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종로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Kimjae20 (토론 | 기여)
Chugun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지도=Jongno-gu SEOUL.PNG
|지도=Jongno-gu SEOUL.PNG
|면적=23.9
|면적=23.9
|총인구=155,575
|세대=74,660
|총인구_조사연도=2010년<ref>[http://kosis.kr/abroad/abroad_01List.jsp?parentId=A 대한민국 국가통계포털 > 인구 · 가구 > 총조사인구(2010) > 연령 및 성별 인구 - 읍면동, 성별 외국인 - 시군구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2011년]] [[6월 2일]] 확인.</ref>
|세대_조사연도=2008
|총인구=179,754
|총인구_조사연도=2008
|행정동=18
|행정동=18
|법정동=87
|법정동=87

2011년 6월 7일 (화) 10:05 판

종로구
종로구의 위치
종로구의 위치
행정
국가대한민국
법정동87
청사 소재지삼봉로 43 (수송동 146-2)
단체장김영종
지리
면적23.9km2
인구155,575명 (2010년[1]년)
상징
나무은행나무
철쭉꽃
까치
지역 부호
웹사이트http://jongno.seoul.go.kr/

종로구(鍾路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북부에 있는 자치구이다.

지리

종로구의 지리적 형세는 예로부터 명당으로 주목되었다. 인왕산·백악산·낙산으로 이어지는 높고 낮은 산악과 구릉이 천연의 담장을 이루고 있고, 남쪽에는 큰 개천이 울타리 역할을 하며, 그 안에 황토마루·솔고개·배고개·붉은재·박석고개·마두산 등 작은 둔덕들이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평탄한 분지를 이루고 있었다. [2]

역사

1940년 전후 종로3가쪽에서 본 2가 모습.
  • 1943년 6월 10일 경기도 경성부 종로구를 설치하였다. [3]
    • 관할 구역: 청운정, 신교정, 궁정정, 효자정, 창성정, 통인정, 누상정, 누하정, 옥인정, 사직정, 체부정, 필운정, 내자정, 통의정, 적선정, 당주정, 도렴정, 내수정, 서대문정1정목, 서대문정 2정목, 광화문통,
  • 1946년 10월 1일 기존의 ~정(町)의 행정구역을 ~동(洞)으로 일괄 변경하였다. [4]
  • 1947년 동회 제도 실시

종로1가+서린=종로1가서린동회, 종로2가+관철=종로2가관철동회, 익선+경운=익선경운동회, 옥인+통인=옥인동통인동회,

  • 1949년 서울시→서울특별시 개칭, 경무동회→궁정동회 개칭, 익선경운동회→익선, 경운동회, 종로1가서린동회→종로1가, 서린동회, 옥인통인동회→옥인, 통인동회, 서린동회 종로2가관철동회→종로2가, 관철동회 분리.
  • 1950년 경무대동회→경무동회 개칭, 종로1가+서린+청진=광교동회, 종로2가+관철=종각동회, 종로3가+관수+장사=비파동회, 종로4가+예지+인의=이현동회, 종로1가+서린=종로1가서린동회,
  • 1955년 행정동 실시

연지동회+원남동회=통내동, 내자동회+필운동회+체부동회=체부동, 연건동회+효제동회=대학동, 옥인동회+통인동회=인왕동, 세종로1번지+청운동회+궁정동회+신교동회=자하동, 세종로+당주동회+도염동회=중앙동, 누상동회+누하동회=누각동, 창성동회+효자동회=청송동, 통의동회+적선동회=백송동, 필운동회+체부동회=매동, 내수동회+내자동회=종교동, 신문로1가+2가=신문동, 익선동회+경운동회=운현동, 권농동회+운니동회+와룡동회=돈화문동, 사간동회+송현동회+중학동회+수송동회=수진동, 안국동회+소격동회+화동회=별궁동, 팔판동회+삼청동회=태화동, 낙원동회+돈의동회=탑동, 견지동회+관훈동회=전훈동, 공평동회+인사동회=대사동, 동숭동회+이화동회=낙산동, 삼청동35번지+가회동회+재동회=백록동, 연건동회+효제동회=대학동, 동대문구 창신4동→3동 합속

