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귀납적 차원: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6번째 줄: 16번째 줄:


== 성질 ==
== 성질 ==
=== 서로 다른 차원들 사이의 관계 ===
[[T1 공간]] <math>X</math> 또는 [[정칙 공간]] <math>X</math>의 경우,
[[T1 공간]] <math>X</math> 또는 [[정칙 공간]] <math>X</math>의 경우, 모든 점의 [[폐포 (위상수학)|폐포]]가 점의 [[열린 근방]]에 다시 포함되므로,
:<math>\operatorname{ind}X\le\operatorname{Ind}X</math>
:<math>\operatorname{ind}X\le\operatorname{Ind}X</math>
이다.<ref name="Charalambous" />{{rp|9, Proposition 2.7}}
이다.


임의의 [[위상 공간 (수학)|위상 공간]] <math>X</math>에 대하여,
임의의 [[위상 공간 (수학)|위상 공간]] <math>X</math>에 대하여,
:<math>\dim X\le\operatorname{Ind}X</math>
:<math>\dim X\le\operatorname{Ind}X</math>
이다. 여기서 <math>\dim</math>은 [[르베그 덮개 차원]]이다.
이다.<ref name="Charalambous" />{{rp|18, Corollary 3.5}} 여기서 <math>\dim</math>은 [[르베그 덮개 차원]]이다.


[[린델뢰프 공간]] <math>X</math>의 경우,
[[린델뢰프 공간]] <math>X</math>의 경우,
:<math>\dim X\le\operatorname{ind}X</math>
:<math>\dim X\le\operatorname{ind}X</math>
이다.<ref name="Charalambous" />{{rp|27, Proposition 5.3}}
이다.


[[린델뢰프 공간|린델뢰프]] [[완전 정규 공간]] <math>X</math> 또는 완비 파라콤팩트({{llang|en|completely paracompact}}) [[완전 정규 공간]] <math>X</math> 경우,
[[린델뢰프 공간|린델뢰프]] [[완전 정규 공간]] <math>X</math><ref name="Charalambous" />{{rp|171}} 또는 완비 파라콤팩트({{llang|en|completely paracompact}}) [[완전 정규 공간]] <math>X</math><ref name="ChatyrkoAroundThe">{{저널 인용
|성1=Chatyrko
|이름1=Vitalij A.
|성2=Hattori
|이름2=Yasunao
|제목=Around the equality <math>\operatorname{ind}X=\operatorname{Ind}X</math> towards a unifying theorem
|언어=en
|저널=Topology and its Applications
|권=131
|호=3
|쪽=295–302
|날짜=2003
|issn=0166-8641
|doi=10.1016/S0166-8641(02)00358-9
|mr=1983085
|zbl=1030.54023
}}</ref>{{rp|296, Theorem F2}}의 경우,
:<math>\dim X\le\operatorname{ind}X=\operatorname{Ind}X</math>
:<math>\dim X\le\operatorname{ind}X=\operatorname{Ind}X</math>
이다.
이다.
34번째 줄: 51번째 줄:
[[거리화 가능 공간]] <math>X</math>의 경우,
[[거리화 가능 공간]] <math>X</math>의 경우,
:<math>\operatorname{ind}X\le\dim X=\operatorname{Ind}X</math>
:<math>\operatorname{ind}X\le\dim X=\operatorname{Ind}X</math>
이다.<ref name="Ostrand">{{저널 인용
이다.
|성=Ostrand
|이름=Phillip A.
|제목=Covering dimension in general spaces
|언어=en
|저널=General Topology and its Applications
|권=1
|호=3
|쪽=209–221
|날짜=1971
|issn=0016-660X
|doi=10.1016/0016-660X(71)90093-6
|mr=0288741
|zbl=0232.54044
}}</ref>{{rp|219, Theorem 10}}


'''우리손 정리'''에 따르면, [[제2 가산]] [[정칙 공간]] <math>X</math>의 경우
'''우리손 정리'''에 따르면, [[제2 가산]] [[정칙 공간]] <math>X</math>의 경우
:<math>\operatorname{ind}X=\dim X=\operatorname{Ind}X</math>
:<math>\operatorname{ind}X=\dim X=\operatorname{Ind}X</math>
이다.<ref name="EngelkingTheoryOf" />{{rp|51, Theorem 1.7.7}}
이다.


