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5-56년 유러피언컵
1955-56년 유러피언컵 | |
---|---|
![]() | |
개최기간 | 1955년 9월 4일 ~ 1956년 6월 13일 |
참가팀 | 16개 구단 |
결과 | |
우승 | ![]() |
준우승 | ![]() |
최다 득점 | ![]() |
통계 | |
총 경기 | 29경기 |
총 득점 | 127골 (경기당 4.38골) |
총 관중 | 900,201명 (경기당 31,041명) |
1956-57 » |
1955-56년 유러피언컵(프랑스어: Coupe des clubs champions européens 1955-56)은 UEFA가 주관한 최상위 축구 클럽 대회인 유러피언컵의 1번째 시즌이다. 이 대회는 1956년 6월 13일에 파리의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스타드 랭스를 4-3으로 이긴 레알 마드리드가 우승을 거두었다.
유러피언컵의 처음 5시즌 참가 구단은 프랑스 축구 정론지 레키프의 기준에 따라 유럽의 대표적인 명망높은 구단을 선정했다.[1] 이들 중에 첼시는 잉글랜드 축구 협회가 자국 리그와 스코틀랜드 애버딘과의 경기 일정에 방해 된다는 의견에 따라 참가하지 못했다. 첼시를 대신해 폴란드의 그바르디아 바르샤바가 참가했다. 비슷한 이유로 홀란트 스포르트, 혼베드, 그리고 AB도 각각 네덜란드, 헝가리, 그리고 덴마크를 각각 대표해 참가할 기회를 얻지 못했고, 그들을 대신해 PSV, 뵈뢰시 로보고, 그리고 AGF(AGF는 1997-98 시즌까지 자국 리그나 전 시즌 우승 구단으로 진출권을 획득한 구단이 아닌 유일한 구단으로 이름을 올렸다)가 참가했다. 이 대회는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자르 보호령 소속 구단이 참가한 유일한 대회로 자르 보호령은 1957년에 서독에 통합되었다.
1라운드 대진은 조직위원회가 정했으며, 추첨되지 않은 것인데, 이후의 유러피언컵도 동일한 방식으로 대진이 정해졌다.
참가 구단[편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진표[편집]
1라운드 | 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 |
0 | 0 | 0 | |||||||||||||||||||
---|---|---|---|---|---|---|---|---|---|---|---|---|---|---|---|---|---|---|---|---|---|---|
![]() |
2 | 5 | 7 | |||||||||||||||||||
![]() |
4 | 0 | 4 | |||||||||||||||||||
![]() |
0 | 3 | 3 | |||||||||||||||||||
![]() |
3 | 2 | 5 | |||||||||||||||||||
![]() |
3 | 5 | 8 | |||||||||||||||||||
![]() |
4 | 1 | 5 | |||||||||||||||||||
![]() |
2 | 2 | 4 | |||||||||||||||||||
![]() |
6 | 0 | 6 | |||||||||||||||||||
![]() |
1 | 1 | 2 | |||||||||||||||||||
![]() |
1 | 2 | 3 | |||||||||||||||||||
![]() |
1 | 7 | 8 | |||||||||||||||||||
![]() |
3 | 4 | 7 | |||||||||||||||||||
![]() |
4 | 1 | 5 | |||||||||||||||||||
![]() |
4 | |||||||||||||||||||||
![]() |
3 | |||||||||||||||||||||
![]() |
0 | 2 | 2 | |||||||||||||||||||
![]() |
2 | 2 | 4 | |||||||||||||||||||
![]() |
4 | 4 | 8 | |||||||||||||||||||
![]() |
2 | 4 | 6 | |||||||||||||||||||
![]() |
6 | 4 | 10 | |||||||||||||||||||
![]() |
3 | 1 | 4 | |||||||||||||||||||
![]() |
2 | 1 | 3 | |||||||||||||||||||
![]() |
0 | 0 | 0 | |||||||||||||||||||
![]() |
0 | 4 | 4 | |||||||||||||||||||
![]() |
0 | 1 | 1 | |||||||||||||||||||
