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리독신
![]() | |
![]() | |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4,5-Bis(hydroxymethyl)-2-methylpyridin-3-ol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65-23-6 |
ATC 코드 | A11HA02 |
PubChem | ? |
드러그뱅크 | DB00165 |
ChemSpider | 1025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8H11NO3 |
분자량 | ? |
유의어 | vitamin B6,[1] pyridoxol[2] pyridoxine hydrochloride |
물리적 성질 | |
녹는점 | 159-162 °C (-101 °F)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 |
생물학적 반감기 | ? |
배출 | ? |
처방 주의사항 | |
허가 정보 | |
임부투여안전성 | ?(오스트레일리아)[3]A(미국)[3]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By mouth, intravenous (IV), intramuscular (IM), subcutaneous |
피리독신(Pyridoxine)은 피리독살, 피리독사민과 함께 비타민 B6로 부를 수 있는 화합물의 하나이다.
화학
[편집]피리독신은 하이드록시기, 메틸기, 수산화메틸 치환기와 함께 피리딘 고리에 기초한다. 이는 생물학적으로 활성화된 형태인 피리독살 5-인산으로 바뀌게 된다.
인체 내의 역할
[편집]피리독신의 부족은 빈혈, 신경 손상, 발작, 피부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구내염이 발생할 수 있다.[5]
의학적 용도
[편집]피리독신은 이소니아지드를 복용하는 환자들에 부작용으로서의 약의 독성을 방지하기 위해 처방된다. 이소니아지드와 관련된 말초신경장애와 중추신경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1일 10~50mg을 복용한다.
피리독신은 또한 희귀한 피리독신 의존 뇌전증에 또한 필요한데, 이 병은 ALDH7A1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고 여겨지고 있다.
비타민 B6는 다양한 복용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알약, 캡슐, 물약 형태로 복용할 수 있다. 액체 형태로는 비강 스프레이나 주사도 가능하다.
비타민 B6는 성인의 경우 매일 200mg까지는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다. 하지만 비타민 B6는 장기간 많은 양(1일 200 mg 이상)을 섭취할 경우 다리의 감각 상실과 불균형 등의 신경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비타민 B6의 독성은 감각 신경을 손상시켜 보행에 지장을 줄 뿐 아니라 손과 발의 감각 마비를 초래할 수 있다. 피리독신의 과다 복용 증상은 조정력 저하, 휘청거림, 마비, 접촉이나 온도, 진동에 대한 감각 저하, 수 년 간 계속되는 피로 등이다.[6]
피리독신의 독성과 관련, 매일 50 mg, 6개월 이상 복용한 여성 중 21%가 신경 장애를 경험하였다는 보고서가 발표되기도 했다.[7] 50 mg 미만은 보고되지 않았다.
각주
[편집]-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Stuart MC, Kouimtzi M, Hill SR, 편집. 《WHO Model Formulary 2008》. World Health Organization. 496쪽. hdl:10665/44053. ISBN 9789241547659.
- ↑ Dryhurst, Glenn (2012). 《Electrochemistry of Biological Molecules》 (영어). Elsevier. 562쪽. ISBN 9780323144520. 2016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가 나 “Pyridoxine Use During Pregnancy”. 《Drugs.com》. 2020년 4월 27일. 2020년 5월 6일에 확인함.
- ↑ “Pyridoxine 50mg Tablets -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SmPC)”. 《(emc)》. 2015년 4월 27일. 2020년 5월 6일에 확인함.
- ↑ Vitamin B1 보관됨 2008-05-17 - 웨이백 머신, www.HowStuffWorks.com
- ↑ Vitamin B6 (pyridoxine) 보관됨 2011-03-09 - 웨이백 머신, Vitamins & health supplements guide
- ↑ K Dalton & MJT Dalton (1987년). “Characteristics of pyridoxine overdose neuropathy syndrome”. 《Acta Neurol Scand》 76 (1): 8~11. doi:10.1111/j.1600-0404.1987.tb03536.x. PMID 3630649.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피리독신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