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23년 UEFA 챔피언스리그
2022-23년 UEFA 챔피언스리그 | |
---|---|
개최기간 | 2022년 6월 21일 ~ 8월 24일 (예선) 2022년 9월 6일 ~ 2023년 6월 10일 (본선) |
참가팀 | 본선: 32 총: 78 (53개 협회) |
경기장 | 32 (1개 도시) |
결과 | |
우승 | ![]() |
준우승 | ![]() |
3위 | ![]() ![]() |
최다 득점 | 엘링 홀란 (맨체스터 시티) 12 골 |
통계 | |
총 경기 | 124경기 |
총 득점 | 371골 (경기당 2.99골) |
총 관중 | 6,122,788명 (경기당 49,377명) |
« 2021-22 2023-24 » |
2022-23년 UEFA 챔피언스리그(2022-23 UEFA Champions League)는 유럽 축구 연맹(UEFA)의 최상위 클럽 축구 대회인 유럽 축구 연맹(UEFA)의 최상위 클럽 축구 대회인 UEFA 챔피언스리그의 68번째 시즌으로, 대회 명칭이 유러피언컵에서 UEFA 챔피언스리그로 바뀐 이후의 31번째 시즌이다. 결승전은 튀르키예 이스탄불에 위치한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개최되었다.
나라별 유럽 대회 참가 팀 수 배분[편집]
축구 협회 순위[편집]
2022-23년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활용된 순위는 2021년 UEFA 계수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2016-17 시즌부터 2021-22 시즌까지의 성적을 반영하였다.[1][2] 이번 대회부터 국가 축구 협회별로 배분 기준안이 변경되어서 적용될 것이며 상위 4개 국가 리그들은 각 나라별로 상위 4팀씩 본선 직행 티켓을 얻는다.
- 국가 리그 1–4 각 4팀들 본선 직행.
- 국가 리그 5–6 각 최대 3팀들 본선 진출.
- 국가 리그 7–15 각 최대 2팀들 본선 진출.
- 국가 리그 16–55 (리히텐슈타인 제외) 각 1팀씩 예선부터 참가.
- 지난 시즌 챔피언스리그 우승 팀과 지난 시즌 유로파리그 우승 팀은 챔피언스리그 본선에 직행한다.
|
|
|
티켓 수 배분[편집]
2022-23년 시즌에서 러시아를 참가금지로 제제하고, 챔피언스리그 우승팀(리버풀 또는 레알 마드리드)이 자국 리그를 통해서 리그 성적상 챔피언스리그 본선 조별리그에 직행진출하므로, 참가팀 목록에 다음 변화들이 적용된다.:
- 11순위 국가(스코틀랜드)와 12순위 국가(우크라이나) 리그 우승팀이 플레이오프 예선 대신 본선 조별 리그에 직행한다.(우승팀 길)
- 13순위 국가(터키)와 14순위 국가(덴마크) 리그 우승팀이 3차예선 대신 플레이오프 예선에 진입한다.(우승팀 길)
- 15순위 국가(키프로스)와 16순위 국가(세르비아) 리그 우승팀이 2차예선 대신 3차예선에 진입한다.(우승팀 길)
- 18순위 국가(크로아티아), 19순위 국가(스위스), 20순위 국가(그리스)와 21순위 국가(이스라엘) 리그 우승팀들이 1차예선 대신 2차예선에 진입한다.(우승팀 길)
- 10순위 국가(오스트리아)와 11순위 국가(스코틀랜드) 리그 2위팀들이 2차예선 대신 3차예선에 진입한다.(리그 길)
이 단계에서 시작하는 팀들 | 이전 단계에서 올라온 팀들 | ||
---|---|---|---|
예비 예선 (4개팀) |
|
||
1차 예선 (32개팀) |
|
| |
2차 예선 | 우승 팀 루트 (20개 팀) |
|
|
리그 루트 (6개팀) |
|
||
3차 예선 | 우승 팀 루트 (12개 팀) |
|
|
리그 루트 (8개팀) |
|
| |
플레이오프 | 우승 팀 루트 (8개팀) |
|
|
리그 루트 (4개팀) |
|
| |
조별리그 (32개팀들) |
|
| |
토너먼트 단계 (16개 팀들) |
|
참가 팀들[편집]
참가 팀들은 각국 리그의 이전 시즌에서 성적에 근거하였다. (CL: 챔피언스리그 우승 팀; EL: 유로파리그 우승 팀).[3]
- 2022-23년 시즌에서 러시아를 참가금지로 제제하고 2021-22년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팀(리버풀과 레알 마드리드)이 자국 리그에서 챔피언스리그 본선 직행 티켓을 확보할 것이어서, 참가팀 목록에 다음 변화들이 적용된다.:
- 11순위 국가(스코틀랜드)와 12위 국가(우크라이나) 1위팀이 플레이오프 예선 대신 본선 조별 리그에 직행한다.