  • 1970년 원서동→계동, 이현, 통내동→종로4가동, 대학동 관할 효제동→종로5가 합속, 백록동→가회동, 누각동→누상누하동, 신문동→신문로동, 인왕동→옥인동, 구평동→평창동, 태화동→삼청동, 중앙동→세종로(세종로, 내수동, 도염동, 당주동), 자하동→청운동 개칭, 낙산동→동숭, 이화동(대학동 관할 연건동 내속) 분동, 수진동 관할 사간동+송현동+별궁동=안국동, 수진동 관할 중학동+수송동+광교동=청진동, 청송+백송=효자동, 태화=별궁=안국동, 탑동 관할 낙원+종각+대사+전훈=낙원동, 비파+대묘+탑동 관할 돈의동=종로3가동, 돈화문+운현=권농동, 혜화, 명륜1가→명륜2,4가동 합속, 삼청동35번지+가회+재=백록동, 명륜1가동→혜화동 예속, 명륜2가+4가=명륜2,4가동
  • 1975년 10월 1일 서대문구 중 평창동 등과 동대문구 중 창신동 등이 종로구로 편입되었다. [5]
개편 전 개편 후
서대문구 평창동, 구기동, 부암동, 홍지동, 신영동, 행촌동, 송월동, 홍파동, 평동, 교남동, 교북동, 현저동, 충정로1가 종로구 평창동, 구기동, 부암동, 홍지동, 신영동, 행촌동, 송월동, 홍파동, 평동, 교남동, 교북동, 현저동, 충정로1가
동대문구 창신동, 숭인동신설동 일부 종로구 창신동, 숭인동
  • 1975년 명륜2,4가동→혜화동, 계동→가회동(삼청동 35번지→삼청동 이속) 예속, 동대문구 창신, 숭인동(신설동 일부, 서대문구 현저동 일부 내속), 서대문구 부암동(홍지동, 신영동 내속), 평창동(구기동 내속), 교남동(교북동, 송월동, 평동, 행촌동, 홍파동 내속), 무악동 내속, 매동+종교동=체부동, 청진동+낙원동 관할 공평동, 관훈동, 견지동=종로1가동, 낙원동 관할 관철동, 인사동, 낙원동, 권농동 관할 운니동, 와룡동, 익선동, 경운동, 권농동→종로2가동 합속, 종로5가+6가=종로5,6가동, 통인동→효자동, 신문로동→세종로동, 체부동→사직동, 안국동→삼청동, 명륜2.4가동→혜화동 합속, 숭인동→1, 2동 분동
  • 1977년 효자동(누상동 내속) 관할 통의동, 적선동→사직동, 동숭동→이화동 예속. 종로1가+2가=1,2가동, 종로4가+5,6가=종로4,5,6가동
  • 1980년 7월 1일 종로3가+종로4,5,6가→종로3,4가동, 5,6가동(충신동 합속)

. [6] (21행정동)

  • 1980년 명륜3가동 관할 와룡동 1번지→종로1,2가동 관할 와룡동 합속
  • 1998년 12월 1일 세종로동을 사직동에, 종로1·2가동과 종로3·4가동을 종로1·2·3·4가동으로 합동하였다. [7] (19행정동)
  • 2008년 사직동 관할 세종로 일부→종로1,2,3,4가동 합속
  • 2008년 11월 1일 청운동과 효자동을 청운효자동으로 합동하였다. [8] (18행정동)

