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한국어 위키백과 이정표
보이기
본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의 각종 기록에 대해 모으는 기록집입니다.
본 이정표의 문서 수에는 막다른 문서와 넘겨주기 문서는 제외됩니다.
문서 개수
[편집]최초의 문서
[편집]한국어 위키백과에서 가장 처음으로 생성된 문서는 2002년 10월 11일 5시 9분에 생성된 '대문'입니다. 지금은 이름공간 '위키백과'가 달려 위키백과:대문이라는 이름으로 존재하지만, 초창기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이를 구분하지 않았기에 첫 페이지를 '대문'이라는 표제어에 두었습니다.
일반 문서로 한정했을 때 최초의 문서는 2002년 10월 12일 오후 3시 34분에 생성된 지미 카터입니다. 그로부터 10분 후인 오후 3시 44분에는 최초의 토론 공간인 '토론:대문'이 생성되었습니다. 현재는 위키백과토론:대문/보존문서1라는 공간에 남아 있으나, 2004년경에 한차례 삭제되었기에 역사 기록에서만 확인이 가능합니다.
현재까지 남아있는 자료 중에서 가장 오래된 파일 자료는 파일:Olympia-ko.jpg로, 2004년 8월 3일에 업로드되었습니다.
문서 수 돌파
[편집]2002년 10월에 생성된 지미 카터 이래,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문서수가 만 단위씩 돌파할 때마다 해당 문서들을 확인하는 작업을 거쳤습니다. 다음은 그 목록입니다.
문서 번호 | 생성 일자 | 문서 | 관련 토론 |
---|---|---|---|
1 | 2002년 10월 12일 | 지미 카터 | "한국어 위키백과의 첫 문서" |
10000 | 2005년 6월 5일 | 양자장론[1] | "1만번째 기사를 자축하며" |
20000 | 2006년 2월 12일 | 마다가스카르의 행정 구역[2] | "2만 페이지 돌파." (논란 있음) |
30000 | 2006년 12월 14일 | 카메이 에리[3] | "한국어 위키백과 3만번째 글 돌파, 축하 로고 제안" |
40000 | 2007년 8월 2일 | 텍스처 매핑[4] | "4만번째 글" |
50000 | 2008년 1월 4일 | 바브리 | "5만번째 기사 탄생" |
60000 | 2008년 4월 24일 | 고기압 | "6만번째 글 탄생" |
70000 | 2008년 8월 7일 | 영동대교 | "7만개 돌파!" |
80000 | 2008년 10월 20일 | 큰곰자리 운동성단[5] | "8만 문서 돌파!" |
90000 | 2009년 2월 25일 | 당연상인 | "9만번째 문서" |
100000 | 2009년 6월 4일 | 액세스권 | "10만 돌파했습니다!", 언론 보도 |
110000 | 2009년 8월 26일 | 청춘 | ("11만 로고")[6] |
120000 | 2009년 10월 18일 | 에이드리언 셰퍼드 | -[7] |
130000 | 2010년 3월 13일 | 야하타히가시구[8] | "문서 13만개" |
140000 | 2010년 7월 4일 | 새뮤얼 베어먼 | "139,886개의 문서..." |
150000 | 2010년 12월 15일 | 김지언 (1979년)[9] | "(경) 15만 문서 돌파 (축)" |
160000 | 2011년 4월 13일 | 쿠웨이트의 주[10] | -[7] |
170000 | 2011년 8월 9일 | 2013년 FIFA 비치사커 월드컵 | "문서수 17만 돌파" |
180000 | 2011년 11월 3일 | 2009년 헝가리 그랑프리[11] | "18만 달성" |
190000 | 2012년 2월 19일 | 근본적 위반 | "한국어 위키백과의 문서 수가 19만 개가 다 되어갑니다."[12] |
200000 | 2012년 5월 19일 | 보비 탬블링[13] | "20만 문서 돌파를 축하합니다!" |
210000 | 2012년 8월 7일 | 기능 키 | "21만 번째 문서 돌파!!" |
220000 | 2012년 11월 4일 | 퀵 (영화) | "22만번째 문서" |
230000 | 2013년 2월 7일 | 젬베 | "23만번째 문서" |
240000 | 2013년 5월 30일 | 앙트레 | "24만번째 문서가 탄생했습니다." |
250000 | 2013년 10월 3일 | 회피 | "25만 달성" |
260000 | 2014년 1월 1일 | 쩡롄쑹 | "26만 문서" |
