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하부
몽골의 역사 Монголын түүх |
---|
![]() |
할하(몽골어: Халх, ᠬᠠᠯᠬᠠ, 영어: Khalkha)는 명나라 중엽 때 일어난 외몽골의 부명(部名)이다.[1] 내(內)할하·외(外)할하로 나뉘어져 있었다. 내할하는 남하하여 내몽골 서북에서 유목을 하고 있었다. 외할하는 외몽골 전역으로 발전하고 있었으나, 1688년 서방 중가르부(部)의 침입을 받았다.
할하 민족은 옛부터 몽골 지역의 주요 민족이며, 인구가 가장 많았다. 현재 몽골국에 거주하는 몽골인의 주축을 이룬다(2010년 인구조사에서 몽골 인구의 82.4%).
할하부의 역대 칸(可汗)[편집]
몽골 칸호(시호) | 이름 | 재위기간 |
---|---|---|
조리그투 칸 (卓里克圖汗) |
보르지긴 이수데르 (孛兒只斤 也速迭兒) |
1389년 ~ 1392년 |
엥크 칸 (恩克汗) |
보르지긴 엥크 (孛兒只斤 恩克) |
1392년 ~ 1394년 |
니구라스크치 칸 (尼古埒蘇克齊汗) |
보르지긴 엘베크 (孛兒只斤 額勒伯克) |
1394년 ~ 1399년 |
토요얀 칸 (脱古罕汗) |
보르지긴 군테무르 (孛兒只斤 坤帖木兒) |
1400년 ~ 1402년 |
울루그 테무르 칸 (兀雷帖木兒汗) |
보르지긴 구리키 (孛兒只斤 鬼力赤) |
1402년 ~ 1408년 |
울제이 테무르 칸 (完者帖木兒汗) |
보르지긴 분야시리 (孛兒只斤 本雅失里) |
1408년 ~ 1412년 |
델베그 칸 (答力巴汗) |
보르지긴 델베그 (孛兒只斤 答力巴) |
1415년 |
에세크 칸 (額色庫汗) |
보르지긴 오이라다이 (孛兒只斤 斡亦剌歹) |
1415년 ~ 1425년 |
아자이 칸 (阿岱汗) |
보르지긴 아자이 (孛兒只斤 阿岱) |
1425년 ~ 1438년 |
타이손 칸 (岱總汗) |
보르지긴 토크토아부카 (孛兒只斤 脱脱不花) |
1433년 ~ 1452년 |
오케크트 칸 (烏格克圖汗) |
보르지긴 아크바르지 (孛兒只斤 阿噶多尔濟) |
1451년 ~ 1453년 |
다이온타슨다이칸 (大元田盛大可汗) |
오이라트 에센 (衛拉特 也先) |
1453년 ~ 1454년 |
오헤크트 칸 (烏珂克圖汗) |
보르지긴 마르코르기시 (孛兒只斤 馬兒古兒吉思) |
1454년 ~ 1455년 |
멀런 칸 (摩伦汗) |
보르지긴 토구스멩게 (孛兒只斤 脱古思猛可) |
1456년 ~ 1466년 |
오케크트 칸 (烏格克圖汗) |
보르지긴 만도르 (孛兒只斤 满都鲁) |
1470년 ~ 1478년 |
다얀 칸 (達延汗) |
보르지긴 바트몬크 (孛兒只斤 巴圖蒙克) |
1480년 ~ 1517년 |
바르스볼트 칸 (巴尔斯博罗特汗) |
보르지긴 바르스볼트 (孛兒只斤 巴尔斯博罗特) |
1519년 ~ 1531년 |
알라크 칸 (阿剌克汗) |
보르지긴 보디 (孛兒只斤 博迪) |
1519년 ~ 1547년 |
구덴 칸 (庫騰汗) |
보르지긴 다라이손 (孛兒只斤 打來孫) |
1547년 ~ 1557년 |
자사그트 칸 (札薩克圖汗) |
보르지긴 투멘 (孛兒只斤 圖們) |
1557년 ~ 1592년 |
체첸 칸 (徹辰汗) |
보르지긴 보얀 (孛兒只斤 布延) |
1592년 ~ 1604년 |
링단 칸 (林丹汗) |
보르지긴 링단 (孛兒只斤 林丹) |
1604년 ~ 1634년 |
에제이 칸 (額哲汗) |
보르지긴 에제이 (孛兒只斤 額哲) |
1634년 ~ 1635년 |
참고 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배석규. (배석규의 대몽골 시간여행-183) 갈단은 어떤 제국을 꿈꾸었나? ②. 아주경제. 2018년 3월 1일.
외부 링크[편집]
- 객이객(喀爾喀)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실록위키)
![]() |
이 글은 몽골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