=== 부분 집합 ===
=== 부분 집합 ===
[[위상 공간 (수학)|위상 공간]] <math>X</math> 및 [[부분 집합]] <math>Y\subseteq X</math>에 대하여,
[[위상 공간 (수학)|위상 공간]] <math>X</math> 및 [[부분 집합]] <math>Y\subseteq X</math>에 대하여,
:<math>\operatorname{ind}Y\le\operatorname{ind}X</math>
:<math>\operatorname{ind}Y\le\operatorname{ind}X</math>
이다. 만약 추가로 <math>Y</math>가 [[닫힌집합]]이거나, <math>X</math>가 [[완전 정규 공간]]이라면,
이다.<ref name="Charalambous" />{{rp|8, Proposition 2.3}} 만약 추가로 <math>Y</math>가 [[닫힌집합]]이거나,<ref name="Charalambous" />{{rp|9, Proposition 2.6}} <math>X</math>가 [[완전 정규 공간]]이라면,<ref name="Charalambous" />{{rp|21, Corollary 3.13}}
:<math>\operatorname{Ind}Y\le\operatorname{Ind}X</math>
:<math>\operatorname{Ind}Y\le\operatorname{Ind}X</math>
이다.
이다.
51번째 줄: 82번째 줄:
:<math>\operatorname{ind}X\le\operatorname{ind}Y+\operatorname{ind}Z+1</math>
:<math>\operatorname{ind}X\le\operatorname{ind}Y+\operatorname{ind}Z+1</math>
:<math>\operatorname{Ind}X\le\operatorname{Ind}Y+\operatorname{Ind}Z+1</math>
:<math>\operatorname{Ind}X\le\operatorname{Ind}Y+\operatorname{Ind}Z+1</math>
이다. 이를 작은·큰 귀납적 차원에 대한 '''우리손 부등식'''이라고 한다.
이다.<ref name="ChatyrkoAdditionAnd" />{{rp|2203, 2206}} 이를 작은·큰 귀납적 차원에 대한 '''우리손 부등식'''이라고 한다.


[[위상 공간 (수학)|위상 공간]] <math>X</math> 및 [[닫힌집합]] <math>Y,Z\subseteq X</math>에 대하여, 만약 <math>X=Y\cup Z</math>라면,
[[위상 공간 (수학)|위상 공간]] <math>X</math> 및 [[닫힌집합]] <math>Y,Z\subseteq X</math>에 대하여, 만약 <math>X=Y\cup Z</math>라면,
:<math>\operatorname{ind}X\le\max\{\operatorname{ind}Y,\operatorname{ind}Z\}+1</math>
:<math>\operatorname{ind}X\le\max\{\operatorname{ind}Y,\operatorname{ind}Z\}+1</math>
이다.<ref name="ChatyrkoAdditionAnd">{{저널 인용
이다. 만약 추가로 <math>X</math>가 [[정규 공간]]이라면,
|성1=Chatyrko
|이름1=Vitalij A.
|성2=Hattori
|이름2=Yasunao
|제목=Addition and product theorems for ind
|언어=en
|저널=Topology and its Applications
|권=155
|호=17–18
|쪽=2202–2210
|날짜=2008
|issn=0166-8641
|doi=10.1016/j.topol.2007.05.028
|mr=2458005
|zbl=1161.54017
}}</ref>{{rp|2203, (1)}} 만약 추가로 <math>X</math>가 [[정규 공간]]이라면,
:<math>\operatorname{Ind}X\le\operatorname{Ind}Y+\operatorname{Ind}Z</math>
:<math>\operatorname{Ind}X\le\operatorname{Ind}Y+\operatorname{Ind}Z</math>
이다.<ref name="ChatyrkoAdditionAnd" />{{rp|2206}}
이다.


=== 곱공간 ===
=== 곱공간 ===
70번째 줄: 117번째 줄:
그렇다면,
그렇다면,
:<math>\operatorname{ind}(X\times Y)\le\operatorname{ind}X+\operatorname{ind}Y</math>
:<math>\operatorname{ind}(X\times Y)\le\operatorname{ind}X+\operatorname{ind}Y</math>
이다. 그러나, 위 조건을 만족하기는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거리화 가능 공간]]이 존재하며,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콤팩트 공간|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이 존재한다.
이다.<ref name="ChatyrkoAdditionAnd" />{{rp|2203, (2)}} 작은 귀납적 차원이 0 이하인 공간은 위 합집합 조건을 자명하게 만족시킨다. 그러나, 1차원 이상의 공간이 위 조건을 만족하기는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거리화 가능 공간]]이 존재하며,<ref name="Charalambous">{{서적 인용
|성1=Charalambous
|이름1=Michael G.
|제목=Dimension theory. A selection of theorems and counterexamples
|언어=en
|총서=Atlantis Studies in Mathematics
|권=7
|출판사=Springer
|위치=Cham
|날짜=2019
|isbn=978-3-030-22231-4
|issn=1875-7634
|doi=10.1007/978-3-030-22232-1
|mr=3970309
|zbl=1471.54001
}}</ref>{{rp|Chapter 20}} 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콤팩트 공간|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이 존재한다.<ref name="Charalambous" />{{rp|Chapter 14}}


