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금: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79번째 줄: 79번째 줄:


[[게놈]] 연구에 따르면 닭이 처음으로 가축화된 것은 8,000년 전 [[동남아시아]]에서였고, 그로부터 2,000-3,000년에 걸쳐 차차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와 [[인도]]를 비롯한 [[남아시아]]로 전파되었다.<ref name="Lawal"/> 지금까지 발견된 고고학 사료들로 미루어 볼 때, 동남아시아에서는 [[기원전 6000년]]보다 훨씬 더 오래 전부터 닭을 길렀고, 중국에서는 기원전 6000년, 인도에서는 기원전 2000년 즈음에 닭을 도입한 것으로 보인다.<ref>{{cite journal |last1=West |first1=B. |last2=Zhou |first2=B.X. |year=1988 |title=Did chickens go north? New evidence for domestication |journal=J. Archaeol. Sci. |volume=14 |issue= 5|pages=515–533|doi=10.1016/0305-4403(88)90080-5 |bibcode=1988JArSc..15..515W }}</ref><ref>{{cite journal |last1=Al-Nasser |first1=A. |last2=Al-Khalaifa |first2=H. |last3=Al-Saffar |first3=A. |last4=Khalil |first4=F. |last5=Albahouh |first5=M. |last6=Ragheb |first6=G. |last7=Al-Haddad |first7=A. |last8=Mashaly |first8=M. |title=Overview of chicken taxonomy and domestication |journal=World's Poultry Science Journal |date=1 June 2007 |volume=63 |issue=2 |pages=285–300 |doi=10.1017/S004393390700147X |s2cid=86734013 }}</ref> 2020년 전 세계에서 닭 863마리를 선별해 연구한 결과 현대에서 가축으로 기르는 모든 닭은 중국 남서부·[[태국]] 북부·[[미얀마]]에서 가축화된 적색야계의 후손으로, 가축화 과정에서 동남아시아·남아시아로 퍼져나가면서 다양한 산닭 종류와 교잡이 이루어진 끝에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닭이 출현하게 되었다. 일례로 가장 널리 사육되는 품종인 [[레그혼]]은 여러 적색야계 아종들의 유전자가 뒤섞여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ref>{{cite journal |title=863 genomes reveal the origin and domestication of chicken |year=2020|doi=10.1038/s41422-020-0349-y|s2cid=220050312|last1=Wang|first1=Ming-Shan|last2=Thakur|first2=Mukesh|last3=Peng|first3=Min-Sheng|last4=Jiang|first4=Yu|last5=Frantz|first5=Laurent Alain François|last6=Li|first6=Ming|last7=Zhang|first7=Jin-Jin|last8=Wang|first8=Sheng|last9=Peters|first9=Joris|last10=Otecko|first10=Newton Otieno|last11=Suwannapoom|first11=Chatmongkon|last12=Guo|first12=Xing|last13=Zheng|first13=Zhu-Qing|last14=Esmailizadeh|first14=Ali|last15=Hirimuthugoda|first15=Nalini Yasoda|last16=Ashari|first16=Hidayat|last17=Suladari|first17=Sri|last18=Zein|first18=Moch Syamsul Arifin|last19=Kusza|first19=Szilvia|last20=Sohrabi|first20=Saeed|last21=Kharrati-Koopaee|first21=Hamed|last22=Shen|first22=Quan-Kuan|last23=Zeng|first23=Lin|last24=Yang|first24=Min-Min|last25=Wu|first25=Ya-Jiang|last26=Yang|first26=Xing-Yan|last27=Lu|first27=Xue-Mei|last28=Jia|first28=Xin-Zheng|last29=Nie|first29=Qing-Hua|last30=Lamont|first30=Susan Joy|journal=Cell Research|volume=30|issue=8|pages=693–701|pmid=32581344|pmc=7395088|display-authors=1}}</ref><ref>{{cite journal |last1=Liu |first1=Yi-Ping |last2=Wu |first2=Gui-Sheng |last3=Yao |first3=Yong-Gang |last4=Miao |first4=Yong-Wang |last5=Luikart |first5=Gordon |last6=Baig |first6=Mumtaz |last7=Beja-Pereira |first7=Albano |last8=Ding |first8=Zhao-Li |last9=Palanichamy |first9=Malliya Gounder |last10=Zhang |first10=Ya-Ping |title=Multiple maternal origins of chickens: Out of the Asian jungles |journal=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date=January 2006 |volume=38 |issue=1 |pages=12–19 |doi=10.1016/j.ympev.2005.09.014 |pmid=16275023 }}</ref><ref>{{cite journal |last1=Zeder |first1=Melinda A. |last2=Emshwiller |first2=Eve |last3=Smith |first3=Bruce D. |last4=Bradley |first4=Daniel G. |title=Documenting domestication: the intersection of genetics and archaeology |journal=Trends in Genetics |date=March 2006 |volume=22 |issue=3 |pages=139–155 |doi=10.1016/j.tig.2006.01.007 |pmid=16458995 }}</ref>