행정 구역

행정동 법정동 설명
청운효자동 청운동(淸雲洞) 청운동은 이곳에 원래 있던 청풍계(淸風溪)와 백운동(白雲洞)의 한 글자씩 따온 데서 유래된다.
신교동(新橋洞) 신교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신교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궁정동(宮井洞) 궁정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궁정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효자동(孝子洞) 이곳에 임천 조씨(林川趙氏)의 쌍효자가 나서 유명하였기 때문에 쌍효잣골, 효잣골로 불러온 데에서 자연부락 효곡(孝谷)이라 불리었다. 1914년 더운 우물골 혹은 온정동(溫井洞), 동곡(東谷) 혹은 동골, 육상궁동 혹은 육상굴, 장동(壯洞) 혹은 창의동(彰義洞) 혹은 장의동(壯義洞), 흰갯골 혹은 백구동(白拘洞)을 합쳐 효자동이라 하였다. 궁정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궁정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창성동(昌成洞) 창성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창성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통인동(通仁洞) 통인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통인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누상동(樓上洞) 누상동은 1914년 경성부의 동명을 새로 제정 실시함에 따라 누각동(樓閣洞)의 위치한 북부 순화방의 누각동의 일부를 누상동이라 하였다. 누상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누상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누하동(樓下洞) 누하동은 남척동(南隻洞), 송목동(松木洞), 장성동(長成洞), 오거리(五巨里), 유목동(柳木洞), 누각동 일부를 합쳐 누각동 아랫쪽에 있으므로 동명이 유래되었다. 누하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누하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옥인동(玉仁洞) 옥인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옥인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사직동 사직동(社稷洞) 사직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사직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체부동(體府洞) 체부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체부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필운동(弼雲洞) 필운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필운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내자동(內資洞) 내자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내자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통의동(通義洞) 통의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통의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적선동(積善洞) 북쪽으로는 통의동, 동쪽은 세종로, 남쪽으로는 도렴동, 서쪽으로는 내자동과 접하고 있다.
도렴동(都染洞) 도렴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도렴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당주동(唐珠洞) 당주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당주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내수동(內需洞) 내수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내수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신문로1가(新門路) 서대문정1정목, 2정목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신문로1가, 2가로 이름이 바뀌었다.[4]
신문로2가
세종로
삼청동 삼청동(三淸洞)
팔판동(八判洞)
안국동(安國洞)
소격동(昭格洞)
화동(花洞)
사간동(司諫洞)
송현동(松峴洞)
부암동 부암동(付岩洞) 북쪽으로는 신영동과 홍지동에 접해있으며, 동쪽으로는 삼청동, 남쪽은 청운동과 옥인동, 그리고 서쪽으로는 홍제동과 접하고 있다. 행정동 부암동의 2001년 현재 면적은 2.27㎢, 인구 1만 3300명이다.
신영동(新營洞) 북쪽은 구기동, 동쪽은 평창동과 접해있고, 남쪽으로는 부암동, 서쪽으로는 홍지동과 접해있다.
홍지동(弘智洞) 홍지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홍지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1975년 10월 1일 종로구 관할이 되었다. [5]
평창동 평창동(平倉洞) 1949년 8월 13일 서대문구 (은평출장소에서 관할)에 편입되었다. [9] 1975년 10월 1일 종로구 관할이 되었다. [5]
구기동(舊基洞) 북쪽으로는 진관외동, 동쪽으로는 평창동, 남쪽으로는 신영동과 홍지동, 서쪽으로는 홍은동과 불광동과 접해 있다.
무악동 무악동(毋岳洞)
교남동 교남동(橋南洞) 교남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교남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1975년 10월 1일 종로구 관할이 되었다. [5]
평동(平洞) 평동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평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1975년 10월 1일 종로구 관할이 되었다. [5]
송월동(松月洞) 송월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송월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1975년 10월 1일 종로구 관할이 되었다. [5]
홍파동(紅把洞) 홍파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홍파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1975년 10월 1일 종로구 관할이 되었다. [5]
교북동(橋北洞) 교북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교북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1975년 10월 1일 종로구 관할이 되었다. [5]
행촌동(杏村洞) 은행정(銀杏町)은 1943년 6월 신설된 서대문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행촌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1975년 10월 1일 종로구 관할이 되었다. [5]
가회동 가회동(嘉會洞) 가회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가회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재동(齋洞) 재동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재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계동(桂洞) 계동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계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원서동(苑西洞) 원서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원서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종로1·2·3·4가동 인사동(仁寺洞) 인사동의 주요 거리는 조선시대에 형성된 길이 0.7㎞의, 너비 12m의 인사동길이 있으며, 서울의 주요 도심로와 연결돼 있고, 청계천, 경복궁 등 주요 관광명소와도 가깝다. 인사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인사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청진동(淸進洞) 청진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청진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서린동(瑞麟洞) 서린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서린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수송동(壽松洞) 수송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수송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중학동(中學洞) 중학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중학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공평동(公平洞) 공평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공평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관훈동(寬勳洞) 관훈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관훈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견지동(堅志洞) 견지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견지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와룡동(臥龍洞) 와룡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와룡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권농동(勸農洞) 권농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권농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운니동(雲泥洞) 운니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운니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익선동(益善洞)