[[위상 공간 (수학)|위상 공간]] <math>X,Y</math>에 대하여, 만약 <math>\operatorname{ind}X=0</math>이라면,
[[위상 공간 (수학)|위상 공간]] <math>X,Y</math>에 대하여, 만약 <math>\operatorname{ind}X=0</math>이라면,
:<math>\operatorname{ind}(X\times Y)=\operatorname{ind}Y</math>
:<math>\operatorname{ind}(X\times Y)=\operatorname{ind}Y</math>
이다.<ref name="Charalambous" />{{rp|12, Exercise 2.27}}
이다.


[[콤팩트 공간|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math>X,Y</math>에 대하여, 만약 <math>\operatorname{Ind}X=0</math>이라면,
[[콤팩트 공간|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math>X,Y</math>에 대하여, 만약 <math>\operatorname{Ind}X=0</math>이라면,
82번째 줄: 144번째 줄:
[[위상 공간 (수학)|위상 공간]]들의 집합 <math>\{X_i\}_{i\in I}</math> 및 [[곱공간]]
[[위상 공간 (수학)|위상 공간]]들의 집합 <math>\{X_i\}_{i\in I}</math> 및 [[곱공간]]
:<math>X=\prod_{i\in I}X_i</math>
:<math>X=\prod_{i\in I}X_i</math>
에 대하여, 만약 모든 <math>i\in I</math>에 대하여 <math>\operatorname{ind}X_i=0</math>이라면, <math>\operatorname{ind}X=0</math>이다.
에 대하여, 만약 모든 <math>i\in I</math>에 대하여 <math>\operatorname{ind}X_i=0</math>이라면, <math>\operatorname{ind}X=0</math>이다.<ref name="Charalambous" />{{rp|12, Exercise 2.28}}


=== 스톤-체흐 콤팩트화 ===
=== 스톤-체흐 콤팩트화 ===
[[정규 공간|정규]] [[하우스도르프 공간]] <math>X</math> 및 그 [[스톤-체흐 콤팩트화]] <math>\beta X</math>에 대하여,
[[정규 공간|정규]] [[하우스도르프 공간]] <math>X</math> 및 그 [[스톤-체흐 콤팩트화]] <math>\beta X</math>에 대하여,
:<math>\operatorname{Ind}X=\operatorname{Ind}\beta X</math>
:<math>\operatorname{Ind}X=\operatorname{Ind}\beta X</math>
이다.<ref name="EngelkingTheoryOf">{{서적 인용
이다.
|성=Engelking
|이름=Ryszard
|제목=Theory of dimensions finite and infinite
|언어=en
|총서=Sigma Series in Pure Mathematics
|권=10
|출판사=Lemgo
|위치=Heldermann Verlag
|날짜=1995
|isbn=3-88538-010-2
|mr=1363947
|zbl=0872.54002
}}</ref>{{rp|137, Theorem 2.2.10}}


=== 0차원 ===
=== 0차원 ===
[[위상 공간 (수학)|위상 공간]] <math>X</math>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경계 (위상수학)|경계]]가 [[공집합]]일 [[필요충분조건]]은 [[열린닫힌집합]]인 것이다. 따라서, [[위상 공간 (수학)|위상 공간]] <math>X</math>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math>\operatorname{ind}X=0</math>
* <math>X</math>는 [[열린닫힌집합]]들로 구성된 [[기저 (위상수학)|기저]]를 갖는다.