- 13순위 국가(터키)와 14위 국가(덴마크) 리그 우승팀이 3차예선 대신 플레이오프 예선에 진입한다.
- 15순위 국가(키프로스)와 16위 국가(세르비아) 리그 우승팀이 2차예선 대신 3차예선에 진입한다.
- 18순위 국가(크로아티아), 19순위 국가(스위스), 20순위 국가(그리스)와 21순위 국가(이스라엘) 리그 우승팀들이 1차예선 대신 2차예선에 진입한다.
- 10순위 국가(오스트리아)와 11순위 국가(스코틀랜드) 리그 2위팀들이 2차예선 대신 3차예선에 진입한다.
- 2021-22년 UEFA 유로파리그 우승 팀이 자국 리그에서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 티켓을 확보하면, 아래 순서대로 챔피언스리그 참가권을 1단계씩 승급하여 승계한다.
- 리그 랭킹 12위 국가(우크라이나)와 13위 국가(터키) 각 2위 팀들이 2차예선을 건너뛰고 3차예선에 진출한다.
- 챔피언스리그 우승 팀 또는 유로파리그 우승 팀이 자국 리그에서 예선 참가권 취득 성적을 기록하면, 그 팀의 유럽 대회의 예선 참가권 자리는 비워지고, 하위 단계에서 시작하는 다음 높은 순위의 국가 리그 소속 팀들이 바로 상위 단계로 순차적으로 승격한다.(예선 참가권 빈 자리를 순차적으로 승계한다.)
- 모든 국가 축구 협회들은 각 국가 리그당 최대 5개 팀까지만 챔피언스리그에 참가할 수 있다. (챔피언스리그 우승 팀이 자국 리그에서 본선 직행권이나 예선 참가권을 확보하지 못하면, 소속 국가 리그 챔피언스리그 참가 팀들 중 최하 순위 팀이 무조건 유로파리그로 밀려난다.)
단계별 일정[편집]
이름 | 조/대진 추첨 | 1차전 날짜 | 2차전 날짜 | 참가팀들 | |
---|---|---|---|---|---|
예선 단계 (2022년) | |||||
예비 예선 | 6월 7일 니옹 |
6월 21일 (준결승전) | 6월 24일 (결승전) | 4 | |
1차 예선 | 6월 14일 니옹 |
7월 5-6일 | 7월 12-13일 | 32 (1 + 31) | |
2차 예선 | 6월 15일 니옹 |
7월 19-20일 | 7월 26-27일 | 26 (16 + 10) | |
3차 예선 | 7월 18일 니옹 |
8월 2-3일 | 8월 9일 | 20 (13 + 7) | |
플레이오프 | 8월 1일 니옹 |
8월 16-17일 | 8월 23-24일 | 12 (10 + 2) | |
조별리그 (2022년) | |||||
제1주차 제2주차 제3주차 제4주차 제5주차 제6주차 |
8월 26일 모나코 |
9월 6-7일 9월 13-14일 10월 4-5일 10월 11-12일 10월 25-26일 11월 1-2일 |
32 (6 + 26) | ||
결선 토너먼트 (2023년) | |||||
16강전 | 2022년 11월 7일 니옹 |
2023년 2월 14-15일, 21-22일 | 3월 7-8일, 14-15일 | 16 | |
8강전 | 2023년 3월 17일 니옹 |
4월 11-12일 | 4월 18-19일 | 8 | |
4강전 | 5월 9-10일 | 5월 16-17일 | 4 | ||
결승전 | 6월 10일 토요일 튀르키예 이스탄불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 | 2 |
예비 예선[편집]
예비 예선은 2022년 6월 21일에 준결승전, 6월 24일에 결승전이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에서 개최될 것이다. 예비예선 최종 승자는 1차예선 우승팀 루트에 진출하고, 패자들은 UEFA 유로파 컨퍼런스리그 2차예선으로 전환될 것이다.
