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해
불교 |
---|
소해(燒害)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불태우고(燒) 해하다(害)' 또는 '안달하게 하고(燒) 해치다(害)'로,[1]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들 가운데 하나이다.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과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에 따르면, 소해(燒害)는 번뇌의 다른 이름인 결(結) · 박(縛) · 수면(隨眠) · 수번뇌(隨煩惱) · 전(纏) · 폭류(瀑流) · 액(軶) · 취(取) · 계(繫) · 개(蓋) · 주올(柱杌) · 구(垢) · 소해(燒害) · 전(箭) · 소유(所有) · 악행(惡行) · 누(漏) · 궤(匱) · 열(熱) · 뇌(惱) · 쟁(諍) · 치연(熾然) · 조림(稠林) · 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다.[2][3][4][5]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9권에 따르면, 소해(燒害)는 번뇌가, 특히, 탐(貪) · 진(瞋) · 치(癡)가 자주 현행하여 항상 흘러 넘쳐서 몸과 마음을 지극히 안달하게 하고 괴롭혀 몸과 마음을 쇠약해지고 상하게 한다는 것을 뜻한다.[6]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과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에 따르면, 소해(燒害)는 특히 탐소해(貪燒害) · 진소해(瞋燒害) · 치소해(癡燒害)의 3소해(三燒害)를 말한다. 즉, 3불선근을 뜻한다.[7][8][9][10]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과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에 따르면, 소해(燒害)는 번뇌에, 특히, 탐(貪) · 진(瞋) · 치(癡)에 의지(依止)한 상태로 삶을 살아왔기 때문에 그 결과 오랜 기간 동안 여러 차례 생사윤회의 불길에 불태워지는 해를 입었으며 번뇌에 의지하여 삶을 살아가는 한 앞으로도 그렇게 될 것이라는 것을 뜻한다.[7][8][9][10]
같이 보기
[편집]- 3도: 견도 · 수도 · 무학도
- 현관: 4제현관 · 6현관
- 유루와 무루
- 번뇌의 해석
- 번뇌의 다른 이름
- 번뇌의 작용
- 번뇌의 분류
- 번뇌 = 근본번뇌 + 수번뇌
- 번뇌 = 잡염 = 유부무기 + 불선
- 번뇌 = 108번뇌 = 98수면 + 10전
- 번뇌 = 개: 5개
- 번뇌 = 결: 2결 · 3결 · 4결 · 5결 · 9결 · 10결(= 5하분결 + 5상분결) · 98결 · 108결
- 번뇌 = 구애: 3구애 · 5구애
- 번뇌 = 뇌: 3뇌
- 번뇌 = 누: 3루
- 번뇌 = 박: 3박 · 4박
- 번뇌 = 사: 7사 · 10사 · 98사 · 128사
- 번뇌 = 악행: 3악행
- 번뇌 = 취: 2취 · 4취
참고 문헌
[편집]-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편집]- ↑ "燒害", 《네이버 한자사전》. 2016년 1월 6일에 확인.
"
燒 사를 소
1. 사르다, 불사르다, 불태우다 2. 타다 3. 익히다 4. 안달하다(속을 태우며 조급하게 굴다), 애태우다 5. (붉게)물들다 6. 야화(野火)를 놓다 7. 야화(野火: 들불) 8. 소주(燒酒)
害 해할 해, 어느 할, 어찌 아니할 갈
1. 해하다(害--) 2. 거리끼다 3. 해롭다(害--) 4. 시기하다(猜忌--) 5. 훼방하다(毁謗--) 6. 방해하다(妨害--) 7. 해 8. 재앙(災殃) 9. 요새 10. 손해(損害) a. 어느 (할) b. 어찌 (할)" " - ↑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6b24 - T31n1605_p0676b27.
-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75 / 159.
- ↑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p. T31n1606_p0723b02 - T31n1606_p0723b05.
-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 p. 149 / 388.
- ↑ 미륵 조, 현장 한역 & T.1579, 《유가사지론 76-100권》 제89권. p. T30n1579_p0804a11 - T30n1579_p0804a12.
- ↑ 가 나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T31n1605_p0677c20 - T31n1605_p0677c21.
- ↑ 가 나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 p. 80 / 159.
- ↑ 가 나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T31n1606_p0725a19 - T31n1606_p0725a21.
- ↑ 가 나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7권. p. 158 / 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