270000 | 2014년 3월 14일 | 18-크라운-6 | "27만 고지를 앞두고 있군요" |
280000 | 2014년 6월 17일 | 지방도 제912호선 | "28만번째 문서" |
290000 | 2014년 9월 28일 | 남춘천여자중학교 | "한국어 위키백과 29만 개 문서 돌파" |
300000 | 2015년 1월 5일 | Rojo -Tierra- | "30만 문서" |
310000 | 2015년 4월 5일 | 포항 보경사 서운암 부도군 | "한국어 위키백과 31만 개 문서 돌파" |
320000 | 2015년 6월 4일 | 산타로사데코판 | "한국어 위키백과 32만 개 문서 돌파" |
330000 | 2015년 10월 6일 | 오선초등학교 | "한국어 위키백과 33만 개 문서 돌파" |
340000 | 2016년 1월 28일 | 뉴스 20[14] | "한국어 위키백과 34만 개 문서 돌파" |
350000 | 2016년 6월 3일 | 1809년 4월 14일 일식 | "한국어 위키백과 35만 개 문서 돌파" |
360000 | 2016년 9월 23일 | 통합임무부대[15] | "한국어 위키백과 36만 개 문서 돌파" |
370000 | 2017년 1월 20일 | 동프로이센 대관구 | "한국어 위키백과 37만 개 문서 돌파" |
380000 | 2017년 5월 2일 | 핀란드 해방함 일마리넨 | "한국어 위키백과가 38만 문서를 돌파했습니다." |
390000 | 2017년 7월 27일 | 2015년 네팔 봉쇄 사태 | "39만 문서" |
400000 | 2017년 10월 22일 | 충청남도 동물위생시험소 | "40만 문서" |
410000 | 2018년 2월 24일? | "한국어 위키백과의 41만 번째 문서, 42만 번째 문서" | |
420000 | 2018년 6월 25일 | 욕야카르타 원칙 | "42만 문서" (논란 있음) |
430000 | 2018년 10월 18일 | ||
440000 | 2019년 2월 1일 | ||
450000 | 2019년 3월 23일? | "45만 문서 달성" | |
460000 | 2019년 6월 28일 | ||
470000 | 2019년 9월 23일 | 헬스 커뮤니케이션 | "47 만 문서" |
480000 | 2020년 1월 11일 | 4인의 실력자 | "한국어 위키백과 본문 문서 개수가 48만 개를 돌파했습니다!" |
490000 | 2020년 3월 31일 | 대전화상주심경 | "49만 문서" |
500000 | 2020년 6월 15일 | 규장전운 | "50만 문서" |
510000 | 2020년 7월 12일 | 조이스 홀든 | "51만 문서?" |
520000 | 2020년 9월 12일 | 케미 사미어 | "520,000번째 문서" |
530000 | 2021년 1월 6일 | 세타가야 일가족 살인 사건 | "문서 53만개" |
540000 | 2021년 5월 23일? | "벌써 문서 수 54만 개를 넘겼네요..." | |
550000 | 2021년 9월 5일 | 잔마르코 | "55만번째 문서" |
560000 | 2021년 11월 9일 | "56만번째 문서" | |
570000 | 2021년 12월 24일 | 삼투물질 | "57만 문서" |
580000 | 2022년 3월 6일 | 5 Years | "58만 문서" |
590000 | 2022년 5월 25일 | 선택 (1996년 영화) | "59만 문서" |
600000 | 2022년 8월 16일 | 남쪽물고기자리 베타[16] | "60만 번째 문서" "문서 존치 여부" |
610000 | 2022년 10월 15일 | 존더코만도 사진 | "610,000th article" |
620000 | 2023년 1월 10일 | 최지수 (배우) | "벌써 62만!" |
630000 | 2023년 3월 31일 | 신트리공원 | "벌써 63만!" |
640000 | 2023년 7월 13일 | 베리티 램버트 | |
650000 | 2023년 11월 15일 | 피에르 워메 | 2023-11-15 이정표. 한국어 위키백과 65만 번째 문서 '피에르 워메' |
660000 | 2024년 2월 20일 | 홍광표 | "66만번째 문서" |
670000 | 2024년 5월 23일 | 샤 자한 모스크 | "문서 개수가 67만개를 달성했네요" |
680000 | 2024년 8월 5일 | 옹플뢰르의 눈길을 지나는 마차 | 68만호 문서는 무엇인가? |
690000 | 2024년 11월 13일 | 모델 압축 |
가장 길고 많은...
