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하수체
뇌하수체 | |
---|---|
사람의 뇌하수체의 위치 | |
중앙에 붉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뇌하수체이다. | |
라틴어 명칭 | Glandula pituitaria, Hypophysis |
그레이 해부학 | subject #275 1275 |
동맥 | 위뇌하수체동맥, 아래뇌하수체동맥, 피막동맥 |
돌란드/엘스비어 | nine/000955852/ |
뇌하수체(Pituitary gland)는 간뇌의 시상하부 아래쪽에 매달려 있는 내분비 기관의 하나이다. 하수체 또는 골밑샘이라고도 한다. 사람의 경우 지름은 약 1 cm, 무게는 0.5g정도이다. 다른 종류의 호르몬들의 분비를 조절하는 호르몬들을 비롯하여, 직접 많은 호르몬들을 분비하는 기능을 하는 내분비기관이다.
부분[편집]
뇌하수체는 크게 전엽, 중엽, 후엽의 3엽으로 나뉠 수 있다. 다만, 인간의 것은 중엽이 퇴화하여 일반적으로 전엽과 후엽으로만 나뉜다. 뇌하수체 전엽과 후엽은 서로 구분 가능할 만큼 확연히 다른 기능을 하며, 발생 기원 또한 다르다.[1]
뇌하수체 전엽[편집]
발생(發生) 단계의 구강으로부터 유래한다.[1] 생체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 뿐만 아니라 다른 내분비샘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샘자극호르몬도 분비된다.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들은 다음과 같다.
뇌하수체 중엽[편집]
대부분의 척추동물에서 발견되는 부분이나, 인간의 경우 퇴화하여 존재하지 않으며 뇌하수체 전엽이 이를 대신한다.[2] 뇌하수체 중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다음과 같다.
-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MSH)
뇌하수체 후엽[편집]
발생(發生) 단계의 시상하부로부터 유래한다.[1] 여기에서는 호르몬을 직접 합성하지 않으며, 시상하부에 있는 뉴런들에서 만들어진 신경호르몬을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에 분비한다.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들은 다음과 같다.
다른 그림[편집]
함께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 ↑ 가 나 다 이광웅 외. 《생명: 생물의 과학》. 교보문고.
- ↑ Starr, Cecie. 《Biology: Concepts and Applications》 (영어). Thomson Brooks/Cole.
내분비계통 | |
---|---|
시상하부/뇌하수체 축 | |
랑게르한스섬 | |
솔방울샘 |
해부학 | |
---|---|
뼈대계통 | |
근육계통 | |
내분비계통 | |
순환계통 | |
비뇨계통 | |
생식계통 | |
소화계통 | |
신경계통 | |
피부계통 | |
호흡계통 | |
외분비계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