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시트리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1R,3S)-5-[2-[(1R,3aR,7aS)-1-[(2R)-6-hydroxy-6-methyl-heptan-2-yl]-7a-methyl-2,3,3a,5,6,7-hexahydro-1H- inden-4-ylidene]ethylidene]-4-methylidene-cyclohexane-1,3-diol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32222-06-3
ATC 코드 A11CC04 D05AX03
PubChem 5280453
드러그뱅크 DB00136
ChemSpider 4444108
화학적 성질
화학식 C27H44O3 
분자량 ?
SMILES eMolecules & PubChem
유의어 1,25-dihydroxycholecalciferol, 1alpha,25-dihydroxyvitamin D3, 1,25-dihydroxyvitamin D3, 1α,25-(OH)2D3, 1,25(OH)2D[1]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
단백질 결합 99.9%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콩팥
생물학적 반감기 5–8시간(성인), 27시간(어린이)
배출 대변(50%), 소변(16%)
처방 주의사항
허가 정보

US Daily Med:바로가기

임부투여안전성 B3(오스트레일리아) C(미국)
법적 상태
투여 방법 By mouth, IV[2]

칼시트리올(INN : calcitriol)은 3개의 하이드록시기(1,25-(OH)2D3 또는 간단히 1,25(OH)2D)를 가지는 비타민 D호르몬 활성 형태이다.[3] 1,25-다이하이드록시콜레칼시페롤(영어: 1,25-dihydroxycholecalciferol) 또는 1,25-다이하이드록시비타민 D3(영어: 1,25-dihydroxyvitamin D3)라고도 불린다. 이 물질은 다음의 방법에 의해 혈중의 칼슘(Ca2+) 농도를 높인다. (1) 에서 혈액으로 칼슘의 흡수를 높여 혈중 칼슘 농도를 높인다. (2) 에서 혈액으로 칼슘의 방출을 높여 혈중 칼슘 농도를 높인다.[4]

명칭[편집]

칼시트리올은 통상은 1,25-다이하이드록시콜레칼시페롤을 가리키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24,25-다이하이드록시콜레칼시페롤도 포함하기도 한다. 이 화합물은 하이드록시기 3개가 있는데, '다이하이드록시'라는 명칭이 붙는 것은 콜레칼시페롤에 하이드록시기가 1개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제약 상품명[편집]

칼시트리올은 로칼트롤 (로슈), 칼시젝스 (애보트), 데코스트리올 (Mibe, Jesalis), 벡티칼 (갈더마)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상표명으로 판매되고 있다.

의학적 이용[편집]

칼시트리올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처방된다.[5]

칼시트리올은 건선[6]건선성 관절염 치료[7]를 위해 경구 투여되기도 한다. 칼시트리올은 건선의 치료에 국부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치료의 효과성을 입증하는 명확한 증거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8] 건선 치료를 위해서는 비타민 D 유사체인 칼시포트리올이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칼시트리올의 비석회질적 작용이나 비타민 D 수용체 배위 유사 물질의 치료상 적용 가능성은 현재도 계속 연구되고 있다.[9]

부작용[편집]

칼시트리올에 의한 치료와 관련한 주된 부작용은 고칼슘혈증이다. 초기 사용에 의한 증상은 메스꺼움, 구토, 변비, 식욕 감퇴, 무력감, 두통, 갈증, 다한증, 다뇨증 등이 있다. 콜레칼시페롤, 에르고칼시페롤과 같은 다른 비타민 D 화합물의 임상 사용과 비교했을 때, 칼시트리올은 고칼슘혈증의 위험성이 더 높은 편이다. 그러나, 칼시트리올의 이러한 부작용은 생물학적 반감기가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단기간에 용이하게 치료를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5]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IUPAC-IUB Joint Commission on Biochemical Nomenclature (JCBN): Nomenclature of vitamin D. Recommendations 1981”. 《European Journal of Biochemistry》 124 (2): 223–7. May 1982. doi:10.1111/j.1432-1033.1982.tb06581.x. PMID 7094913. 
  2. “Calcitriol Monograph for Professionals”. 《Drugs.com》 (영어).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9년 4월 9일에 확인함. 
  3. "Nomenclature of Vitamin D. Recommendations 1981. IUPAC-IUB Joint Commission on Biochemical Nomenclature (JCBN) Archived 2017년 8월 23일 - 웨이백 머신" reproduced at the 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 website. Retrieved 21 March 2010.
  4. Voet, Donald; Voet, Judith G. (2004). Biochemistry. Volume one. Biomolecules, mechanisms of enzyme action, and metabolism, 3rd edition, pp. 663–664. New York: John Wiley & Sons. ISBN 0-471-25090-2.
  5. Rossi S, editor. Australian Medicines Handbook 2006. Adelaide: Australian Medicines Handbook; 2006. ISBN 0-9757919-2-3
  6. Smith, E. L.; Pincus, S. H.; Donovan, L.; Holick, M. F. (1988). “A novel approach for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psoriasi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19 (3): 516–528. doi:10.1016/S0190-9622(88)70207-8. PMID 2459166. 
  7. Huckins, D.; Felson, D. T.; Holick, M. (1990). “Treatment of psoriatic arthritis with oral 1,25-dihydroxyvitamin D3: A pilot study”. 《Arthritis & Rheumatism》 33 (11): 1723. doi:10.1002/art.1780331117. 
  8. Calcitriol. In: Klasco RK, editor. Drugdex system. vol 128. Greenwood Village (CO): Thomson Micromedex; 2006.
  9. Nagpal, S; Na, S; Rathnachalam, R (2005). “Noncalcemic actions of vitamin D receptor ligands”. 《Endocrine Reviews》 26 (5): 662–687. doi:10.1210/er.2004-0002. PMID 15798098. 2009년 3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11일에 확인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