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킨샘
스킨샘 | |
---|---|
![]() | |
정보 | |
발생기 구조 | 중간콩팥관 |
식별자 | |
TA98 | A09.2.01.017 |
TA2 | 3564 |
FMA | 20083 |
인체해부학(여성)에서, 스킨샘 또는 스케네샘(Skene腺(샘); 영어: Skene's gland)은 질의 앞면, 요도의 약간 아래쪽에 위치한 샘이다. 이 샘에서 나오는 분비액은 요도나 요도구 근처로 흘러든다. 이 분비샘은 질 안쪽까지 위치한 음핵의 일부를 포함한 조직에 둘러싸여 있으며, 성적 각성 중에 충혈되어 부풀어오른다. 역할상 여성의 전립샘, U-스팟으로도 불린다. 스킨샘은 음핵(클리토리스)과 음경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전립샘과 상동기관의 관계이며 발생학적 기원이 같다. 따라서 스킨샘은 전립샘과 동일하게 방광 아래의 위치에 있다.[1][2]
상동 관계[편집]
스킨샘은 일반적으로 요도 해면, 방광 바로 아래의 영역에 위치한다. 남성의 전립샘과 그 위치가 같다. 스킨샘은 개체발생학적으로 남성의 전립샘과 상동 관계에 있다.[3]
남성의 전립샘이 분비하는 PSA(전립샘 특이 항원)이 스킨샘에서도 분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4][5][6]
다시말하면 엄밀히 전립샘 특이 항원(PSA)의 명칭은 틀린 것이다. PSA가 여성에게서도 분비가 되며 여성의 성기에서도 존재함이 밝혀 졌기 때문이다.[7]
심지어 남성의 PSA와 거의 동일한 농도로 별차이 없이 분비가 된다.[8] PSA는 산성을 띠는 질속에서, 정자의 이동및 생존이 유리하도록 도와주는 약알칼리성의 점액물질이다. 남성과 동일하게 여성에게도 이것이 분비되는 기관이 존재한다는 것은[9], 전립샘 특이 항원이라는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상식에 약간 반하는 경향이 있다.
허나 이것은 남성의 전립샘과 발생학적 기원이 동일하기 때문인것으로 인해 기인한다고 생각해볼 수 있다.
현재는 여성전립선이라고 부르는 추세이다.
여성의 사정[편집]
성적인 반응[편집]
일부 여성들은 요도 주변, 특히 스킨샘 주변을 마사지할 때 쾌감과 오르가슴을 경험했다고 말한다. 이 때는 애무하는 이가 주의를 요해야 된다고 한다. 이는 스킨샘이 일부 성인지에서 'U-스팟'이라고 불리는 계기가 되었다.
스킨샘의 분비물질이 나오는 배출구는 위 사진처럼 여성의 질입구, 요도 부근에 존재하지만, 그 분비물질을 주요 생성하는 기관인 샘(glend)은 방광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10]
대한민국에서는 거의 잘 연구되지 않는 분야이지만, 서구권에서도 스킨선을 G스팟과 연계하여 여성의 오르가즘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11] 그런데 문제는 부르는 이름만 다를 뿐 해부학적 위치, 발생학적 기원, 분비되는 물질, 성적인 반응이 남성의 전립샘과 같다는 것이다. 실제로 서구권에서는 여성전립선이라고 불린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The Skene’s Gland” (미국 영어). Actforlibraries.org.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Bigger is better when it comes to the G spot” (미국 영어). New Scientist.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Zaviacic M; Jakubovská V; Belosovic M; Breza J (2000). “Ultrastructure of the normal adult human female prostate gland (Skene's gland)”. 《Anat Embryol (Berl)》 201 (1): 51–61. PMID 10603093.
- ↑ “Do Women Have a Prostate Gland?” (영어).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Bullough, Vern L.; Bullough, Bonnie (2014년 1월 14일). 《Human Sexuality: An Encyclopedia》 (영어). Routledge. ISBN 9781135825096.
- ↑ wonpost. “프랑스 연구진 “여자 사정? 사실은 소변””. 《위키트리》.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Wayback Machine” (PDF). 2005년 8월 27일. 2005년 8월 2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Wimpissinger, Florian; Stifter, Karl; Grin, Wolfgang; Stackl, Walter (2007년 9월). “The Female Prostate Revisited: Perineal Ultrasound and Biochemical Studies of Female Ejaculate”. 《The Journal of Sexual Medicine》 (영어) 4 (5): 1388–1393. doi:10.1111/j.1743-6109.2007.00542.x. ISSN 1743-6095.
- ↑ “The Skene’s Gland”. 《Actforlibraries.org》 (미국 영어).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Bigger is better when it comes to the G spot”. 《New Scientist》 (미국 영어).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Bigger is better when it comes to the G spot”. 《New Scientist》 (미국 영어). 2018년 10월 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이 글은 인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