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트린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가스트린(gastrin)은 위에서 분비되는 위장관 호르몬으로 위산 분비, 이자액 생산을 유도하고 위장, 소장, 대장의 움직임도 촉진한다. 가스트린과 콜레시스토키닌을 묶어 가스트린 군 위장관 호르몬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가스트린 군 위장관 호르몬은 위벽세포에 분포하는 CCKB수용기에 붙어 이들을 활성화 시킨다. 가스트린이 분비되는 세포를 G세포라고 부른다. 1905년 영국의 생리학자인 존 시드니 에드킨스(John Sydney Edkins)가 처음 제안했으며 30년 후 처음으로 순수한 추출물이 동정되었다.[1]
생리학[편집]
유전[편집]
17번 염색체에 존재하는 GAS 유전자에 의해 합성된다.[2]
합성[편집]
이들은 34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가스트린-34(big gastrin)로 분비되어 분비된 후 분해되어 14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가스트린-14(minigastrin)가 된다.이 상태에서 활성이 가장 높다. 이외에도 가스트린-17(little gastrin)으로도 존재한다.
분비[편집]
가스트린은 다음과 같은 경우 분비가 유도된다.
또한 다음과 같은 경우 분비가 억제된다.
- 산 증가에 따른 위 내부의 pH 감소 (음성피드백)
- 세크레틴, 혈관 활성 창자 펩타이드(VIP;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포도당 의존성 인슐린분비자극펩타이드 (GIP; Glucose-dependent insulinotropic peptide;Gastroinhibitory peptide), 글루카곤, 칼시토닌, 소마토스타틴 등 호르몬의 작용
각주[편집]
- ↑ Silverthorn, Dee Unglaub, Ph.D., Ober, William C., Garrison, Claire W., Silverthorn, Andrew C., M.D. , 《Human Physiology》, Addison-Wesley, 2008. 03. 01
- ↑ Lund T, Geurts van Kessel AH, Haun S, Dixon JE (1986). “The genes for human gastrin and cholecystokinin are located on different chromosomes”. 《Hum. Genet.》 73 (1): 77–80. doi:10.1007/BF00292669. PMID 3011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