[[위상 공간 (수학)|위상 공간]] <math>X</math>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ref name="Charalambous" />{{rp|10, Proposition 2.9}}
* <math>\dim X=0</math>
* <math>\dim X=0</math>
* <math>\operatorname{Ind}X=0</math>
* <math>\operatorname{Ind}X=0</math>
97번째 줄: 176번째 줄:
* 만약 <math>\operatorname{ind}X=0</math>이라면, <math>X</math>는 [[완비 정칙 공간]]이다.
* 만약 <math>\operatorname{ind}X=0</math>이라면, <math>X</math>는 [[완비 정칙 공간]]이다.
* 만약 <math>\operatorname{ind}X=0</math>이며, <math>X</math>가 [[콜모고로프 공간]]이라면, <math>X</math>는 [[완전 분리 공간]]이자 [[티호노프 공간]]이다.
* 만약 <math>\operatorname{ind}X=0</math>이며, <math>X</math>가 [[콜모고로프 공간]]이라면, <math>X</math>는 [[완전 분리 공간]]이자 [[티호노프 공간]]이다.
* 반대로, 만약 <math>X</math>가 [[완전 분리 공간]]이자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라면, <math>\operatorname{ind}X=0</math>이다.
* 반대로, 만약 <math>X</math>가 [[완전 분리 공간]]이자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라면, <math>\operatorname{ind}X=0</math>이다.<ref name="Engelking" />{{rp|362, Theorem 6.2.9}}
* 만약 <math>\dim X=0</math>이며, <math>X</math> [[티호노프 공간]]이라면, <math>\operatorname{ind}X=0</math>이다.
* 만약 <math>\dim X=0</math>이라면, <math>X</math> [[정규 공간]]이다.
* 만약 <math>\dim X=0</math>이며, <math>X</math>가 [[T1 공간]]이거나 [[정칙 공간]]이라면, <math>\operatorname{ind}X=0</math>이다.
* 반대로, 만약 <math>\operatorname{ind}X=0</math>이며, <math>X</math>가 [[린델뢰프 공간]] <math>X</math>이라면, <math>\dim X=0</math>이다.
* 반대로, 만약 <math>\operatorname{ind}X=0</math>이며, <math>X</math>가 [[린델뢰프 공간]] <math>X</math>이라면, <math>\dim X=0</math>이다.


[[T1 공간]] <math>X</math>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math>X</math>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ref name="Engelking" />{{rp|362, Theorem 6.2.9}}
* <math>\operatorname{ind}X=0</math>. 즉, [[열린닫힌집합]]들로 구성된 [[기저 (위상수학)|기저]]를 갖는다.
* <math>\operatorname{ind}X=0</math>
* [[완전 분리 공간]]이다.

[[국소 콤팩트]] [[파라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math>X</math>이 주어졌을 때, <math>X</math>는 항상 [[서로소 집합|서로소]] [[린델뢰프 공간|린델뢰프]] [[열린닫힌집합]]들의 합집합이다. 따라서, <math>X</math>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ref name="Engelking">{{서적 인용
|이름1=Ryszard
|성1=Engelking
|제목=General topology
|언어=en
|판=개정 완결
|총서=Sigma Series in Pure Mathematics
|권=6
|출판사=Heldermann Verlag
|위치=Berlin
|날짜=1989
|isbn=3-88538-006-4
|mr=1039321
|zbl=0684.54001
}}</ref>{{rp|362, Theorem 6.2.10}}
* [[완전 분리 공간]]이다.
* <math>\operatorname{ind}X=0</math>
* <math>\dim X=0</math>

작은 귀납적 차원이 0인 위상 공간은 흔히 '''0차원 공간'''(零次元空間, {{llang|en|zero-dimensional space}})이라고 한다. [[르베그 덮개 차원]]이 0인 위상 공간은 흔히 '''강한 0차원 공간'''(强-零次元空間, {{llang|en|strongly zero-dimensional space}})이라고 부른다. 일부 문헌은 0차원 공간의 정의에서 [[T1 공간|T1 조건]]을 추가로 가정하고, 강한 0차원 공간의 정의에 [[티호노프 공간|티호노프 조건]]을 추가한다.

=== 매장 ===
[[T1 공간]] <math>X</math>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ref name="Engelking" />{{rp|363, Theorem 6.2.16}}<ref name="Hart">{{서적 인용
|편집자-성1=Hart
|편집자-이름1=Klaas Pieter
|편집자-성2=Nagata
|편집자-이름2=Jun-iti
|편집자-성3=Vaughan
|편집자-이름3=Jerry E.
|제목=Encyclopedia of general topology
|언어=en
|출판사=Elsevier
|위치=Amsterdam
|날짜=2004
|isbn=0-444-50355-2
|mr=2049453
|zbl=1059.54001
}}</ref>{{rp|323, §f-6}}
* <math>\operatorname{ind}X=0</math>
* 두 점 [[이산 공간]]의 [[곱공간]] <math>\{0,1\}^{\operatorname{Clopen}(X)}</math>의 [[부분 집합]]과 [[위상 동형]]이다. (여기서 <math>\operatorname{Clopen}(X)</math>는 [[열린닫힌집합]]들의 집합이다.)
* 두 점 [[이산 공간]]의 [[곱공간]] <math>\{0,1\}^{\operatorname{Clopen}(X)}</math>의 [[부분 집합]]과 [[위상 동형]]이다. (여기서 <math>\operatorname{Clopen}(X)</math>는 [[열린닫힌집합]]들의 집합이다.)
이 경우, 곱공간으로의 [[매장 (수학)|매장]]은 다음과 같이 잡을 수 있다.
이 경우, 곱공간으로의 [[매장 (수학)|매장]]은 다음과 같이 잡을 수 있다.
113번째 줄: 234번째 줄:
</math>
</math>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math>X</math>에 대하여, 다음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모든 0차원 [[제2 가산]] [[정칙 공간|정칙]] [[하우스도르프 공간]]은 [[실수]]들의 집합과 [[위상 동형]]이다. 구체적으로, [[제2 가산]] [[정칙 공간|정칙]] [[하우스도르프 공간]](=[[분해 가능]] [[거리화 가능 공간]]) <math>X</math>에 대하여, 다음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ref name="EngelkingTheoryOf" />{{rp|20, Theorem 1.3.15}}
* <math>\operatorname{ind}X=0</math>
* [[완전 분리 공간]]이다.