팀 1 | 결과 | 팀 2 |
---|---|---|
레바디아 탈린 ![]() |
1 - 6 | ![]() |
라 피오리타 ![]() |
1 - 2 | ![]() |
팀 1 | 결과 | 팀 2 |
---|---|---|
인테르 클럽 데스칼데스 ![]() |
0 - 1 | ![]() |
예선[편집]
1차예선[편집]
1차예선은 7월 5일과 6일에 1차전, 12일과 13일에 2차전 시행될 것이다. 1차예선 승자들은 2차예선 우승팀 루트에 진출하고, 패자들은 UEFA 유로파 컨퍼런스리그 2차예선으로 전환될 것이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퓨닉 예레반 ![]() |
2(연장)2 4(승부차기)3 |
![]() |
0 - 0 | 2(연장)2 |
마리보르 ![]() |
2 - 0 | ![]() |
0 - 0 | 2 - 0 |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 |
3 - 0 | ![]() |
2 - 0 | 1 - 0 |
F91 두델랑에 ![]() |
3 - 1 | ![]() |
1 - 0 | 2 - 1 |
토볼 ![]() |
1 - 5 | ![]() |
0 - 0 | 1 - 5 |
말뫼 FF ![]() |
6 - 5 | ![]() |
3 - 2 | 3 - 3 |
발카니 ![]() |
1 - 2 | ![]() |
1- 1 | 0 - 1 |
HJK 헬싱키 ![]() |
2(연장)2 5(승부차기)4 |
![]() |
1 - 0 | 1(연장)2 |
보되/글림트 ![]() |
4 - 3 | ![]() |
3 - 0 | 1 - 3 |
더 뉴 세인트 ![]() |
1 - 2 | ![]() |
1 - 0 | 0 - 2 |
섐록 로버스 ![]() |
3 - 0 | ![]() |
3 - 0 | 0 - 0 |
레흐 포즈난 ![]() |
2 - 5 | ![]() |
1 - 0 | 1 - 5 |
슈쿠피 ![]() |
3 - 2 | ![]() |
3 - 0 | 0 - 2 |
즈리니스키 모스타르 ![]() |
0 - 1 | ![]() |
0 - 0 | 0 - 1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
2 - 1 | ![]() |
0 - 0 | 2(연장)1 |
2차예선[편집]
2차예선은 7월 19일과 20일에 1차전, 26일과 27일에 2차전 시행될 것이다. 2차예선 승자들은 3차예선에 진출하고, 우승팀 루트 패자들은 UEFA 유로파리그 우승팀 루트 3차예선으로, 리그 루트 패자들은 유로파리그 주요 루트 3차예선으로 전환될 것이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페렌츠바로시 ![]() |
5 - 3 | ![]() |
1 - 2 | 4 - 1 |
디나모 자그레브 ![]() |
3 - 2 | ![]() |
2 - 2 | 1 - 0 |
카라바흐 ![]() |
5 - 4 | ![]() |
3 - 2 | 2(연장)2 |
HJK 헬싱키 ![]() |
1 - 7 | ![]() |
1 - 2 | 0 - 5 |
린필드 FC ![]() |
1- 8 | ![]() |
1 - 0 | 0 - 8 |
쟐기리스 빌니우스 ![]() |
3 - 0 | ![]() |
1 - 0 | 2 - 0 |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 |
4 - 2 | ![]() |
