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도
편도 | |
---|---|
정보 | |
식별자 | |
라틴어 | Tonsilla, Tonsillae (pl.) |
TA98 | A05.2.01.011 |
FMA | 9609 |
편도(扁桃, 영어: tonsil)는 기관 식도와 마주하고 있는 림프 조직의 모임이다. 편도선(扁桃腺)이라고도 한다.
편도선은 공기 소화관으로 향하는 림프 기관으로, 발다이어 편도고리로 알려져 있으며 아데노이드 편도선, 두 개의 세뇨관 편도선, 두 개의 구개선 편도선, 그리고 언어 편도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기관들은 면역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한 없이 사용되는 경우, 이 용어는 특히 구개 편도선을 의미하며, 이는 인간 목 뒤의 양쪽에 위치한 두 개의 림프 기관이다.
구조
[편집]인간은 인두 편도선, 두 개의 난관 편도선, 두 개의 구개 편도선 및 설측 편도선의 네 가지 유형의 편도선을 가지고 태어난다.[1]
유형 | 상피 조직 | Capsule | 편도음와 | 위치 |
---|---|---|---|---|
아데노이드("인두편도"라고도 함) | 유사중층원주상피 (호흡상피) | 캡슐화가 불완전함 | 작은 접힘, 때로는 항문음와로 표현되기도 함[2] | 인두지붕 |
이관편도 | 섬모가중층원주(호흡기상피) | 인두지붕
| ||
구개편도 | 중층편평상피 | 캡슐화가 불완전함 | 길고 가지가 존재함[3] | 구개설사이의 구인두 측면 및 구개인두 아치 |
설편도 | 비각화 중층편평상피 | 캡슐화가 불완전함 | 길고 가지가 존재하지 않음[3][4] | 말단 설커스(혀) 뒤 |
기능
[편집]면역성 조직들은 흡수되거나 흡입되는 외부 병원체들에 대한 면역계의 첫 방어선이다. 편도는 표면에 M 세포라 불리는 특수한 항원 포착 세포가 있어서 병원체들이 만들어내는 항원들을 흡수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M 세포들은 편도 안의 기반이 되는 B 세포와 T 세포들에게 항원의 존재와 면역 반응이 자극된다는 것을 알린다.[5] B 세포들은 편도 안의 배중심(germinal centre)에서 활성화되어 빠르게 확산된다. 이러한 배중심은 B 기억 세포들이 만들어지고 분비형 항체가 만들어지는 장소이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편도는 T세포를 생성한다는 증거가 있으며, 가슴샘의 방식과 비슷한 면은 있지만 차이가 있다.[6]
의학적 중요성
[편집]편도는 과형성이나 염증으로 인해 크기가 커질 수 있으며 편도절제술을 통해 수술적 제거가 필요할 수 있다. 이는 무언가를 삼킬 때 기도에 방해가 되거나 무언가 간섭이 일어날 때, 환자가 재발성 편도염이 자주 발생할 때 인지할 수 있다.
같이 보기
[편집]- 편도염
- 편도결석
- 발다이어 편도 고리(편도환)
각주
[편집]- ↑ “Definitive pharynx; Thyroid; Middle ear; Tonsils; Thymus”. 《www.embryology.ch》. 2010년 11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0월 15일에 확인함.
- ↑ Fagö-Olsen H, Dines LM, Sørensen CH, Jensen A (2019년 2월 12일). “The Adenoids but Not the Palatine Tonsils Serve as a Reservoir for Bacteria Associated with Secretory Otitis Media in Small Children”. 《mSystems》 4 (1). doi:10.1128/mSystems.00169-18. PMC 6372837. PMID 30801022.
- ↑ 가 나 “The Lymphatic System”. 《act.downstate.edu》. 2017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월 29일에 확인함.
- ↑ Shahid S. “Tonsils”. 《Ken Hub》 (영어). 2023년 1월 17일에 확인함.
- ↑ Kato A et al, B-lymphocyte lineage cells and the respiratory system,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Volume 131, pages 933-957, 2013
- ↑ “Tonsils Make T-Cells, Too, Ohio State Study Shows”. 《Ohio State University》. Ohio State University, Comprehensive Cancer Center. 2012년 3월 4일. 2014년 3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2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편도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이 글은 해부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