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코비 다양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수기하학에서 야코비 다양체(Jacobi多樣體, 영어: Jacobian variety)는 대수 곡선 위에 존재하는 0차 선다발들의 모듈라이 공간이다. 피카르 군에서 단위원을 포함한 연결 성분이며, 이에 따라 주극성화 아벨 다양체를 이룬다.

카를 구스타프 야코프 야코비의 이름을 땄다.

정의[편집]

복소수체에 대한 완비 비특이 대수 곡선 (리만 곡면)의 경우, 야코비 다양체는 다음과 같이 작도할 수 있다. 이 작도는 닐스 헨리크 아벨이 정의하였고, 카를 구스타프 야코프 야코비가 이 작도가 0차 선다발모듈라이 공간과 동형임을 보였다. 이를 아벨-야코비 정리(영어: Abel–Jacobi theorem)라고 한다.

곡면 종수인 복소수 대수 곡선 를 생각하자. 그 호지 수들은

1
1

이다. 즉, 위상수학적으로

이다. (리만 곡면의 경우, 호몰로지에 꼬임 부분군이 없다.) 또한,

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정수 계수 코호몰로지가 꼬임 부분군을 갖지 않으므로, 자연스럽게 이다. 이는 (1,0)차 복소수 미분 형식을 실수 1차원 부분 다양체에 대하여 적분하는 것에 해당한다.

이 경우, 야코비 다양체 차원 복소수 아벨 다양체

이다.

주극성화[편집]

야코비 다양체는 자연스럽게 주극성화 아벨 다양체의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복소수 벡터 공간 에는 교차 형식(intersection form)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반쌍선형 심플렉틱 형식이 존재한다.

이 형식이 비퇴화이므로, 그 역 위의 반쌍선형형 심플렉틱 형식이다. 또한, 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 적절한 기저 에서

로 놓을 수 있다. 즉, 위의 켈러 형식이며, 동형

을 정의한다. 따라서, 에 의하여 주극성화 아벨 다양체를 이룬다.

성질[편집]

야코비 다양체는 차수 0의 정칙 선다발들의 모듈라이 공간이다. 여기서 차수란 기하학적으로 천 특성류의 적분이며, 차수가 0인 것은 그 천 접속의 곡률이 0임을 뜻한다. 이러한 선다발들은 텐서곱에 따라서 아벨 군을 이루는데, 야코비 다양체의 (아벨 다양체로서의) 군 구조는 이와 일치한다.

모든 차수의 정칙 선다발들의 모듈라이 공간피카르 다양체라고 하며, 야코비 다양체는 그 속의, 항등원을 포함하는 연결 성분이다.

아벨-야코비 사상[편집]

리만 곡면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의 0차 인자의 공간 에서 야코비 다양체로 가는 다음과 같은 사상이 존재한다.

여기서 를 끝점으로 갖는 속의 임의의 곡선

에 대한 1차 미분 형식 의 적분이다. 이는 물론 사용한 곡선 호모토피류에 의존하지만, 서로 다른 곡선을 사용하였을 때의 차는 에 속한다. 즉, 이는 야코비 다양체 속의의 점을 잘 정의한다.

이 사상은 전사 함수이자 두 아벨 군 사이의 군 준동형이며, 그 주인자의 부분군 이다. 즉, 다음과 같은, 아벨 군짧은 완전열이 존재한다.

0차 정칙 선다발인자류 에 의하여 분류되므로, 이는 0차 선다발의 모듈라이 공간과 야코비 다양체 사이의 동형을 정의한다.

특히, 인 경우를 생각하자. 이 경우, 임의의 에 대하여,

를 생각하자. 이는 대칭군 의 작용에 대하여 불변이므로, 이는 짜임새 공간 위에 정의된다. 이 사상

은 항상 전사 함수이며, 거의 어디서나 단사 함수이다. 즉, 이 사상이 단사 함수가 아닌 점들은 양의 여차원의 부분 다양체를 이룬다.

[편집]

종수 1의 리만 곡면 의 야코비 다양체는 원래 리만 곡면과 동형이며, 그 동형 사상은 아벨-야코비 사상 에 의하여 주어진다.

종수 0의 리만 곡면(즉, 리만 구)의 야코비 다양헤는 0차원 아벨 다양체이므로 한원소 공간이다. 다시 말해, 리만 구 위에서, 모든 0차 인자주인자이며, 유일한 0차 정칙 선다발은 자명하다. (천 접속의 곡률이 0이므로, 이러한 정칙 선다발은 모노드로미로 정의되는데, 리만 구는 단일 연결 공간이므로 모노드로미가 존재하지 않는다.)

참고 문헌[편집]

외부 링크[편집]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