3 - 0 | 1 - 2 |
NK 마리보르 ![]() |
0 - 1 | ![]() |
0 - 0 | 0 - 1 |
마카비 하이파 ![]() |
5 - 1 | ![]() |
1 - 1 | 4 - 0 |
퓨닉 예레반 ![]() |
4 - 2 | ![]() |
0 - 1 | 4 - 1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FC 미트윌란 ![]() |
2(연장)2 4(승부차기)3 |
![]() |
1 - 1 | 1(연장)1 |
디나모 키이우 ![]() |
2 - 1 | ![]() |
0 - 0 | 2(연장)1 |
3차예선[편집]
3차예선은 8월 2일과 3일에 1차전, 9일에 2차전 시행될 것이다. 3차예선 승자들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우승팀 루트 패자들은 UEFA 유로파리그 우승팀 루트 플레이오프로, 리그 루트 패자들은 유로파리그 본선 조별 리그로 전환될 것이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마카비 하이파 ![]() |
4 - 2 | ![]() |
4-0 | 0-2 |
카라바흐 ![]() |
4 - 2 | ![]() |
1-1 | 3-1 |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 |
3 - 6 | ![]() |
1-2 | 2-4 |
셰리프 티라스폴 ![]() |
2 - 4 | ![]() |
1-2 | 1-2 |
보되/글림트 ![]() |
6 - 1 | ![]() |
5-0 | 1-1 |
츠르베나 즈베즈다 ![]() |
7 - 0 | ![]() |
5-0 | 2-0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AS 모나코 ![]() |
3 - 4 | ![]() |
1-1 | 2(연장)3 |
디나모 키이우 ![]() |
3 - 1 | ![]() |
1-0 | 2(연장)1 |
루아얄 위니옹 생질루아즈 ![]() |
2 - 3 | ![]() |
2-0 | 0-3 |
벤피카 ![]() |
7 - 2 | ![]() |
4-1 | 3-1 |
플레이오프[편집]
플레이오프는 8월 16일과 17일에 1차전, 23일과 24일에 2차전 시행될 것이다. 플레이오프 승자들은 챔피언스리그 본선 조별 리그에 진출하고, 패자들은 UEFA 유로파리그 본선 조별 리그로 전환될 것이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카라바흐 ![]() |
1 - 2 | ![]() |
0 - 0 | 1 - 2 |
보되/글림트 ![]() |
2 - 4 | ![]() |
1 - 0 | 1(연장)4 |
마카비 하이파 ![]() |
5 - 4 | ![]() |
3 - 2 | 2 - 2 |
FC 코펜하겐 ![]() |
2 - 1 | ![]() |
2 - 1 | 0 - 0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디나모 키이우 ![]() |
0 - 5 | ![]() |
0 - 2 | 0 - 3 |
레인저스 ![]() |
3 - 2 | ![]() |
2 - 2 | 1 - 0 |
조별 리그[편집]
|
|
|
|
Notes
- TH 챔피언스리그 우승팀, 포트 1 톱시드에 자동 배정.
- EL 유로파리그 우승팀, 포트 1 두번째 톱시드에 자동 배정.