[[게놈]] 연구에 따르면 닭이 처음으로 가축화된 것은 8,000년 전 [[동남아시아]]에서였고, 그로부터 2,000-3,000년에 걸쳐 차차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와 [[인도]]를 비롯한 [[남아시아]]로 전파되었다.<ref name="Lawal"/> 지금까지 발견된 고고학 사료들로 미루어 볼 때, 동남아시아에서는 [[기원전 6000년]]보다 훨씬 더 오래 전부터 닭을 길렀고, 중국에서는 기원전 6000년, 인도에서는 기원전 2000년 즈음에 닭을 도입한 것으로 보인다.<ref>{{cite journal |last1=West |first1=B. |last2=Zhou |first2=B.X. |year=1988 |title=Did chickens go north? New evidence for domestication |journal=J. Archaeol. Sci. |volume=14 |issue= 5|pages=515–533|doi=10.1016/0305-4403(88)90080-5 |bibcode=1988JArSc..15..515W }}</ref><ref>{{cite journal |last1=Al-Nasser |first1=A. |last2=Al-Khalaifa |first2=H. |last3=Al-Saffar |first3=A. |last4=Khalil |first4=F. |last5=Albahouh |first5=M. |last6=Ragheb |first6=G. |last7=Al-Haddad |first7=A. |last8=Mashaly |first8=M. |title=Overview of chicken taxonomy and domestication |journal=World's Poultry Science Journal |date=1 June 2007 |volume=63 |issue=2 |pages=285–300 |doi=10.1017/S004393390700147X |s2cid=86734013 }}</ref> 2020년 전 세계에서 닭 863마리를 선별해 연구한 결과 현대에서 가축으로 기르는 모든 닭은 중국 남서부·[[태국]] 북부·[[미얀마]]에서 가축화된 적색야계의 후손으로, 가축화 과정에서 동남아시아·남아시아로 퍼져나가면서 다양한 산닭 종류와 교잡이 이루어진 끝에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닭이 출현하게 되었다. 일례로 가장 널리 사육되는 품종인 [[레그혼]]은 여러 적색야계 아종들의 유전자가 뒤섞여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ref>{{cite journal |title=863 genomes reveal the origin and domestication of chicken |year=2020|doi=10.1038/s41422-020-0349-y|s2cid=220050312|last1=Wang|first1=Ming-Shan|last2=Thakur|first2=Mukesh|last3=Peng|first3=Min-Sheng|last4=Jiang|first4=Yu|last5=Frantz|first5=Laurent Alain François|last6=Li|first6=Ming|last7=Zhang|first7=Jin-Jin|last8=Wang|first8=Sheng|last9=Peters|first9=Joris|last10=Otecko|first10=Newton Otieno|last11=Suwannapoom|first11=Chatmongkon|last12=Guo|first12=Xing|last13=Zheng|first13=Zhu-Qing|last14=Esmailizadeh|first14=Ali|last15=Hirimuthugoda|first15=Nalini Yasoda|last16=Ashari|first16=Hidayat|last17=Suladari|first17=Sri|last18=Zein|first18=Moch Syamsul Arifin|last19=Kusza|first19=Szilvia|last20=Sohrabi|first20=Saeed|last21=Kharrati-Koopaee|first21=Hamed|last22=Shen|first22=Quan-Kuan|last23=Zeng|first23=Lin|last24=Yang|first24=Min-Min|last25=Wu|first25=Ya-Jiang|last26=Yang|first26=Xing-Yan|last27=Lu|first27=Xue-Mei|last28=Jia|first28=Xin-Zheng|last29=Nie|first29=Qing-Hua|last30=Lamont|first30=Susan Joy|journal=Cell Research|volume=30|issue=8|pages=693–701|pmid=32581344|pmc=7395088|display-authors=1}}</ref><ref>{{cite journal |last1=Liu |first1=Yi-Ping |last2=Wu |first2=Gui-Sheng |last3=Yao |first3=Yong-Gang |last4=Miao |first4=Yong-Wang |last5=Luikart |first5=Gordon |last6=Baig |first6=Mumtaz |last7=Beja-Pereira |first7=Albano |last8=Ding |first8=Zhao-Li |last9=Palanichamy |first9=Malliya Gounder |last10=Zhang |first10=Ya-Ping |title=Multiple maternal origins of chickens: Out of the Asian jungles |journal=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date=January 2006 |volume=38 |issue=1 |pages=12–19 |doi=10.1016/j.ympev.2005.09.014 |pmid=16275023 }}</ref><ref>{{cite journal |last1=Zeder |first1=Melinda A. |last2=Emshwiller |first2=Eve |last3=Smith |first3=Bruce D. |last4=Bradley |first4=Daniel G. |title=Documenting domestication: the intersection of genetics and archaeology |journal=Trends in Genetics |date=March 2006 |volume=22 |issue=3 |pages=139–155 |doi=10.1016/j.tig.2006.01.007 |pmid=16458995 }}</ref>