경운동(慶雲洞)
관철동(貫鐵洞)
낙원동(樂園洞) 낙원동(樂園洞)은 1914년 4월 1일 동명 제정에 따라 이전 중부 경행방 교동, 탑동, 어의동, 주동의 각 일부와 정선방의 한동과 관인방의 원동의 일부를 병합하여 시내 중앙의 낙원지라 할 만한 탑골공원이 있으므로 낙원동이라는 동명이 새로 생겨났다.
묘동(廟洞) 수은정(授恩町)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묘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훈정동(薰井洞) 훈정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훈정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봉익동(鳳翼洞) 이름의 유래에 여러 설이 있으나, 조선 초기부터 환관이 많이 살았던 곳이라 왕을 상징하는 봉(鳳)의 날개(翼)에 붙어 살아가는 그들을 가리키는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북으로 권농동, 동으로는 훈정동, 남으로는 종로3가, 서쪽은 묘동으로 둘러싸인 긴 사다리꼴 모양의 지형을 이루고 있다.[10] 봉익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봉익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돈의동(敦義洞) 돈의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돈의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장사동(長沙洞) 장사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장사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관수동(觀水洞) 관수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관수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인의동(仁義洞)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후정동일부(後井洞一部) · 연지동일부(蓮池洞一部) · 등자동(登子洞) · 신기동(新基洞) · 비석동(碑石洞) · 가정동(嘉井洞)은 인의동(仁義洞)이 되었다. [11] 인의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인의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예지동(禮智洞)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중학동(中學洞, 혹은 중부동中部洞) · 효교일부(孝橋一部) · 산간동(山間洞, 혹은 전간동(田間洞) · 하피마동일부(下避馬洞一部) · 상천변동(上川邊洞) · 이현일부(梨峴一部) · 옥방동(玉房洞) · 칠방동(漆房洞) · 석수방동(石手房洞) 등의 각 일부를 통합하여 예지동이 되었으며, [11] 1936년 4월 동명이 일본식 지명인 예지정(禮智町)으로 바뀌었다. 1943년 4월 구제(區制) 실시로 종로구 예지정이 되었다가 1946년 10월 9일 예지동(禮智洞)이 되었다.
원남동(苑南洞)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함춘동일부(含春洞一部)·호동(壺洞)· 연지동일부(蓮池洞一部) · 순라동일부(巡邏洞一部) · 상사동(想思洞) · 감정동(甘井洞) · 승문동(承文洞) · 신민동(新民洞) · 마정동(麻井洞)은 원남동(苑南洞)이 되었다. [11] 원남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원남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종로1가(鍾路) 종로1정목(鍾路一丁目)~ 종로6정목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종로1가~6가로 이름이 바뀌었다.[4]
종로2가
종로3가
종로4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하피마동일부(下避馬洞一部)·묘동(廟洞)·후정동일부(後井洞一部) · 이현일부(梨峴一部) · 효교일부(孝橋一部) · 이교동일부(二橋洞一部)는 종로사정목(鍾路四丁目)이 되었다. [11]
종로5·6가동 종로5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이교동일부(二橋洞一部) · 연지동일부(蓮池洞一部) · 어의동(於義洞) · 하대정동(下大井洞) · 하천변동(下川邊洞) · 상대정동(上大井洞)은 종로오정목(鍾路五丁目)이 되었다. [11]
종로6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간교동일부(杆橋洞一部) · 양사동(養士洞) · 동학동(東學洞) · 도촌(島村)은 종로육정목(鍾路六丁目)이 되었다. [11]
효제동(孝悌洞) 효제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효제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연지동(蓮池洞)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냉정동(冷井洞) · 연지동일부(蓮池洞一部)는 연지동(蓮池洞)이 되었다. [11] 연지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연지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충신동(忠信洞)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경기동(經基洞) · 장원동(長垣洞) · 간교동일부(杆橋洞一部) · 신교동일부(新橋洞一部)은 충신동(忠信洞)이 되었다.[11] 충신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충신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이화동 이화동(梨花洞) 이화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이화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연건동(蓮建洞)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과동(果洞) · 함춘동일부(含春洞一部) · 장동(墻洞) · 남미탑동(南彌塔洞) · 신교동일부(新橋洞一部) · 독갑현(獨甲峴) · 반송정동(盤松井洞)은 연건동(蓮建洞)이 되었다. 연건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연건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동숭동(東崇洞) 동숭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동숭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혜화동 혜화동(惠化洞) 혜화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혜화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명륜동1가(明倫洞)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송동일부(宋洞一部) · 흥덕동일부(興德洞一部) · 피마동일부(避馬洞一部) · 식당동(食堂洞) · 수지동(水之洞) · 도덕동(道德洞) · 포동(浦洞) · 상정동(上井洞)은 숭일동(崇一洞)이 되었다. [11] 명륜정은 1943년 6월 신설된 종로구에 속하였고, 1946년 10월 1일 명륜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명륜동2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송동일부(宋洞一部) · 상토교동일부(上土橋洞一部) · 광례교동일부(廣禮橋洞一部) · 궁내정동(宮內井洞) · 사현동(四賢洞) · 피마동일부(避馬洞一部) · 선문동(旋門洞) · 산천동(山川洞) · 흥덕동일부(興德洞一部) · 궁내동(宮內洞) · 박정동(朴井洞) · 관기교동은 숭이동(崇二洞)이 되었다. [11]
명륜동4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한정동(寒井洞) · 광례교동일부(廣禮橋洞一部) · 사악교(思樂橋) · 전석현은 숭사동(崇四洞)이 되었다. [11]
명륜3가동 명륜동3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양현동(養賢洞) · 서반동(西伴洞) · 제옥동(濟玉洞) · 홍문동(紅門洞) · 영동(營洞) · 이문동(里門洞)은 숭삼동(崇三洞)이 되었다.
창신1동 창신동(昌信洞) 1975년 10월 1일 동대문구에서 종로구로 편입되었다.[5]
창신2동
창신3동
숭인1동 숭인동(崇仁洞) 1975년 10월 1일 동대문구에서 종로구로 편입되었다.[5]
숭인2동
종로구청
보신각
쌈지길