조 순위 표의 색 정보 |
---|
조 1위와 2위 팀은 16강으로 진출한다. |
조 3위 팀은 UEFA 유로파리그 조별 리그 각조 2위팀들과 유로파리그 녹아웃라운드 플레이오프에서 맞대결한다. 각 승자들은 유로파리그 16강전에 진출한다. |
4위 팀은 유럽 클럽 대항전에서 제외된다. |
A조[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NAP | LIV | AJX | RAN | |
---|---|---|---|---|---|---|---|---|---|---|---|---|---|---|---|
1 | ![]() |
6 | 5 | 0 | 1 | 20 | 6 | +14 | 15[a] | 16강전 진출 | — | 4-1 | 4-2 | 3-0 | |
2 | ![]() |
6 | 5 | 0 | 1 | 17 | 8 | +9 | 15[a] | 2-0 | — | 2-1 | 2-0 | ||
3 | ![]() |
6 | 2 | 0 | 4 | 11 | 16 | −5 | 6 | 유로파리그 녹아웃 PO로 전환 | 1-6 | 0-3 | — | 4-0 | |
4 | ![]() |
6 | 0 | 0 | 6 | 2 | 22 | −20 | 0 | 0-3 | 1-7 | 1-3 | — |
B조[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POR | BRU | LEV | ATM | |
---|---|---|---|---|---|---|---|---|---|---|---|---|---|---|---|
1 | ![]() |
6 | 4 | 0 | 2 | 12 | 7 | +5 | 12 | 16강전 진출 | — | 0-4 | 2-0 | 2-1 | |
2 | ![]() |
6 | 3 | 2 | 1 | 7 | 4 | +3 | 11 | 0-4 | — | 1-0 | 2-0 | ||
3 | ![]() |
6 | 1 | 2 | 3 | 4 | 8 | −4 | 5[a] | 유로파리그 녹아웃 PO로 전환 | 0-3 | 0-0 | — | 2-0 | |
4 | ![]() |
6 | 1 | 2 | 3 | 5 | 9 | −4 | 5[a] | 2-1 | 0-0 | 2-2 | — |
C조[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BAY | INT | BAR | PLZ | |
---|---|---|---|---|---|---|---|---|---|---|---|---|---|---|---|
1 | ![]() |
6 | 6 | 0 | 0 | 18 | 2 | +16 | 18 | 16강전 진출 | — | 2-0 | 2-0 | 5-0 | |
2 | ![]() |
6 | 3 | 1 | 2 | 10 | 7 | +3 | 10 | 0-2 | — | 1-0 | 4-0 | ||
3 | ![]() |
6 | 2 | 1 | 3 | 12 | 12 | 0 | 7 | 유로파리그 녹아웃 PO로 전환 | 0-3 | 3-3 | — | 5-1 | |
4 | ![]() |
6 | 0 | 0 | 6 | 5 | 24 | −19 | 0 | 2-4 | 0-2 | 2-4 | — |
순위 결정방식: 조별 리그 순위결정기준
D조[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TOT | FRA | SPO | MAR | |
---|---|---|---|---|---|---|---|---|---|---|---|---|---|---|---|
1 | ![]() |
6 | 3 | 2 | 1 | 8 | 6 | +2 | 11 | 16강전 진출 | — | 3-2 | 1-1 | 2-0 | |
2 | ![]() |
6 | 3 | 1 | 2 | 7 | 8 | −1 | 10 | 0-0 | — | 0-3 | 2-1 | ||
3 | ![]() |
6 | 2 | 1 | 3 | 8 | 9 | −1 | 7 | 유로파리그 녹아웃 PO로 전환 | 2-0 | 1-2 | — | 0-2 | |
4 | ![]() |
6 | 2 | 0 | 4 | 8 | 8 | 0 | 6 | 1-2 | 0-1 | 4-1 | — |
순위 결정방식: 조별 리그 순위결정기준
E조[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CHE | MIL | SAL | DZG | |
