

2007년 비상대책위원회의 문제제기에 따라 36대 Change 4 U 총학생회가 약 1,400만원의 배임 및 횡령(Change 4 U측 자료)으로 인해 총 사퇴 한 사건. 학교당국에서는 자세한 감사자료를 공개하지 않았다[15]

한양공대 70주년 기념 EXPO

2009년 5월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7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개최한 행사. 올림픽체육관에서 이루어졌다.

70일의 기적

최다 헌혈자 수로 기네스북에 등재된 한양대학교 70일의 기적행사

2009년 한양대학교 70주년을 맞이하여 기획한 행사. 사랑의 실천이라는 학교의 표어에 부응하는 취지로 70일간 7,000명의 헌혈 기네스에 도전을 하였다. 2009년 5월 16일까지 진행된 이 행사는 KBS 사랑의 리퀘스트 생방송을 끝으로 마감했으며, 총 6,211명의 기록을 내며 한국 기네스북에 등재 되었다[16]








사건 / 사고 / 행사(연례성/주기성)

한양대학교 축제(제1회 한양사진기록 공모전 최우수상 수상작)
한양대학교 새로배움터

유재하 음악경연대회

유재하씨의 모교인 한양대학교에서 매년 유재하 음악경연대회를 유치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라치오스(봄 축제)

매년 봄 열리는 한양대학교 축제의 이름. 이전에는 대동제라는 이름으로 사용되었으나 2009년 제 37대 총학생회 SAY부터 이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문서를 참고.

애한제(가을축제)

매년 가을 열리는 한양대학교 축제의 이름. 틀:미완성

MBC FM4U 여름음악 페스티발

한양대학교 노천극장에서 열리는 MBC FM4U 여름음악 페스티발

매년 여름 노천극장에서 열리는 MBC 라디오 공개방송. 이틀행사로 열리며, 한국의 유명한 예능인들을 초청하여 공연을 가진다. 일반인에게 공개되어있는행사이나, 입장을 위해서는 MBC나 한양대학교측을 통해 티켓을 배부받아야 한다.

새로배움터 / 미리배움터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재학생들이 준비하는 프로그램, 미리배움터의 일부 프로그램은 학점취득이 가능하다.

공업수학 경시대회

공과대학, 자연과학대학, 정보통신대학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고등수학 능력측정 시험. 연례 행사이다

한양사진기록 공모전

기록물 관리실에서 주관하는 한양대학교 관련 사진자료 공모전. 2009년 제 1회 공모전을 시행하였다.


제 1회 한양사진기록 공모전 수상자 (우수상 이상)
최우수상 홍준모 공과대학 전자컴퓨터통신 대학원 대동제 사진(3장)
우수 윤석오 교무처 교무과 내일을 밝히는 한양의 밤
우수 송건용 국제문화대학 영미언어문화학부 호수공원의 야경
우수 고영문 물리학과 대학원 2007년 역동적인 한양 가요제

공놀이

매년 가을 공과대학을 주축으로 하는 학술제 및 문화제, 공과대학 학생회 주관으로 각종 학술행사와 문화행사가 기획된다.

윈드오케스트라 정기 연주회

한양대학교 음악대학의 정기 연주회, 매년 가을즈음하여 예술의 전당에서 오케스트라 정기 연주회를 가진다.[17]

유명 교수 / 교직원

틀:미완성

유명동문 / 재학생

틀:미완성 유명동문에 대한 세부사항은 분류:한양대학교 동문 문서를 참조.

해외 자매결연대학

한양대학교는 MIT, 버클리, 도쿄대 공과대학등을 포함한 2009년 현재 30개국 151개교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18]

주요 저명 자매결연대학

주요 주변시설

성동구 살곶이공원에서 바라본 한양대학교

같이보기

참고자료

  1. “산학연 연계 한국판 실리콘밸리 탄생”. 경인일보. 
  2. 한양대학교 대학기록실의 역사분류
  3. 한양대학교 연혁
  4. 종합대학 승격 당시 있었던 단과대학은 공과대학, 문리과대학(자연과학 및 인문학) 정경대학(정치, 법률)이었다.
  5. 음악과 및 영화과
  6. 한양대학교 자료에 의하면 사망1, 부상2, 실종5로 기록되어있다.
  7. 1960년부터 1964년까지의 기간동안 학과및 정원 조정이 총 10번 있었다.
  8. 최초 해외대학과의 자매결연은 1971년 미국의 서던 일리노이대학교(Southern Illinois University)이며 2009년 현재 미국은 40개 학교, 전 세계적으로는 30개국 151개교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9. 최초의 자매결연 중국 교육기관은 중국문화학원(College of Chinese Culture)이며 2009년 현재는 중국의 45개 대학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10. 한양대학교에서는 2009년 가을 새로운 UI를 공표할 예정이다.
  11. “한양의 캠퍼스를 거닐다”. 위클리한양. 
  12. 행원파크에 위치
  13. 인문대 부근에 위치
  14. “한총련 어떤 단체인가”. 국민일보. 
  15. “한양대 학생회, 회비 운용 논란에 총사퇴”. 국민일보. 
  16. 경향닷컴 뉴스
  17. 윈드 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 홍보물
  18. 한양대학교 해외자매결연대학 소개


바깥 고리

대표웹

단과대학

대학원

학과/학부

유관기관

부속기관

언론기관


틀:서울특별시의 사립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