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샘
가슴샘 | |
---|---|
![]() 가슴샘 | |
정보 | |
발생기 구조 | 셋째 인두활 |
기관계 | 림프계, 면역계 |
림프 | 기관기관지림프절, 복장옆림프절 |
기능 | 기능적 T세포 발달을 도움 |
식별자 | |
라틴어 | Thymus |
MeSH | D013950 |
TA98 | A13.1.02.001 |
TA2 | 5152 |
FMA | 9607 |
가슴샘 또는 흉선(胸腺, 영어: thymus)은 가슴뼈 뒤쪽에 위치한 면역계의 특별한 기관이자 척추동물의 내분비샘 가운데 하나이다. 면역계에서 중추 림프구를 담당하고 있는 기관이다. 흉선 내에서 T세포가 성숙한다. T세포는 신체가 외부 병원체에 후천 면역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흉선은 사춘기에 가장 커졌다가 성인이 되면서부터 점차 퇴화한다.[1]
위치[편집]
가슴의 정중앙 부위에 위치하며, 가슴뼈 가운데 부분인 흉골의 바로 뒤, 좌우 폐의 사이, 심장의 바로 앞에 자리한다. 가슴 부위의 종격동 앞쪽에 위치한다.[1]
구조[편집]
어린이의 흉선은 분홍빛을 띄고, 부드럽다.[2] 출생시기는 약 4-6cm, 폭은 2.5-5cm, 두께는 약 1cm이다.[3] 사춘기까지 크기가 커지며, 여기에서 크기는 약 40-50g 일 수 있으며,[4][5] 성장 과정 중에 크기가 줄어든다.[5]
기능[편집]
림프구와 상피세포 가슴샘세포로 이루어진 림프성 장기이며,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선으로 인체의 심장 앞 위쪽에 위치한다. 좌우 둘로 나뉘어 제각기 평평한 삼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다. 사춘기인 14~16세경에 무게와 기능의 최고점을 이루다 그 이후 서서히 감소한다. 가슴샘은 피질과 수질로 나뉘는데, 이때 피질에서 T세포가 만들어진다. 미성숙한 림프구를 T세포로 변화시키는 주요 임무를 가슴샘이 맡지만, 20세 이후 역할이 둔화됨과 동시에 신체의 여러 면역기능에서 빨간불이 들어오게 된다. 그리하여 가슴샘호르몬은 면역 및 호르몬 치료에도 중요한 몫을 담당한다.[6] 가슴샘은 뼈의 성장을 촉진하는 기능을 하지만, 사춘기 이후에는 퇴화한다.
관련 질병[편집]
가슴샘절제술[편집]
가슴샘절제술(thymectomy)은 가슴샘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외부 링크[편집]
각주[편집]
- ↑ 가 나 서울아산병원. “흉선 ; 인체정보 ;”. 《의료정보; 건강정보》. 2020년 4월 29일에 확인함.
- ↑ 《Gray's anatomy :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40, anniversary판.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2008. ISBN 978-0-443-06684-9.
- ↑ 《Gray's anatomy :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Forty-fir판. [Philadelphia]. ISBN 978-0-7020-5230-9.
- ↑ 《Robbins and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Nin판. Philadelphia, PA. ISBN 978-0-323-29639-7.
- ↑ 가 나 Young, Barbara (Pathologist),. 《Wheater's functional histology : a text and colour atlas.》 Six판. Philadelphia, PA. ISBN 978-0-7020-5488-4.
-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가슴샘[thymus gland, 胸腺]”. 2020년 4월 2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