[[국소 콤팩트]] [[파라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math>X</math>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완전 분리 공간]]이다.
* <math>\operatorname{ind}X=0</math>
* <math>\dim X=0</math>

[[거리화 가능 공간]] <math>X</math>에 대하여, 만약
:<math>|X|<2^{\aleph_0}</math>
라면, <math>\operatorname{ind}X=0</math>이다.
{{증명}}
임의의 점 <math>x\in X</math> 및 [[열린 근방]] <math>U\ni x</math>가 주어졌다고 하자.
:<math>\operatorname{ball}(x,r)\subseteq U</math>
인 <math>r>0</math>을 잡자. <math>|X|<2^{\aleph_0}</math>이므로,
:<math>d(x,y)\ne s\forall y\in X</math>
인 <math>0<s<r</math>이 존재한다. 따라서,
:<math>\partial\operatorname{ball}(x,s)=\{y\in X\colon d(x,y)=s\}=\varnothing</math>
이다.
{{증명 끝}}

[[제2 가산]] [[정칙 공간|정칙]] [[하우스도르프 공간]] (= [[분해 가능]] [[거리화 가능 공간]]) <math>X</math>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math>\operatorname{ind}X=0</math>
* <math>\operatorname{ind}X=0</math>
* <math>X</math>는 [[칸토어 집합]] <math>C\cong\{0,1\}^{\aleph_0}</math>의 [[부분 집합]]과 [[위상 동형]]이다.
* <math>X</math>는 [[칸토어 집합]] <math>C\cong\{0,1\}^{\aleph_0}</math>의 [[부분 집합]]과 [[위상 동형]]이다.
144번째 줄: 243번째 줄:
* (둘 이상의 점을 갖는)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다.
* (둘 이상의 점을 갖는)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다.


'''뇌벨링-폰트랴긴 정리'''에 따르면, [[제2 가산]] [[정칙 공간|정칙]] [[하우스도르프 공간]] <math>X</math>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작은 귀납적 차원이 0인 위상 공간은 흔히 '''0차원 공간'''(零次元空間, {{llang|en|zero-dimensional space}})이라고 한다. [[르베그 덮개 차원]]이 0인 위상 공간은 흔히 '''강한 0차원 공간'''(强-零次元空間, {{llang|en|strongly zero-dimensional space}})이라고 부른다. 일부 문헌은 0차원 공간의 정의에서 [[T1 공간|T1 조건]]을 추가로 가정하고, 강한 0차원 공간의 정의에 [[티호노프 공간|티호노프 조건]]을 추가한다.
* <math>\operatorname{ind}X<\infty</math>
* <math>X</math>는 [[유클리드 공간]]의 [[부분 집합]]과 [[위상 동형]]이다.

사실, 모든 <math>n</math>차원 이하의 [[제2 가산]] [[정칙 공간|정칙]] [[하우스도르프 공간]]은 <math>(2n+1)</math>차원 [[유클리드 공간]] <math>\mathbb R^{2n+1}</math>에 [[매장 (수학)|매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가산]] [[정칙 공간|정칙]] [[하우스도르프 공간]] <math>X</math>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ref name="EngelkingTheoryOf" />{{rp|95, Theorem 1.11.5}}
* <math>\operatorname{ind}X\le n</math>
* <math>X</math>는 <math>\{x\in\mathbb R^{2n+1}\colon|\{i\colon x_i\in\mathbb Q\}|\le n\}</math>의 [[부분 집합]]과 [[위상 동형]]이다.