![]() |
1 | 0 | 1 | |||||||||||||||||||
![]() |
3 | 1 | 4 | |||||||||||||||||||
![]() |
0 | 1 | 1 | |||||||||||||||||||
![]() |
4 | 1 | 5 |
1라운드[편집]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스포르팅 리스본 ![]() |
5–8 | ![]() |
3–3 | 2–5 |
뵈뢰시 로보고 ![]() |
10–4 | ![]() |
6–3 | 4–1 |
세르베트 ![]() |
0–7 | ![]() |
0–2 | 0–5 |
로트바이스 에센 ![]() |
1–5 | ![]() |
0–4 | 1–1 |
유르고르덴 ![]() |
4–1 | ![]() |
0–0 | 4–1 |
오르후스 ![]() |
2–4 | ![]() |
0–2 | 2–2 |
라피트 빈 ![]() |
6–2 | ![]() |
6–1 | 0–1 |
밀란 ![]() |
7–5 | ![]() |
3–4 | 4–1 |
1차전[편집]
1955년 9월 4일 18:00 (CET) | ||||||
스포르팅 리스본 ![]() |
3–3 | ![]() |
리스본 나시오날 관중: 30,000 심판: 데앙 아르지크 (프랑스) | |||
마르팅스 ![]() 킹 ![]() |
리포트 | M. 밀루티노비치 ![]() 보베크 ![]() | ||||
1955년 9월 7일 20:00 (CET) | ||||||
뵈뢰시 로보고 ![]() |
6–3 | ![]() |
부다페스트 MTK 스타디온 관중: 35,000 심판: 프리드리히 마이어 (오스트리아) | |||
심차크 1호 ![]() 펄로타시 ![]() 히데그쿠티 ![]() 샨도르 ![]() |
리포트 | 판더르빌트 ![]() 판 던 보스흐 ![]() | ||||
1955년 9월 8일 16:45 (CET) | ||||||
세르베트 ![]() |
0–2 | ![]() |
제네바 샤르미유 관중: 7,000 심판: 로베르 소테유 (프랑스) | |||
리포트 | 무뇨스 ![]() 리알 ![]() | |||||
1955년 9월 14일 20:00 (CET) | ||||||
로트바이스 에센 ![]() |
0–4 | ![]() |
에센 게오어크 멜헤스 슈타디온 관중: 5,000 심판: 요한 브롱크호르스트 (네덜란드) | |||
리포트 | 턴불 ![]() L. 레일리 ![]() 오르먼드 ![]() | |||||
1955년 9월 20일 20:00 (CET) | ||||||
유르고르덴 ![]() |
0–0 | ![]() |
스톡홀름 올림픽 경기장 관중: 3,574 심판: 얄 한센 (덴마크) | |||
리포트 | ||||||
1955년 9월 21일 20:00 (CET) | ||||||
AGF ![]() |
0–2 | ![]() |
쾨벤하운 이드랫츠파르켄 관중: 18,000 심판: 클라스 스히퍼르 (네덜란드) | |||
리포트 | 글로바츠키 ![]() | |||||
1955년 9월 21일 16:00 (CET) | ||||||
라피트 빈 ![]() |
6–1 | ![]() |
빈 파비제 관중: 10,000 심판: 에밀 슈메처 (서독) | |||
A. 쾨어너 ![]() 메자로시 ![]() 하나피 ![]() 프로브스트 ![]() |
리포트 | 프란선 ![]() | ||||
1955년 11월 1일 20:00 (CET) | ||||||
밀란 ![]() |
3–4 | ![]() |
밀라노 산 시로 관중: 18,000 심판: 고트프리트 딘스트 (스위스) | |||
프리냐니 ![]() 스키아피노 ![]() 달 몬테 ![]() |
리포트 | 크리거 ![]() 필리피 ![]() 시라 ![]() 마틴 ![]() | ||||
2차전[편집]
1955년 10월 12일 16:30 (CET) | ||||||
레알 마드리드 ![]() |
5–0 | ![]() |
마드리드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관중: 40,318 심판: 리카르도 피에리 (이탈리아) | |||
디 스테파노 ![]() 호세이토 ![]() 리알 ![]() 몰로니 ![]() |
리포트 | |||||
합계 7–0로 레알 마드리드가 8강전에 진출했다.
1955년 10월 12일 15:00 (CET) | ||||||
파르티잔 ![]() |
5–2 | ![]() |
베오그라드 스타디온 파르티자나 관중: 15,000 심판: 단코 죄르지 (헝가리) | |||
M. 밀루티노비치 ![]() 요치치 ![]() |
리포트 | 브란당 ![]() | ||||
합계 8–5로 파르티잔이 8강전에 진출했다.