기원전 3500년-2500년 사이에 닭은 해양 민족인 [[오스트로네시아족|오스트로네시아인]]의 손에 [[대만]]·[[해양 동남아시아]]·[[멜라네시아]]·[[마다가스카르]]·[[폴리네시아]] 등지로 퍼져나갔다.<ref name="Piper">{{cite book|first1=Philip J. |last1=Piper|editor1-first=Philip J. |editor1-last=Piper |editor2-first=Hirofumi |editor2-last=Matsumura |editor3-first=David |editor3-last=Bulbeck|title =New Perspectives in Southeast Asian and Pacific Prehistory|chapter =The Origins and Arrival of the Earliest Domestic Animals in Mainland and Island Southeast Asia: A Developing Story of Complexity|publisher =ANU Press|volume=45|series =terra australis|year =2017|isbn =9781760460945|chapter-url =http://press-files.anu.edu.au/downloads/press/n2320/html/ch15.xhtml}}</ref><ref name="Blust2002">{{cite journal |last1=Blust |first1=Robert |title=The History of Faunal Terms in Austronesian Languages |journal=Oceanic Linguistics |date=June 2002 |v“”olume=41 |issue=1 |pages=89–139 |doi=10.2307/3623329 |jstor=3623329 |url=https://www.jstor.org/stable/3623329}}</ref> 기원전 2000년에 다다라서는 [[인더스강]] 인근의 문명으로 전파되었으며 그로부터 250년 후에는 [[고대 이집트|이집트]]에 도달했다. 여전히 투계에도 사용되었지만, 동시에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고대 로마]]에서는 점을 칠 때 사용되기도 했으며, 이집트에서는 닭의 인공 번식을 성사시키기 위해 까다로운 사육법을 개발하기도 했다.<ref>{{cite news |title=How the Chicken Conquered the World |author1=Adler, Jerry |author2=Lawler, Andrew |url=http://www.smithsonianmag.com/history/how-the-chicken-conquered-the-world-87583657/?no-ist |newspaper=Smithsonian Magazine |date=June 1, 2012 |access-date=April 14, 2014}}</ref> 이후 닭은 전세계로 퍼져나가면서 [[계란]]과 [[닭고기]]가 주요 식량 공급원으로 자리매김해 갔다.<ref>{{cite journal |author1=Storey, A. A. |author2=Athens, J. S. |author3=Bryant, D. |author4=Carson, M. |author5=Emery, K. |year=2012 |title=Investigating the global dispersal of chickens in prehistory using ancient mitochondrial DNA signatures |journal=PLOS ONE |volume=7 |issue=7 |pages=e39171 |doi=10.1371/journal.pone.0039171 |display-authors=etal |pmid=22848352 |pmc=3405094|bibcode=2012PLoSO...739171S |doi-access=free }}</ref>


== 각주 ==
== 각주 ==

2023년 9월 23일 (토) 23:18 판

세계의 가금류 (1868)

가금(家禽, 영어: poultry) 또는 가금류(家禽類)는 가축으로서 사람들에게 달걀새알이나 고기깃털 등 다양한 생산품을 제공하는 가축화를 총칭하는 개념이다.[1] 순우리말로는 집새라고 일컬으며, 가금류를 양식하는 것은 가금축산업이라 이른다. 가금류는 대부분 닭기러기류, 즉 ·메추라기·칠면조··호로새닭목에 속한 새 종류와[2] 오리·거위기러기목 새 종류가 대부분이며, 그 밖에도 비둘기 등이 포함된다. 사냥감으로서 수렵되는 야생 새 종류는 가금이라고 이르지 않으며 단순히 애완동물로 기르는 새와도 구별된다.