== 예 ==
== 예 ==
[[위상 공간 (수학)|위상 공간]] <math>X</math>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동치]]이다.
* <math>\operatorname{ind}X=-1</math>
* <math>\dim X=-1</math>
* <math>\operatorname{Ind}X=-1</math>
* <math>X=\varnothing</math>

[[유클리드 공간]], [[단체 (수학)|단체]], [[초구]]의 작은·큰 귀납적 차원은 통상적인 차원과 일치한다.
[[유클리드 공간]], [[단체 (수학)|단체]], [[초구]]의 작은·큰 귀납적 차원은 통상적인 차원과 일치한다.
:<math>\operatorname{ind}\mathbb R^n=\dim\mathbb R^n=\operatorname{Ind}\mathbb R^n=n</math>
:<math>\operatorname{ind}\mathbb R^n=\dim\mathbb R^n=\operatorname{Ind}\mathbb R^n=n</math>
:<math>\operatorname{ind}\Delta_n=\dim\Delta_n=\operatorname{Ind}\Delta_n=n</math>
:<math>\operatorname{ind}\Delta_n=\dim\Delta_n=\operatorname{Ind}\Delta_n=n</math>
:<math>\operatorname{ind}\mathbb S^n=\dim\mathbb S^n=\operatorname{Ind}\mathbb S^n=n</math>
:<math>\operatorname{ind}\mathbb S^n=\dim\mathbb S^n=\operatorname{Ind}\mathbb S^n=n</math>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math>n</math>차원 [[다양체]]의 작은·큰 귀납적 차원 및 [[르베그 덮개 차원]]은 <math>n</math>이다.


<math>[0,1]^{\aleph_0}</math>의 작은·큰 귀납적 차원은 <math>\infty</math>이다.
<math>[0,1]^{\aleph_0}</math>의 작은·큰 귀납적 차원은 <math>\infty</math>이다.
:<math>\operatorname{ind}[0,1]^{\aleph_0}=\dim[0,1]^{\aleph_0}=\operatorname{Ind}[0,1]^{\aleph_0}=\infty</math>
:<math>\operatorname{ind}[0,1]^{\aleph_0}=\dim[0,1]^{\aleph_0}=\operatorname{Ind}[0,1]^{\aleph_0}=\infty</math>


[[순서 위상]] 가한 [[전순서 집합]] <math>(X,\le)</math>의 작은 귀납적 차원은 1 이하이다.
[[조르겐프라이 직선]] <math>S</math> 및 [[조르겐프라이 평면]] <math>S\times S</math>의 작은·큰 귀납적 차원은 0이다.<ref name="Sipacheva">{{arXiv 인용
|성=Sipacheva
|이름=Ol'ga
|제목=The covering dimension of the Sorgenfrey plane
|언어=en
|날짜=2021
|doi=10.48550/arXiv.2110.08867
|arxiv=2110.08867
}}</ref>{{rp|2}} [[조르겐프라이 직선]]의 [[르베그 덮개 차원]]은 0이지만, [[조르겐프라이 평면]]의 [[르베그 덮개 차원]]은 무한하다.<ref name="Sipacheva" />{{rp|2, Theorem 1}}
:<math>\operatorname{ind}S=\dim S=\operatorname{Ind}S=\operatorname{ind}S\times S=\operatorname{Ind}S\times S=0</math>
:<math>\dim S\times S=\infty</math>

[[이산 공간]]과 모든 [[비이산 공간]]의 작은·큰 귀납적 차원 및 [[르베그 덮개 차원]]은 0 이하이다. [[시에르핀스키 공간]]의 [[르베그 덮개 차원]]과 큰 귀납적 차원은 0이지만, ([[정칙 공간]]이 아니므로) 작은 귀납적 차원은 무한하다.

[[거리화 가능 공간]] <math>X</math>에 대하여, 만약
:<math>|X|<2^{\aleph_0}</math>
라면, <math>\operatorname{ind}X=0</math>이다.
{{증명}}
임의의 점 <math>x\in X</math> 및 [[열린 근방]] <math>U\ni x</math>가 주어졌다고 하자.
:<math>\operatorname{ball}(x,r)\subseteq U</math>
인 <math>r>0</math>을 잡자. <math>|X|<2^{\aleph_0}</math>이므로,
:<math>d(x,y)\ne s\forall y\in X</math>
인 <math>0<s<r</math>이 존재한다. 따라서,
:<math>\partial\operatorname{ball}(x,s)=\{y\in X\colon d(x,y)=s\}=\varnothing</math>
이다.
{{증명 끝}}

[[순서 위상]]을 가한 [[전순서 집합]] <math>(X,\le)</math>의 작은 귀납적 차원은 1 이하이다.<ref name="Charalambous" />{{rp|12, Exercise 2.24}}
:<math>\operatorname{ind}X\le 1</math>

== 참고 문헌 ==
{{각주}}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 {{eom|title=Inductive dimension}}
* {{eom|title=Inductive dimension}}
* {{eom|title=Dimension theory}}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3년 11월 7일 (화) 16:47 판

일반위상수학에서 귀납적 차원(歸納的次元, 영어: inductive dimension)은 어떤 기하학적 대상의 경계의 차원이 전체의 차원보다 1만큼 더 작다는 사실을 기반으로 하는, 위상 공간 위에 정의되는 두 개의 차원 개념이다. 대부분의 경우, 르베그 덮개 차원의 상한과 하한을 정의한다.