1955년 10월 12일 20:15 (CET) | ||||||
하이버니언 ![]() |
1–1 | ![]() |
에든버러 이스터 로드 관중: 30,000 심판: 아서 에드워드 엘리스 (잉글랜드) | |||
뷰캐넌 ![]() |
리포트 | 아브로마이트 ![]() | ||||
합계 5–1로 하이버니언이 8강전에 진출했다.
1955년 10월 12일 20:00 (CET) | ||||||
그바르디아 바르샤바 ![]() |
1–4 | ![]() |
바르샤바 보이스카 폴스키에고 관중: 25,000 심판: 데앙 아르지크 (프랑스) | |||
바스키에비시 ![]() |
리포트 | 에릭손 ![]() 산베리 ![]() | ||||
합계 4–1로 유르고르덴이 8강전에 진출했다.
1955년 10월 19일 20:00 (CET) | ||||||
안데를레흐트 ![]() |
1–4 | ![]() |
안데를레흐트 에밀 베르세 관중: 33,000 심판: 요한 브롱크호르스트 (네덜란드) | |||
판 던 보스흐 ![]() |
리포트 | 히데그쿠티 ![]() 런토시 ![]() 펄로타시 ![]() 코바치 1호 ![]() | ||||
합계 10–4로 뵈뢰시 로보고가 8강전에 진출했다.
1955년 10월 26일 20:00 (CET) | ||||||
스타드 랭스 ![]() |
2–2 | ![]() |
랭스 오귀스트 델론 관중: 5,845 심판: 앨프레드 본드 (잉글랜드) | |||
글로바츠키 ![]() 블리아르 ![]() |
리포트 | 옌센 ![]() 비에레고르 ![]() | ||||
합계 4–2로 스타드 랭스가 8강전에 진출했다.
1955년 11월 1일 14:15 (CET) | ||||||
PSV ![]() |
1–0 | ![]() |
에인트호번 필립스 스타디온 관중: 8,000 심판: 알로이스 스미츠 (벨기에) | |||
프란선 ![]() |
리포트 | |||||
합계 6–2로 라피트 빈이 8강전에 진출했다.
1955년 11월 23일 14:15 (CET) | ||||||
자르브뤼켄 ![]() |
1–4 | ![]() |
자르브뤼켄 루트비히스파크 관중: 15,000 심판: 클라스 스히퍼르 (네덜란드) | |||
빙커트 ![]() |
리포트 | 발리 ![]() 푸프 ![]() 베랄도 ![]() | ||||
합계 7–5로 밀란이 8강전에 진출했다.
8강전[편집]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유르고르덴 ![]() |
1–4 | ![]() |
1–3 | 0–1 |
스타드 랭스 ![]() |
8–6 | ![]() |
4–2 | 4–4 |
레알 마드리드 ![]() |
4–3 | ![]() |
4–0 | 0–3 |
라피트 빈 ![]() |
3–8 | ![]() |
1–1 | 2–7 |
1차전[편집]
1955년 11월 23일 | ||||||
유르고르덴 ![]() |
1–3 | ![]() |
글래스고 퍼힐 파크[2] 관중: 21,962 심판: 아서 에드워드 엘리스 (잉글랜드) | |||
에클룬 ![]() |
리포트 | 콤 ![]() 멀커린 ![]() 올손 ![]() | ||||
1955년 12월 14일 | ||||||
스타드 랭스 ![]() |
4–2 | ![]() |
파리 파르크 데 프랭스 관중: 36,088 심판: 고트프리트 딘스트 (스위스) | |||
글로바츠키 ![]() 르블롱 ![]() 블리아르 ![]() |
리포트 | 숄노크 ![]() 런토시 ![]() | ||||
1955년 12월 25일 | ||||||
레알 마드리드 ![]() |
4–0 | ![]() |
마드리드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관중: 105,532 심판: 데앙 아르지크 (프랑스) | |||
카스타뇨 ![]() 헨토 ![]() 디 스테파노 ![]() |
리포트 | |||||
1956년 1월 18일 | ||||||
라피트 빈 ![]() |
1–1 | ![]() |
빈 파비제 관중: 18,000 심판: 야로슬라프 블체크 (체코슬로바키아) | |||
R. 쾨어너 ![]() |
리포트 | 노르달 ![]() | ||||
참고 - 출처별 정보가 다름: RSSSF에서는 26분에 로버트 쾨어너가 득점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UEFA 공식 웹사이트는 알프레트 쾨어너가 득점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2차전[편집]
1955년 11월 28일 | ||||||
하이버니언 ![]() |
1–0 | ![]() |
에딘버러 이스터 로드 관중: 31,346 심판: 아서 에드워드 엘리스 (잉글랜드) | |||
턴불 ![]() |
리포트 | |||||
합계 4–1으로 하이버니언이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1955년 12월 28일 | ||||||
