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원대왕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文元大王 | |
---|---|
지위 | |
고려국 추존 국왕 | |
재위 | ? |
대관식 | 문원대왕(文元大王) |
전임 | 광종(光宗) |
후임 | 증통국사(證通國師) |
부왕 | 태조(太祖) |
왕자(王子) 태자(太子) 추존(追尊) | |
이름 | |
휘 | 왕정(王貞) |
별호 | 없음 |
연호 | 없음 |
묘호 | 문원대왕(文元大王) |
시호 | 문원(文元) |
신상정보 | |
출생일 | 생년 미상(生年 未詳) |
출생지 | ? |
사망일 | 몰년 미상(沒年 未詳) |
사망지 | ? |
매장지 | ? |
왕조 | 고려(高麗) |
가문 | 개성(開城) |
부친 | 태조(太祖) |
모친 | 신명순성왕후(神明順成王后) |
배우자 | 문혜왕후(文惠王后) |
자녀 | 천추전군(千秋殿君) 아지군(阿志君) 헌의왕후(獻懿王后) |
종교 | 불교(佛敎) |
문원대왕(文元大王, 생몰년 미상)은 고려 초기의 왕자, 왕족이다. 태조 왕건과 신명순성왕후 유씨의 아들로, 이름은 왕정(王貞)이다. 본관은 개성(開城).[1] 광종의 아우이며, 경종의 장인이다.
생애[편집]
왕건과 신명순성왕후 유씨 소생의 아들로 정종과 광종의 친아우이다. 이복 누이인 문혜왕후 유씨와 혼인하여 2남 1녀를 두었는데, 두 아들은 천추전군과 아지군이다.[2] 그에게 어떤 경로로 왕의 칭호가 주어졌는지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 다만, 그의 딸이 경종의 두번째 비(헌의왕후)가 되면서 경종이 장인을 추존하면서 묘호를 두지 않고 시호만 올린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딸은 헌의왕후로, 문원대왕의 친조카인 경종의 두 번째 왕비이다.[2]
이름은 정(貞), 어머니는 신명순성왕후 유씨(神明王后劉氏)이며, 태자 태, 정종 요, 광종 소의 친동생이다. 그의 자세한 생애와 행적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이복남매인 문혜왕후 유씨(文惠王后柳氏)와 혼인하여 2남 1녀를 두었는데, 두 아들은 천추전군(千秋殿君)과 아지군(阿志君)이며, 딸은 경종의 두번째 비가 된 헌의왕후 유씨(獻懿王后劉氏)이다. 사망년대와 사인 역시 미상이다.
가계[편집]
문원대왕이 등장한 작품[편집]
참고문헌[편집]
- 고려사(高麗史)
각주[편집]
- ↑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2015년 6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KBS 대하드라마 '제국의 아침'”. 2007년 8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23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한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한국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