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도스테론
![]() | |
이름 | |
---|---|
IUPAC 이름
(8S,9S,10R,11S,13R,14S,17S)-11-hydroxy-17-(2-hydroxyacetyl)-10-methyl-3-oxo-1,2,6,7,8,9,11,12,14,15,16,17-dodecahydrocyclopenta[a]phenanthrene-13-carbaldehyde
| |
별칭
Aldocorten; Aldocortin; Electrocortin; Reichstein X; 18-Aldocorticosterone; 18-Oxocorticosterone; 11β,21-Dihydroxy-3,20-dioxopregn-4-en-18-al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DrugBank | |
ECHA InfoCard | 100.000.128 |
KEGG | |
MeSH | Aldosterone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21H28O5 | |
몰 질량 | 360.450 g·mol−1 |
약리학 | |
H02AA01 (WHO)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 ![]() ![]() | |
정보상자 각주 | |
알도스테론(Aldosterone) 집합관과 네프론의 원위세뇨관에서 일어나는 나트륨 이온의 재흡수와 칼륨 이온 의 방출을 증가시키는 호르몬이다. 이 호르몬은 혈액양을 증가시켜 혈압을 높이기 때문에 알도스테론의 분비나 작용과정을 방해하는 약은 혈압을 낮추는데 쓰일 수 있다. 이런 고혈압과 관련된 약 중 하나인 스피로노락톤은 알도스테론 수용체를 막아 혈압을 낮춘다. 알도스테론은 레닌 안지오텐신계의 일부분이다.
알도스테론은 부신의 피질 바깥층에서 생산되는 미네랄코르티코이드계의 노란색 스테로이드 호르몬이다. 애디슨병은 알도스테론의 활동이 감소된 경우이고, 콘 증후군에서는 그 활동이 증가된 경우다. 이 호르몬은 1953년에 심슨과 타이트가 처음으로 분리했다.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이 글은 생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