---|---|---|---|---|---|---|---|---|---|---|---|---|---|---|---|
1 | ![]() |
6 | 4 | 1 | 1 | 10 | 4 | +6 | 13 | 16강전 진출 | — | 3-0 | 1-1 | 2-1 | |
2 | ![]() |
6 | 3 | 1 | 2 | 12 | 7 | +5 | 10 | 0-2 | — | 4-0 | 3-1 | ||
3 | ![]() |
6 | 1 | 3 | 2 | 5 | 9 | −4 | 6 | 유로파리그 녹아웃 PO로 전환 | 1-2 | 1–1 | — | 1-0 | |
4 | ![]() |
6 | 1 | 1 | 4 | 4 | 11 | −7 | 4 | 1–0 | 0-4 | 1-1 | — |
순위 결정방식: 조별 리그 순위결정기준
F조[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RMA | RBL | SHA | CEL | |
---|---|---|---|---|---|---|---|---|---|---|---|---|---|---|---|
1 | ![]() |
6 | 4 | 1 | 1 | 15 | 6 | +9 | 13 | 16강전 진출 | — | 2-0 | 2-1 | 5-1 | |
2 | ![]() |
6 | 4 | 0 | 2 | 13 | 9 | +4 | 12 | 3-2 | — | 1–4 | 3-1 | ||
3 | ![]() |
6 | 1 | 3 | 2 | 8 | 10 | −2 | 6 | 유로파리그 녹아웃 PO로 전환 | 1-1 | 0-4 | — | 1-1 | |
4 | ![]() |
6 | 0 | 2 | 4 | 4 | 15 | −11 | 2 | 0–3 | 0-2 | 1-1 | — |
순위 결정방식: 조별 리그 순위결정기준
G조[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MCI | DOR | SEV | CPH | |
---|---|---|---|---|---|---|---|---|---|---|---|---|---|---|---|
1 | ![]() |
6 | 4 | 2 | 0 | 14 | 2 | +12 | 14 | 16강전 진출 | — | 2-1 | 3-1 | 5-0 | |
2 | ![]() |
6 | 2 | 3 | 1 | 10 | 5 | +5 | 9 | 0-0 | — | 1-1 | 3–0 | ||
3 | ![]() |
6 | 1 | 2 | 3 | 6 | 12 | −6 | 5 | 유로파리그 녹아웃 PO로 전환 | 0–4 | 1-4 | — | 3-0 | |
4 | ![]() |
6 | 0 | 3 | 3 | 1 | 12 | −11 | 3 | 0-0 | 1-1 | 0-0 | — |
순위 결정방식: 조별 리그 순위결정기준
H조[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BEN | PAR | JUV | MHA | |
---|---|---|---|---|---|---|---|---|---|---|---|---|---|---|---|
1 | ![]() |
6 | 4 | 2 | 0 | 16 | 7 | +9 | 14[a] | 16강전 진출 | — | 1-1 | 4-3 | 2–0 | |
2 | ![]() |
6 | 4 | 2 | 0 | 16 | 7 | +9 | 14[a] | 1-1 | — | 2–1 | 7-2 | ||
3 | ![]() |
6 | 1 | 0 | 5 | 9 | 13 | −4 | 3[b] | 유로파리그 녹아웃 PO로 전환 | 1-2 | 1-2 | — | 3-1 | |
4 | ![]() |
6 | 1 | 0 | 5 | 7 | 21 | −14 | 3[b] | 1-6 | 1-3 | 2-0 | — |
결선 토너먼트[편집]
결선 토너먼트에서, 팀들은 결승전(중립지역에서 단판경기)을 제외하고 홈앤드어웨이 방식으로 단계별로 2팀씩 총 2경기씩 치른다. 각 라운드 당 대진추첨 방식은 아래와 같다.:
- 16강전에서, 8개 각조 1위팀들 8팀이 시드 배정을 받고, 8개 각조 2위팀들 8팀이 비시드 배정 받는다. 시드 팀들은 비시드 팀들과 맞대결하게 되고, 시드팀들은 2차전에서 홈경기를 개최할 것이다. 조별리그에서 같은 조였던 팀들이나 같은 국가리그 소속팀들은 맞대결하지 아니한다.
- 8강전부터 모든 팀들은 무작위 대진 추첨될 것이다.
