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삼진법(三進法, 영어: ternary, base3)은 3을 밑으로 하는 기수법이다. 0, 1, 2를 사용하는 삼진법 외에도 -1, 0, 1를 사용하는 균형 3진법도 널리 쓰인다. 난해한 프로그래밍 언어인 말레볼제에서는 삼진법 가상 머신이 사용된다.
기수법[편집]
삼진 곱셈표
× |
1 |
2 |
10 |
11 |
12 |
20 |
21 |
22 |
100
|
1 |
1 |
2 |
10 |
11 |
12 |
20 |
21 |
22 |
100
|
2 |
2 |
11 |
20 |
22 |
101 |
110 |
112 |
121 |
200
|
10 |
10 |
20 |
100 |
110 |
120 |
200 |
210 |
220 |
1000
|
11 |
11 |
22 |
110 |
121 |
202 |
220 |
1001 |
1012 |
1100
|
12 |
12 |
101 |
120 |
202 |
221 |
1010 |
1022 |
1111 |
1200
|
20 |
20 |
110 |
200 |
220 |
1010 |
1100 |
1120 |
1210 |
2000
|
21 |
21 |
112 |
210 |
1001 |
1022 |
1120 |
1211 |
2002 |
2100
|
22 |
22 |
121 |
220 |
1012 |
1111 |
1210 |
2002 |
2101 |
2200
|
100 |
100 |
200 |
1000 |
1100 |
1200 |
2000 |
2100 |
2200 |
10000
|
1부터 27(십진)까지의 자연수를 이진수, 삼진수, 육진수, 십진수로 나타낸 표
이진수
|
1 |
10 |
11 |
100 |
101 |
110 |
111 |
1000 |
1001
|
삼진수
|
1 |
2 |
10 |
11 |
12 |
20 |
21 |
22 |
100
|
육진수
|
1 |
2 |
3 |
4 |
5 |
10 |
11 |
12 |
13
|
십진수
|
1 |
2 |
3 |
4 |
5 |
6 |
7 |
8 |
9
|
|
이진수
|
1010 |
1011 |
1100 |
1101 |
1110 |
1111 |
10000 |
10001 |
10010
|
삼진수
|
101 |
102 |
110 |
111 |
112 |
120 |
121 |
122 |
200
|
육진수
|
14 |
15 |
20 |
21 |
22 |
23 |
24 |
25 |
30
|
십진수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이진수
|
10011 |
10100 |
10101 |
10110 |
10111 |
11000 |
11001 |
11010 |
11011
|
삼진수
|
201 |
202 |
210 |
211 |
212 |
220 |
221 |
222 |
1000
|
육진수
|
31 |
32 |
33 |
34 |
35 |
40 |
41 |
42 |
43
|
십진수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나누기[편집]
|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