정의

위상 공간 작은 귀납적 차원(영어: small inductive dimension)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최소의 정수 이다.

  • 임의의 열린 근방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린 근방 가 존재한다.

위상 공간 큰 귀납적 차원(영어: large inductive dimension)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최소의 정수 이다.

  • 임의의 닫힌집합 열린 근방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린 근방 가 존재한다.

공집합의 경우, 아무런 점이 없으므로 자명하게 이다.

성질

서로 다른 차원들 사이의 관계

T1 공간 또는 정칙 공간 의 경우, 모든 점의 폐포가 점의 열린 근방에 다시 포함되므로,

이다.[1]:9, Proposition 2.7

임의의 위상 공간 에 대하여,

이다.[1]:18, Corollary 3.5 여기서 르베그 덮개 차원이다.

린델뢰프 공간 의 경우,

이다.[1]:27, Proposition 5.3

린델뢰프 완전 정규 공간 [1]:171 또는 완비 파라콤팩트(영어: completely paracompact) 완전 정규 공간 [2]:296, Theorem F2의 경우,

이다.

거리화 가능 공간 의 경우,

이다.[3]:219, Theorem 10

우리손 정리에 따르면, 제2 가산 정칙 공간 의 경우

이다.[4]:51, Theorem 1.7.7

부분 집합

위상 공간 부분 집합 에 대하여,

이다.[1]:8, Proposition 2.3 만약 추가로 닫힌집합이거나,[1]:9, Proposition 2.6 완전 정규 공간이라면,[1]:21, Corollary 3.13

이다.

합집합

완비 정규 공간 부분 집합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이다.[5]:2203, 2206 이를 작은·큰 귀납적 차원에 대한 우리손 부등식이라고 한다.

위상 공간 닫힌집합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이다.[5]:2203, (1) 만약 추가로 정규 공간이라면,

이다.[5]:2206

곱공간

제2 가산 정칙 공간 의 경우, 귀납적 차원이 르베그 덮개 차원과 일치하므로

이다.

위상 공간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 임의의 닫힌집합 에 대하여,
  • 임의의 닫힌집합 에 대하여,

그렇다면,

이다.[5]:2203, (2) 작은 귀납적 차원이 0 이하인 공간은 위 합집합 조건을 자명하게 만족시킨다. 그러나, 1차원 이상의 공간이 위 조건을 만족하기는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거리화 가능 공간이 존재하며,[1]:Chapter 20 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이 존재한다.[1]:Chapter 14

위상 공간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이다.[1]:12, Exercise 2.27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이다.

위상 공간들의 집합 곱공간

에 대하여, 만약 모든 에 대하여 이라면, 이다.[1]:12, Exercise 2.28

스톤-체흐 콤팩트화

정규 하우스도르프 공간 및 그 스톤-체흐 콤팩트화 에 대하여,

이다.[4]:137, Theorem 2.2.10

0차원

경계공집합필요충분조건열린닫힌집합인 것이다. 따라서, 위상 공간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열린닫힌집합들로 구성된 기저를 갖는다.

위상 공간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1]:10, Proposition 2.9

위상 공간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들이 성립한다.

  • 만약 이라면, 완비 정칙 공간이다.
  • 만약 이며, 콜모고로프 공간이라면, 완전 분리 공간이자 티호노프 공간이다.
  • 반대로, 만약 완전 분리 공간이자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라면, 이다.[6]:362, Theorem 6.2.9
  • 만약 이라면, 정규 공간이다.
  • 만약 이며, T1 공간이거나 정칙 공간이라면, 이다.
  • 반대로, 만약 이며, 린델뢰프 공간 이라면, 이다.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6]:362, Theorem 6.2.9

국소 콤팩트 파라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이 주어졌을 때, 는 항상 서로소 린델뢰프 열린닫힌집합들의 합집합이다. 따라서,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6]:362, Theorem 6.2.10

  • 완전 분리 공간이다.

작은 귀납적 차원이 0인 위상 공간은 흔히 0차원 공간(零次元空間, 영어: zero-dimensional space)이라고 한다. 르베그 덮개 차원이 0인 위상 공간은 흔히 강한 0차원 공간(强-零次元空間, 영어: strongly zero-dimensional space)이라고 부른다. 일부 문헌은 0차원 공간의 정의에서 T1 조건을 추가로 가정하고, 강한 0차원 공간의 정의에 티호노프 조건을 추가한다.