최초의 가금류인 의 가축화는 본래 지금으로부터 5,400년 전 동남아시아에서 최초로 이루어졌다고 알려져 왔으나,[3] 이후 닭속에 속한 새 4종을 대상으로 한 유전체학 연구를 통해 8,000년 전에 이루어진 것으로 정정되었다.[4] 원래는 야생 조류 둥지에서 가져온 알이 부화한 것을 키우게 되는 식으로 이루어졌지만, 점차 새를 영구적으로 가둬 기르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처음에 사람들은 닭은 닭싸움에 쓰려고,[5] 메추라기는 노래를 들으려고 키웠으나, 곧 식량 자원을 가둬서 기르는 이점을 깨달아 육용으로 기르기 시작했다. 이후 몇 세기에 걸쳐서 성장 속도, 산란 능력, 형상, 우색(羽色), 순응성 등을 개선하기 위해서 품종 개량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 현대에 사육되는 가금류는 많은 부분에서 조상뻘인 야생종과는 차이가 난다. 현대에 이르러서 가금류는 많은 수가 대규모 양식을 통해서 사육되어 시장에 나오나, 많은 지역에서는 여전히 소규모로 사육되기도 한다.

가금류를 도축해서 얻는 고기는 흔히 새고기라 부르며, 이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널리 먹는 고기로 전 세계 고기 생산량의 약 30%를 차지해 38%를 차지하는 돼지고기의 뒤를 잇는다.[6][7] 가금류 고기는 비교적 지방 함량이 적고 단백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영양가 높은 식품이며,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알맞은 식품 관리와 더불어 익혀서 먹는 조리 과정이 필요하다. 다른 고기를 섭취하지 않고 오로지 가금류 고기만 먹는 준채식주의를 폴로태리어니즘(pollotarianism)이라고 부른다.

정의

가금(家禽)이라는 한자어는 집 가(家)와 새 금(禽) 두 글자로 이루어진다. 풀어서 보면 "집에서 키우는 날짐승"이라는 뜻을 담고 있으며 들새라는 뜻의 야금(野禽)과 구별된다.[8] 영명인 폴트리(poultry) 역시 가축화되어 유용하게 활용되는 새 전반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한영 양쪽 언어에서 사용되는 단어 모두 닭목기러기목 새는 포함하지만, 앵무새처럼 새장에 넣어 기르는 새(cagebird)는 가리키지 않는다. 즉, 주로 고기나 알을 먹기 위해 키우는 ·칠면조·거위·오리 등을 가리키는 단어라고 정의할 수 있다.[9]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는 일반적인 가금류의 목록에 추가로 호로새·집비둘기를 기입하고 있다.[10] 아울러 R. D. 크로퍼드가 집필한 《가금류 번식과 유전적 특징》이라는 저서에서는 비둘기가 생략된 대신 ·메추라기를 추가 기입하고 있는데, 이 중 메추라기는 사육된 상태에서 번식하고 야생으로 방사되는 경우가 많다.[11] 또한 영국의 조류학자 에드먼드 딕슨은 자신의 저서 《관상용 및 가정용 가금류: 그 역사와 관리》에서 공작·호로새·혹고니·칠면조·거위 여러 종류·머스코비오리를 포함한 오리 종류·밴텀닭을 비롯한 전 종류를 목록에 포함시켰다.[12]

한편 영어에는 파울(fowl)이라는 명칭도 존재하는데, 이 단어는 주로 과 동일시되지만 그 밖의 가금류도 포함하며, 심지어 새 전반을 가리키기도 하는 등 지칭하는 범위가 넓다. 많은 언어가 폴트리와 파울을 구별하지 않으며, 두 단어 모두 가금육을 가리킬 때도 사용한다.[13] 그 외에도 게임(game)은 가금류와 반대되는 야생 조류를 통칭하는 말이며, 가금류 고기와 그렇지 않은 새고기를 구분지을 때 사용하는 단어이기도 하다.[14]

가금의 예시

조상격 새 가축화 지역 용도 사진
적색야계 동남아시아 알과 고기
칠면조 들칠면조 멕시코 고기
메추라기 야생 메추라기 일본 알과 고기
오리 청둥오리 세계 각지 알과 고기
거위 회색기러기 세계 각지 알과 고기
호로새 야생 호로새 아프리카 알과 고기
집비둘기 바위비둘기 중동 고기
야생 꿩 동아시아 고기