교육 기관

  
  
  
  
  • 대학원대학교
  
  
  
  
  • 특수학교
  

주요 기관

언론사

관공서

관광

교통

도시 철도

(동대문구) ← 동묘앞역 - 동대문역 - 종로5가역 - 종로3가역 - 종각역 → (중구)
(서대문구) ← 경복궁역 - 안국역 - 종로3가역 → (중구)
(성북구) ← 혜화역 - 동대문역 → (중구)
(서대문구) ← 서대문역 - 광화문역 - 종로3가역 → (중구)
(중구) ← 동묘앞역 - 창신역 → (성북구)

주석

  1. 대한민국 국가통계포털 > 인구 · 가구 > 총조사인구(2010) > 연령 및 성별 인구 - 읍면동, 성별 외국인 - 시군구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2011년 6월 2일 확인.
  2. 최완기. 《한양: 그곳에서 살고 싶다?》 초판. 서울: (주)교학사. 81쪽. 
  3. 조선총독부령 제163호 (1943년 6월 9일)
  4. 서울시헌장 제1조
  5. 대통령령 제7816호 구의증설및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5년 9월 23일)
  6. 시조례 제1413호
  7. 구조례 제383호 동사무소설치조례
  8. 구조례 제740호 동주민센터명칭과소재지및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8년 9월 19일)
  9. 대통령령 제159호 시·도의관할구역및구·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의건 (1949년 8월 13일)
    대통령령 제160호 서울시구출장소설치에관한건 (1949년 8월 13일)
  10. “봉익동 유래/연혁”. 종로1.2.3.4가 동사무소. 2008년 4월 29일에 확인함. 
  11. 경기도고시 제7호

바깥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