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창신초등학교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분류:서울창신초등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좌표: 북위 37° 34′ 34″ 동경 127° 00′ 51″ / 북위 37.5759801° 동경 127.0142837°
서울창신초등학교
서울昌信初等學校 Seoul Changsin Elementary School | |
교훈 | 착하고 슬기롭고 튼튼한 어린이 |
---|---|
개교 | 1916년 5월 20일 |
설립형태 | 공립 |
교장 | 진용희 |
국가 | ![]() |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지봉로 73 (창신동 128-32) |
학생 수 | 466명 (2020년 5월 1일) |
교직원 수 | 39명 (2020년 5월 1일) |
상징 | 교목: 느티나무 / 교화: 민들레 |
관할관청 | 서울특별시중부교육지원청 |
웹사이트 | 서울창신초등학교 홈페이지 |
![]() 서울창신초등학교의 위치 |
서울창신초등학교(서울昌信初等學校)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이다.[1]
연혁[편집]
- 1907년 7월 10일: 원흥사(元興寺) 스님과 능인학교 설립 기도[2]
- 1912년 9월 20일: 사립 능인보통학교 개교. 이회광이 설립하고 이능화가 교장을 지냈다.[3][4] 건물은 원흥사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였다.[5]
- 1916년 4월: 원흥사 건물 전체가 경성부청에 매각됨[5]
- 1916년 5월 20일: 창신공립보통학교 개교(설립인가 5월 10일). 폐교된 능인보통학교와 숭인보통학교의 아동을 수용하였다.[6]
- 1936년: 교사(校舍)로 사용되던 원흥사 본전을 안양암으로 옮김[6]
- 1938년 4월 1일: 경성창신공립심상소학교로 변경
- 1941년 4월 1일: 경성창신공립국민학교로 변경
- 1945년 9월 24일: 해방 후 재개교 (44학급)[2]
- 1945년 10월 31일: 제 1대 안석규 교장 부임
- 1946년 10월 5일: 제 2대 최병규 교장 부임
- 1950년 9월 28일: 국군 공병대에서 본교사 신관 사용 개시[2]
- 1950년 10월 1일: 서울 수복 후 재개교[2]
- 1950년 10월 31일: 제 3대 박명석(朴命錫) 교장 부임
- 1950년 12월 28일: 휴교[2]
- 1951년 3월 15일: UN군 23공병대대에서 본교사 사용 개시[2]
- 1951년 7월 21일: 서울 재수복 후 임시교사에서 재개교[2]
- 1953년 5월 19일: 23대대로부터 교사 인수, 수업 개시 (42학급)[2]
- 1953년 7월 1일: 제 4대 김병규 교장 부임
- 1956년 3월 31일: 제 5대 한삼연 교장 부임
- 1959년 4월 30일: 제 6대 지기용 교장 부임
- 1959년 8월 19일: 제 7대 정우성 교장 부임
- 1961년 9월 30일: 제 8대 정철근 교장 부임
- 1962년 11월 30일: 운동장에 콘크리트조 9개 교실 완공[2]
- 1965년 3월 1일: 제 9대 이근홍 교장 부임
- 1965년 6월 10일: 운동장 북측의 목조 교사 1동 화재로 소실[2]
- 1968년 5월 20일: 제 10대 오용건 교장 부임
- 1969년 10월 27일: 10개 교실 철거 후 24개 교실 증축 준공[2]
- 1970년 9월 3일: 제11대 백영제 교장 부임
- 1971년 8월 10일: 전 교실에 전기 가설[2]
- 1971년 10월 4일: 서울명신국민학교로 분리
- 1972년 11월 14일: 도서실 개관[2]
- 1973년 3월 1일: 제12대 백영렬 교장 부임
- 1973년 8월 22일: 일본 이바라키현 이시오카시 이시오카소학교(石岡小学校)와 자매결연[7]
- 1974년 3월 1일: 서울교육대학교 대용 부속국민학교로 위촉[2]
- 1977년 3월 2일: 제13대 오운섭 교장 부임
- 1978년 10월 24일: 목조 교사 3동 철거 (22,154평)[2]
- 1981년 3월 10일: 특수학급 개설[2], 제14대 허창극 교장 부임
- 1986년 3월 1일: 제15대 고연욱 교장 부임
- 1988년 3월 1일: 제16대 송찬규 교장 부임
- 1989년 5월 20일: 교사 5동 개축 완공, 민속자료관 개관[2]
- 1991년 9월 30일: 전 교실에 도시가스 난방 완공[2]
- 1992년 3월 1일: 제17대 전한준 교장 부임
- 1994년 12월 30일: 급식당 완공[2]
- 1995년 2월 6일: 급식 실시 개시[2]
- 1995년 3월 1일: 제18대 최선규 교장 부임
- 1996년 3월 1일: 서울창신초등학교로 개칭
- 1997년 3월 1일: 제19대 곽부연 교장 부임
- 1998년 9월 5일: 보육실 설치[2]
- 1999년 3월 1일: 제20대 고성주 교장 부임
- 2001년 4월 19일: 현 교사 개축 착공[2]
- 2003년 2월 3일: 신관 건물 완공(C동)
- 2003년 3월 1일: 제21대 주상덕 교장 부임
- 2005년 3월 1일: 제22대 한성교 교장 부임
- 2005년 12월 26일: 민속자료관 재개관
- 2008년 11월 25일: 종로구 창신 거점 영어 체험센터 개관
- 2010년 3월 1일: 제23대 김점옥 교장 부임
- 2010년 9월 13일: 도서실 리모델링 후 개관 (반딧불 도서관)
- 2011년 9월 1일: 제24대 지경수 교장 부임
- 2012년 5월 24일: 병설 유치원 개원
- 2015년 9월 1일: 제25대 강신자 교장 부임
- 2016년 5월 19일: 개교 100주년 기념실 개관
- 2019년 9월 1일: 제26대 진용희 교장 부임
동문[편집]

참고 문헌[편집]
- 경성부 (2014). 《국역 경성부사 제3권》. 서울: 서울특별시시사편찬위원회. ISBN 9788994033655.
각주[편집]
- ↑ 서울특별시교육청 (2016년 3월 1일). “서울특별시립학교 설치조례 별표1”.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6년 7월 2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개교 100주년 기념실 게시내용.
- ↑ “能仁普通學校開學式”. 《조선불교월보》. 1912년 10월호 (조선불교월보사). 1912년 10월. 69쪽.
- ↑ 한동완 (2006). 《국문연구의정안》. 서울: 신구문화사. 29쪽. ISBN 8976681266.
- ↑ 가 나 경성부 2014, 780쪽.
- ↑ 가 나 경성부 2014, 781쪽.
- ↑ “昌信國校(창신국교),日(일) 石岡校(석강교)와 결연”. 경향신문. 1973년 8월 21일. 2017년 1월 1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서울창신초등학교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