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비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비장
사람의 비장은 복강 상부 왼쪽에, 뒤에 위치한다.
정보
기관계면역계 (림프계)
식별자
라틴어splen, lien
MeSHD013154
TA98A13.2.01.001
TA25159
FMA7196

비장(脾臟, 영어: spleen) 또는 지라복강 왼쪽 뒷부분의 횡격막 바로 밑에 있는, 무게 약 100g 정도의 기관이다. 오래된 적혈구를 제거하고, 림프구를 새로 만드는 등 면역계에 속한 업무를 수행한다.[1]

비장의 백비수에서는 항체를 생성하는 림프구가 발달하며, 항체로 덮인 세균이나 세포를 제거하는 단핵구도 존재한다. 이 단핵구들은 손상된 조직으로 가는 중에 수지상 세포대식세포로 분화한다.[2][3][4] 비장 결손은 감염에 더욱 취약하게 만들며, 이러한 기능으로 인해 거대한 림프절에 비유되기도 한다.[5]

해부학

[편집]

비장은 가로막 바로 밑에, 9~11번 갈비뼈 밑에 위치한다.

복강동맥의 가지인 지라동맥이 비장에 혈액을 공급하며, 비장에서 나오는 지라정맥간문맥을 형성하여 으로 들어간다.

지라 내부는 불규칙하게 달리는 결합 조직성 막양(膜樣) 구조(비량:脾梁)에 의해 수많은 비수(脾髓)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비수는 림프구를 많이 볼 수 있는 백(白)비수와 적혈구를 많이 볼 수 있는 적(赤)비수로 구별된다.

지라에 들어간 동맥은 비량 속을 가지가 갈라지면서 진행하여 잇달아 가지를 비수로 보낸다. 비수에 들어간 세(細)동맥은 먼저 백비수의 중심을 관통하고, 이어서 펜촉처럼 가지가 갈라진다. 이 동맥에는 모세혈관으로 이행하기 전에 그 벽 주위에 세망 세포가 촘촘하게 달라붙어 있는 구조를 볼 수 있으며, 이를 꼬투리 동맥이라 한다. 이곳을 지나가면 모세혈관으로 이행하는데, 이 모세혈관은 벽을 만드는 내피 세포가 장축 방향으로 길다랗게 나 있어 인접 세포와의 사이에 많은 틈이 있기 때문에 혈액은 적혈구도 세망 조직 속으로 나올 수 있다. 이 같은 구조 때문에 이 모세혈관망을 비동(脾洞)이라 한다. 비동의 혈액은 점차 비량 속의 정맥에 모여 비정맥이 되어 비장에서 나온다.

노후된 혈구 처리 등은 적비수의 세망 세포, 꼬투리 동맥벽의 세포, 비동벽 세포, 식세포 등에 의해 행해지는데, 그 작용은 조금씩 다른 듯하다. 그 밖에 지라는 적혈구를 저장하거나 백혈구를 만드는 작용도 한다.

각주

[편집]
  1. Darling, David. “spleen”. 《www.daviddarling.info》. 
  2. Swirski, FK; Nahrendorf, M; Etzrodt, M; Wildgruber, M; Cortez-Retamozo, V; Panizzi, P; Figueiredo, JL; Kohler, RH; Chudnovskiy, A; Waterman, P; Aikawa, E; Mempel, TR; Libby, P; Weissleder, R; Pittet, MJ (2009). “Identification of splenic reservoir monocytes and their deployment to inflammatory sites”. 《Science》 325 (5940): 612–16. Bibcode:2009Sci...325..612S. doi:10.1126/science.1175202. PMC 2803111. PMID 19644120. 
  3. Jia, T; Pamer, EG (2009). “Immunology. Dispensable but not irrelevant”. 《Science》 325 (5940): 549–50. Bibcode:2009Sci...325..549J. doi:10.1126/science.1178329. PMC 2917045. PMID 19644100. 
  4. "Finally, the Spleen Gets Some Respect" By Natalie Angier, The New York Times, August 3, 2009
  5. Brender, Erin (2005년 11월 23일). Richard M. Glass, 편집. Illustrated by Allison Burke. “Spleen Patient Pag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294 (20): 2660. doi:10.1001/jama.294.20.2660. PMID 16304080. 

참고 자료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