벼슬과 육수가 있는 수탉의 두상

닭은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중형 잡식성 조류로, 붉은 벼슬과 육수(肉垂)가 특징이며 다부진 몸집과 곧추선 자세를 하고 있다. 수탉은 보통 암탉보다 더 크고, 색깔이 뚜렷하며 깃털이 풍성하다. 땅에서 생활하며, 자연에서는 흙바닥과 낙엽지에서 씨앗과 무척추동물을 비롯한 소형 동물을 포식한다. 위태로울 상황을 빼고는 좀처럼 날지 않으며, 주로 풀숲으로 도망쳐서 위기를 회피한다.[15] 현재의 닭(학명Gallus gallus)은 아시아에 분포하는 적색야계를 적통 조상으로 하여 회색야계·실론야계·녹색야계와 같은 여러 산닭 종류를 조상으로 삼는다.[16][4]

게놈 연구에 따르면 닭이 처음으로 가축화된 것은 8,000년 전 동남아시아에서였고, 그로부터 2,000-3,000년에 걸쳐 차차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인도를 비롯한 남아시아로 전파되었다.[4] 지금까지 발견된 고고학 사료들로 미루어 볼 때, 동남아시아에서는 기원전 6000년보다 훨씬 더 오래 전부터 닭을 길렀고, 중국에서는 기원전 6000년, 인도에서는 기원전 2000년 즈음에 닭을 도입한 것으로 보인다.[17][18] 2020년 전 세계에서 닭 863마리를 선별해 연구한 결과 현대에서 가축으로 기르는 모든 닭은 중국 남서부·태국 북부·미얀마에서 가축화된 적색야계의 후손으로, 가축화 과정에서 동남아시아·남아시아로 퍼져나가면서 다양한 산닭 종류와 교잡이 이루어진 끝에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닭이 출현하게 되었다. 일례로 가장 널리 사육되는 품종인 레그혼은 여러 적색야계 아종들의 유전자가 뒤섞여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19][20][21]

기원전 3500년-2500년 사이에 닭은 해양 민족인 오스트로네시아인의 손에 대만·해양 동남아시아·멜라네시아·마다가스카르·폴리네시아 등지로 퍼져나갔다.[22][23] 기원전 2000년에 다다라서는 인더스강 인근의 문명으로 전파되었으며 그로부터 250년 후에는 이집트에 도달했다. 여전히 투계에도 사용되었지만, 동시에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고대 로마에서는 점을 칠 때 사용되기도 했으며, 이집트에서는 닭의 인공 번식을 성사시키기 위해 까다로운 사육법을 개발하기도 했다.[24] 이후 닭은 전세계로 퍼져나가면서 계란닭고기가 주요 식량 공급원으로 자리매김해 갔다.[25]