매장

T1 공간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6]:363, Theorem 6.2.16[7]:323, §f-6

이 경우, 곱공간으로의 매장은 다음과 같이 잡을 수 있다.

모든 0차원 제2 가산 정칙 하우스도르프 공간실수들의 집합과 위상 동형이다. 구체적으로, 제2 가산 정칙 하우스도르프 공간(=분해 가능 거리화 가능 공간)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4]:20, Theorem 1.3.15

  • 칸토어 집합 부분 집합위상 동형이다.
  • 무리수 집합 부분 집합위상 동형이다.

실수들의 집합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둘 이상의 점을 갖는)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다.

뇌벨링-폰트랴긴 정리에 따르면, 제2 가산 정칙 하우스도르프 공간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사실, 모든 차원 이하의 제2 가산 정칙 하우스도르프 공간차원 유클리드 공간 매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가산 정칙 하우스도르프 공간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4]:95, Theorem 1.11.5

  • 부분 집합위상 동형이다.

위상 공간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동치이다.

유클리드 공간, 단체, 초구의 작은·큰 귀납적 차원은 통상적인 차원과 일치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차원 다양체의 작은·큰 귀납적 차원 및 르베그 덮개 차원이다.

의 작은·큰 귀납적 차원은 이다.

조르겐프라이 직선 조르겐프라이 평면 의 작은·큰 귀납적 차원은 0이다.[8]:2 조르겐프라이 직선르베그 덮개 차원은 0이지만, 조르겐프라이 평면르베그 덮개 차원은 무한하다.[8]:2, Theorem 1

이산 공간과 모든 비이산 공간의 작은·큰 귀납적 차원 및 르베그 덮개 차원은 0 이하이다. 시에르핀스키 공간르베그 덮개 차원과 큰 귀납적 차원은 0이지만, (정칙 공간이 아니므로) 작은 귀납적 차원은 무한하다.

거리화 가능 공간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이다.

증명:

임의의 점 열린 근방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을 잡자. 이므로,

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다.

순서 위상을 가한 전순서 집합 의 작은 귀납적 차원은 1 이하이다.[1]:12, Exercise 2.24

참고 문헌

  1. Charalambous, Michael G. (2019). 《Dimension theory. A selection of theorems and counterexamples》. Atlantis Studies in Mathematics (영어) 7. Cham: Springer. doi:10.1007/978-3-030-22232-1. ISBN 978-3-030-22231-4. ISSN 1875-7634. MR 3970309. Zbl 1471.54001. 
  2. Chatyrko, Vitalij A.; Hattori, Yasunao (2003). “Around the equality towards a unifying theorem”. 《Topology and its Applications》 (영어) 131 (3): 295–302. doi:10.1016/S0166-8641(02)00358-9. ISSN 0166-8641. MR 1983085. Zbl 1030.54023.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21) (도움말)
  3. Ostrand, Phillip A. (1971). “Covering dimension in general spaces”. 《General Topology and its Applications》 (영어) 1 (3): 209–221. doi:10.1016/0016-660X(71)90093-6. ISSN 0016-660X. MR 0288741. Zbl 0232.54044. 
  4. Engelking, Ryszard (1995). 《Theory of dimensions finite and infinite》. Sigma Series in Pure Mathematics (영어) 10. Heldermann Verlag: Lemgo. ISBN 3-88538-010-2. MR 1363947. Zbl 0872.54002. 
  5. Chatyrko, Vitalij A.; Hattori, Yasunao (2008). “Addition and product theorems for ind”. 《Topology and its Applications》 (영어) 155 (17–18): 2202–2210. doi:10.1016/j.topol.2007.05.028. ISSN 0166-8641. MR 2458005. Zbl 1161.54017. 
  6. Engelking, Ryszard (1989). 《General topology》. Sigma Series in Pure Mathematics (영어) 6 개정 완결판. Berlin: Heldermann Verlag. ISBN 3-88538-006-4. MR 1039321. Zbl 0684.54001. 
  7. Hart, Klaas Pieter; Nagata, Jun-iti; Vaughan, Jerry E., 편집. (2004). 《Encyclopedia of general topology》 (영어). Amsterdam: Elsevier. ISBN 0-444-50355-2. MR 2049453. Zbl 1059.54001. 
  8. Sipacheva, Ol'ga (2021). “The covering dimension of the Sorgenfrey plane” (영어). arXiv:2110.08867. doi:10.48550/arXiv.2110.08867.  arXiv 인용에서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외부 링크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