[편집]기준일은 2024년 6월 15일입니다.
- 가장 긴 문서: 오위백법 (1,680,407 바이트)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여론 조사 (862,858 바이트) - 한국의 지진 목록 (756,138 바이트)
- 가장 많이 편집된 문서: 개그콘서트 (판 17,699개) - KBS 2TV (판 11,945개) - 지식채널e의 에피소드 목록 (판 11,576개)
- 가장 많이 쓰이는 틀: 모듈:Arguments (765,136개) - 틀:개행 금지 (744,741개) - 모듈:Yesno (721,062개)
- 가장 많이 분류된 문서: 교토 의정서 (201개) -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 기본 협약 (198개) - 생물 다양성 협약 (분류 197개)
각주
[편집]- ↑ 돌파 당시 양자 마당 이론이라는 이름으로 등재.
- ↑ 정확하지 않다. 돌파 당시의 토론에서는 2만번째 기사가 정확히 무엇인지 기록하지 않았다. 이 문제는 2년 후인 2008년 1월에 다시 제기되면서 재조명되었고, 마다가스카르의 행정 구역일 것이라는 추측으로 확정되었다.
- ↑ 돌파 당시 가메이 에리라는 이름으로 등재. 더불어 최초의 축하 로고가 내걸린 문서이기도 했다.
- ↑ 돌파 당시 텍스쳐 매핑이라는 이름으로 등재.
- ↑ 돌파 당시 큰곰자리 운동성군이라는 이름으로 등재.
- ↑ 해당 문서는 2009년 8월 26일에 생성되었다. 그러나 십만 문서를 넘긴 후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이었기에 별도의 축하 토론은 보이지 않는다.
- ↑ 가 나 별도의 축하 토론은 없었다.
- ↑ 돌파 당시 야하타히가시 구라는 이름으로 등재.
- ↑ 돌파 당시 김지언이라는 이름으로 등재.
- ↑ 돌파 당시 쿠웨이트의 행정 구역이라는 이름으로 등재.
- ↑ 돌파 당시 2009년 포뮬러 원 헝가리 그랑프리라는 이름으로 등재.
- ↑ 당시 거론된 문서는 구름 (희극)이었으나 문서수 돌파 통계에 기록될 때에는 '근본적 위반'으로 게재되었다.
- ↑ 돌파 당시 바비 탬블링이라는 이름으로 등재.
- ↑ 돌파 당시 연합뉴스 20이라는 이름으로 등재.
- ↑ 돌파 당시 통일 기동부대라는 이름으로 등재.
- ↑ 기록 돌파 당시 60만 번째 문서는 광기의 밍크스였으나, 해당 문서가 토론을 거쳐 넘겨주기 처리된 관계로 남쪽물고기자리 베타로 정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