각주

  1. “Consider These 6 Types Of Poultry For Your Farm”. 《Hobby Farms》 (미국 영어). 2017년 8월 14일. 2021년 1월 20일에 확인함. 
  2. “Fowl”. 《HowStuffWorks》 (영어). 2008년 4월 22일. 2021년 1월 20일에 확인함. 
  3. Killgrove, Kristina (2017년 11월 23일). “Ancient DNA Explains How Chickens Got To The Americas”. 《Forbes》 (영어). 2021년 1월 20일에 확인함. Chickens were likely first domesticated about 5,400 years ago in Southeast Asia [...]. 
  4. Lawal, Raman Akinyanju; Martin, Simon H.; Vanmechelen, Koen; Vereijken, Addie; Silva, Pradeepa; Al-Atiyat, Raed Mahmoud; Aljumaah, Riyadh Salah; Mwacharo, Joram M.; Wu, Dong-Dong; Zhang, Ya-Ping; Hocking, Paul M.; Smith, Jacqueline; Wragg, David; Hanotte, Olivier (December 2020). “The wild species genome ancestry of domestic chickens”. 《BMC Biology》 18 (1): 13. doi:10.1186/s12915-020-0738-1. PMC 7014787. PMID 32050971. 
  5. “Chickens Were Initially Domesticated for Cockfighting, Not Food”. 《Today I Found Out》 (미국 영어). 2013년 8월 30일. 2021년 1월 20일에 확인함. 
  6. Raloff, Janet. Food for Thought: Global Food Trends. Science News Online. May 31, 2003.
  7. “Sources of the world's meat supply in 2012”. FAO. 2018년 8월 26일에 확인함. 
  8. 〈가금(家禽)〉.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023년 9월 23일에 확인함. 
  9. 〈Poultry〉.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4th e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2009. 
  10. 〈Poultry〉.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3년 6월 6일. 
  11. Crawford, R. D. (1990). 《Poultry Breeding and Genetics》. Elsevier. 1쪽. ISBN 0-444-88557-9. 
  12. Dixon, Rev Edmund Saul (1848). 《Ornamental and Domestic Poultry: Their History, and Management》. Gardeners' Chronicle. 1쪽. poultry history. 
  13. “Fowl”. 《The Free Dictionary》. thefreedictionary.com. 2014년 2월 12일에 확인함. 
  14. 〈Game〉. 《Oxford Dictionar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6년 4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8일에 확인함. 
  15. Card, Leslie E. (1961). 《Poultry Production》. Lea & Febiger. ISBN 978-0-8121-1241-2. 
  16. Eriksson, Jonas; Larson, Greger; Gunnarsson, Ulrika; Bed'hom, Bertrand; Tixier-Boichard, Michele; Strömstedt, Lina; Wright, Dominic; Eriksson J, Larson G, Gunnarsson U, Bed'hom B, Tixier-Boichard M; Vereijken, Addie; Randi, Ettore; Jensen, Per; Andersson, Leif; 외. (2008), “Identification of the yellow skin gene reveals a hybrid origin of the domestic chicken”, 《PLOS Genetics》 4 (2): e1000010, doi:10.1371/journal.pgen.1000010, PMC 2265484, PMID 18454198 
  17. West, B.; Zhou, B.X. (1988). “Did chickens go north? New evidence for domestication”. 《J. Archaeol. Sci.》 14 (5): 515–533. Bibcode:1988JArSc..15..515W. doi:10.1016/0305-4403(88)90080-5. 
  18. Al-Nasser, A.; Al-Khalaifa, H.; Al-Saffar, A.; Khalil, F.; Albahouh, M.; Ragheb, G.; Al-Haddad, A.; Mashaly, M. (2007년 6월 1일). “Overview of chicken taxonomy and domestication”. 《World's Poultry Science Journal》 63 (2): 285–300. doi:10.1017/S004393390700147X. S2CID 86734013. 
  19. Wang, Ming-Shan; 외. (2020). “863 genomes reveal the origin and domestication of chicken”. 《Cell Research》 30 (8): 693–701. doi:10.1038/s41422-020-0349-y. PMC 7395088. PMID 32581344. S2CID 220050312. 
  20. Liu, Yi-Ping; Wu, Gui-Sheng; Yao, Yong-Gang; Miao, Yong-Wang; Luikart, Gordon; Baig, Mumtaz; Beja-Pereira, Albano; Ding, Zhao-Li; Palanichamy, Malliya Gounder; Zhang, Ya-Ping (January 2006). “Multiple maternal origins of chickens: Out of the Asian jungl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38 (1): 12–19. doi:10.1016/j.ympev.2005.09.014. PMID 16275023. 
  21. Zeder, Melinda A.; Emshwiller, Eve; Smith, Bruce D.; Bradley, Daniel G. (March 2006). “Documenting domestication: the intersection of genetics and archaeology”. 《Trends in Genetics》 22 (3): 139–155. doi:10.1016/j.tig.2006.01.007. PMID 16458995. 
  22. Piper, Philip J. (2017). 〈The Origins and Arrival of the Earliest Domestic Animals in Mainland and Island Southeast Asia: A Developing Story of Complexity〉. Piper, Philip J.; Matsumura, Hirofumi; Bulbeck, David. 《New Perspectives in Southeast Asian and Pacific Prehistory》. terra australis 45. ANU Press. ISBN 9781760460945. 
  23. Blust, Robert (June 2002). “The History of Faunal Terms in Austronesian Languages”. 《Oceanic Linguistics》 (1): 89–139. doi:10.2307/3623329. JSTOR 3623329. 
  24. Adler, Jerry; Lawler, Andrew (2012년 6월 1일). “How the Chicken Conquered the World”. 《Smithsonian Magazine》. 2014년 4월 14일에 확인함. 
  25. Storey, A. A.; Athens, J. S.; Bryant, D.; Carson, M.; Emery, K.; 외. (2012). “Investigating the global dispersal of chickens in prehistory using ancient mitochondrial DNA signatures”. 《PLOS ONE》 7 (7): e39171. Bibcode:2012PLoSO...739171S. doi:10.1371/journal.pone.0039171. PMC 3405094. PMID 2284835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