16강 진출팀[편집]
조 | 각조 1위팀 (16강전 추첨 시드팀) |
각조 2위팀 (16강전 추첨 비시드팀) |
---|---|---|
A조 | ![]() |
![]() |
B조 | ![]() |
![]() |
C조 | ![]() |
![]() |
D조 | ![]() |
![]() |
E조 | ![]() |
![]() |
F조 | ![]() |
![]() |
G조 | ![]() |
![]() |
H조 | ![]() |
![]() |
토너먼트 대진[편집]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
![]() | 2 | 0 | 2 | ||||||||||||||||||||||
![]() | 5 | 1 | 6 | ||||||||||||||||||||||
![]() | 2 | 2 | 4 | ||||||||||||||||||||||
![]() | 0 | 0 | 0 | ||||||||||||||||||||||
![]() | 1 | 0 | 0 | ||||||||||||||||||||||
![]() | 0 | 2 | 2 | ||||||||||||||||||||||
![]() | 1 | 0 | 1 | ||||||||||||||||||||||
![]() | 1 | 4 | 5 | ||||||||||||||||||||||
![]() | 1 | 0 | 1 | ||||||||||||||||||||||
![]() | 1 | 7 | 8 | ||||||||||||||||||||||
![]() | 3 | 1 | 4 | ||||||||||||||||||||||
![]() | 0 | 1 | 1 | ||||||||||||||||||||||
![]() | 0 | 0 | 0 | ||||||||||||||||||||||
![]() | 1 | 2 | 3 | ||||||||||||||||||||||
![]() | 1 | ||||||||||||||||||||||||
![]() | 0 | ||||||||||||||||||||||||
![]() | 1 | 0 | 1 | ||||||||||||||||||||||
![]() | 0 | 0 | 0 | ||||||||||||||||||||||
![]() | 1 | 1 | 2 | ||||||||||||||||||||||
![]() | 0 | 1 | 1 | ||||||||||||||||||||||
![]() | 0 | 0 | 0 | ||||||||||||||||||||||
![]() | 2 | 3 | 5 | ||||||||||||||||||||||
![]() | 0 | 0 | 0 | ||||||||||||||||||||||
![]() | 2 | 1 | 3 | ||||||||||||||||||||||
![]() | 0 | 1 | 1 | ||||||||||||||||||||||
![]() | 2 | 5 | 7 | ||||||||||||||||||||||
![]() | 0 | 3 | 3 | ||||||||||||||||||||||
![]() | 2 | 3 | 5 | ||||||||||||||||||||||
![]() | 1 | 0 | 1 | ||||||||||||||||||||||
![]() | 0 | 0 | 0 |
16강전[편집]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라이프치히 ![]() |
1-8 | ![]() |
1-1 | 0-7 |
클뤼프 브뤼허 ![]() |
1-7 | ![]() |
0-2 | 1-5 |
리버풀 ![]() |
2-6 | ![]() |
2-5 | 0-1 |
밀란 ![]() |
1-0 | ![]() |
1-0 | 0-0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
0-5 | ![]() |
0-2 | 0-3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1-2 | ![]() |
1-0 | 0-2 |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
1-0 | ![]() |
1-0 | 0-0 |
파리 생제르맹 ![]() |
0-3 | ![]() |
0-1 | 0-2 |
8강전[편집]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레알 마드리드 ![]() |
4 - 0 | ![]() |
2-0 | 2-0 |
벤피카 ![]() |
3 - 5 | ![]() |
0-2 | 3-3 |
맨체스터 시티 ![]() |
4 - 1 | ![]() |
3-0 | 1-1 |
밀란 ![]() |
2 - 1 | ![]() |
1-0 | 1-1 |
준결승전[편집]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AC 밀란 ![]() |
0 - 3 | ![]() |
0-2 | 0-1 |
레알 마드리드 ![]() |
1 - 5 | ![]() |
1-1 | 0-4 |
결승전[편집]
팀 1 | 결과 | 팀 2 |
---|---|---|
맨체스터 시티 ![]() |
1 - 0 | ![]() |
우승[편집]
2022-23년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
---|
![]() |
맨체스터 시티 FC 1번째 우승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Country coefficients”. UEFA.com.
- ↑ “UEFA Country Ranking 2016”. Bert Kassies. 2016년 3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21일에 확인함.
- ↑ “Qualification for European Cup Football 2017/2018”. Bert Kassies. 2017년 6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15일에 확인함.
- ↑ 틀:Lien we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