뵈뢰시 로보고 ![]() |
4–4 | ![]() |
부다페스트 MTK 스타디온 관중: 35,000 심판: 존 허즈밴드 (잉글랜드) | |||
런토시 ![]() 펄로타시 ![]() |
리포트 | 글로바츠키 ![]() 블리아르 ![]() 탕플랭 ![]() | ||||
합계 8–6으로 스타드 랭스가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1956년 1월 29일 | ||||||
파르티잔 ![]() |
3–0 | ![]() |
베오그라드 스타디온 파르티자나 관중: 40,000 심판: 요제프 굴데 (스위스) | |||
M. 밀루티노비치 ![]() 미하일로비치 ![]() |
리포트 | |||||
합계 4–3으로 레알 마드리드가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1956년 2월 12일 | ||||||
밀란 ![]() |
7–2 | ![]() |
밀라노 산 시로 관중: 35,000 심판: 레오 호른 (네덜란드) | |||
마리아니 ![]() 노르달 ![]() 리카니 ![]() 프리냐니 ![]() 스키아피노 ![]() |
리포트 | 골로비치 ![]() 딘스트 ![]() | ||||
합계 8–3으로 밀란이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준결승전[편집]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스타드 랭스 ![]() |
3–0 | ![]() |
2–0 | 1–0 |
레알 마드리드 ![]() |
5–4 | ![]() |
4–2 | 1–2 |
1차전[편집]
1956년 4월 3일 | ||||||
스타드 랭스 ![]() |
2–0 | ![]() |
파리 파르크 데 프랭스 관중: 35,486 심판: 마누엘 아센시 마르틴 (스페인) | |||
르블롱 ![]() 블리아르 ![]() |
리포트 | |||||
1956년 4월 19일 | ||||||
레알 마드리드 ![]() |
4–2 | ![]() |
마드리드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관중: 129,690 심판: 데앙 아르지크 (프랑스) | |||
리알 ![]() 호세이토 ![]() 올센 ![]() 디 스테파노 ![]() |
리포트 | 노르달 ![]() 스키아피노 ![]() | ||||
2차전[편집]
1956년 4월 18일 | ||||||
하이버니언 ![]() |
0–1 | ![]() |
에든버러 이스터 로드 관중: 44,941 심판: 아서 에드워드 엘리스 (잉글랜드) | |||
리포트 | 글로바츠키 ![]() | |||||
합계 3–0으로 스타드 랭스가 결승전에 진출했다.
1956년 5월 1일 | ||||||
밀란 ![]() |
2–1 | ![]() |
밀라노 산 시로 관중: 30,000 심판: 에리히 슈타이너 (오스트리아) | |||
달 몬테 ![]() |
리포트 | 호세이토 ![]() | ||||
합계 5–4으로 레알 마드리드가 결승전에 진출했다.
결승전[편집]
1956년 6월 13일 20:30 CET | ||||||
레알 마드리드 ![]() |
4–3 | ![]() |
파리 파르크 데 프랭스 관중: 38,239 심판: 아서 에드워드 엘리스 (잉글랜드) | |||
디 스테파노 ![]() 리알 ![]() 마르키토스 ![]() |
리포트 | 르블롱 ![]() 탕플랭 ![]() 이달고 ![]() | ||||
1955-56년 유러피언컵 우승 |
---|
![]() |
레알 마드리드 1번째 우승 |
득점 집계[편집]
순위 | 이름 | 구단 | 골 |
---|---|---|---|
1 | ![]() |
![]() |
8 |
2 | ![]() |
![]() |
6 |
![]() |
![]() | ||
4 | ![]() |
![]() |
5 |
![]() |
![]() | ||
![]() |
![]() | ||
7 | ![]() |
![]() |
4 |
![]() |
![]() | ||
![]() |
![]() | ||
10 | ![]() |
![]() |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각주[편집]
- ↑ https://blog.lequipe.fr/histoire/2-avril-1955-lequipe-cree-la-coupe-deurope-de-football/
- ↑ 스웨덴의 구장이 얼어붙음에 따라 경기 장소가 글래스고로 변경되었다. (“Hibernian reach the first European Cup semi-finals 1956”. 《A Sporting Nation: Rock 'n' Roll Era 1950–1959》. BBC. 2005년 11월. 2010년 4월 1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