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신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창신제1동
昌信第1洞
창신제1동주민센터
창신제1동주민센터

로마자 표기Changsin 1(il)-dong
행정
국가대한민국
지역서울특별시 종로구
행정 구역14개 , 87개
법정동창신동
관청 소재지서울특별시 종로구 지봉로 8-6
지리
면적0.31km2
인문
인구4,847명(2022년 8월)
세대2,844세대
인구 밀도16,000명/km2
지역 부호
웹사이트종로구 창신제1동 주민센터
창신제2동
昌信第2洞
창신제2동주민센터
창신제2동주민센터
로마자 표기Changsin 2(i)-dong
행정
국가대한민국
지역서울특별시 종로구
행정 구역19개 , 131개
법정동창신동
관청 소재지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길 62
지리
면적0.26km2
인문
인구7,825명(2022년 8월)
세대4,048세대
인구 밀도30,000명/km2
지역 부호
웹사이트종로구 창신제2동 주민센터
창신제3동
昌信第3洞
창신제3동주민센터
창신제3동주민센터
로마자 표기Changsin 3(sam)-dong
행정
국가대한민국
지역서울특별시 종로구
행정 구역14개 , 93개
법정동창신동
관청 소재지서울특별시 종로구 지봉로 87
지리
면적0.23km2
인문
인구6,484명(2022년 8월)
세대2,798세대
인구 밀도28,000명/km2
지역 부호
웹사이트종로구 창신제3동 주민센터
낙산에서 바라본 창신2동

창신동(昌信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법정동이다.

역사[편집]

지명 유래[편집]

창신동은 조선 초부터 있었던 한성부의 방 가운데 인창방(仁昌坊)과 숭신방(崇信坊) 일부 지역이었다. 여기서 한 글자씩을 따서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동명으로 삼았다.[1]

옛 지명으로는 자지동(紫芝洞), 홍수동(紅樹洞, 홍숫골), 돌산밑 등이 있다. 자지동은 단종의 비 정순왕후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옷에 보랏빛 물을 들여 내다 팔 때, 그 물을 들이던 샘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으로, 지금의 창신3동 북쪽에 해당한다. 홍수동은 조선 시대에 빨간 열매가 열리는 나무가 무성하였다 하여 붙은 이름으로, 지금의 창신2동 서쪽에 해당한다.[2] 홍수동의 방각소에서는 1858년~1861년 전후에 방각소설을 간행하였다.[3] 돌산밑은 창신2동과 3동 사이의 절개지 서쪽 아래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이 절개지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 총독부에서 석재를 마련하기 위하여 만들었다.[4]

연혁[편집]

유적[편집]

  • 한양도성
  • 안양암(安養庵): 1926년에 창건된 절로, 창신동 130-1에 위치한다. 불교 문화재가 많아 한국미술박물관의 별관 기능도 하고 있다.
  • 비우당(庇雨堂): 하정 류관이 지어 살다가 조선 중기에 지봉 이수광이 기거하던 초가집으로, 이수광은 이 집에서 지봉유설을 집필하였다. 이름의 뜻은, 우산 없이 지내는 사람들을 생각하면서, 집 안으로 새는 비를, 지붕을 고쳐 막지 않고, 우산으로 피하는 집이라는 뜻이다. 원래 위치는 창신동 7-26번지였으며, 현재는 낙산공원 조성과 함께 창신동 9-471로 옮겨 복원되었다.
  • 자주동천(紫芝洞泉): 단종의 비 정순왕후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팔던 천을 자주색으로 물들이던 샘이다.
  • 좌룡정(左龍亭) 터: 조선 시대 한양에 있던 5대 활쏘기터[射亭] 중 하나였다. 현재 한양도성에 각석이 남아 있다.
  • 원흥사(元興寺) 터: 1902년(광무 6년)에 창건된 대한제국 황실의 보리사로 전국의 사원을 총괄하는 절이었다. 현재 이 위치에 서울창신초등학교가 들어서 있다.
  • 원불교 서울교당 터: 1926년 설립되어 1933년 삼선동으로 이전하기 전까지 원불교 서울교당이 있었던 곳이다. 창신동 605에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 박수근 집터: 창신동 393-16에 위치하였던 집으로, 화가 박수근이 1952년부터 1963년까지 거주하였다.[15]
  • 백남준 생가터: 창신동 197에 위치하였던 9917m2 규모의 한옥으로, 현재는 철거되어 여러 필지로 분할되었다.[15] 2017년 3월 10일, 집터의 일부인 창신동 197-33에 백남준기념관이 개관하였다.[16]
  • 김광석 집터: 1975년부터 1990년까지 김광석이 거주한 창신동 130-54의 양옥으로, 사후 2013년까지 부모에 의하여 관리되다가 2015년 11월 2일 매각되었다.[17]
  • 임종상 별장 터: 창신동 647[18]에 있던 대규모 한옥으로, 대지 7천평 건평 4백평의 규모로 일명 ‘창신궁’(昌信宮)으로도 불렸다.[19] 일제 강점기 당시에 30만원의 거금을 들여, 궁궐과 같이 단청을 하여 건축한 곳이다.[20] 해방 이후 이청천의 숙사로도 쓰였다.[21]

문화[편집]

  • 동대문시장의 배후지로서 가내수공업 형태의 봉제업이 융성하다.
  • 2007년경 탄생한 ‘매운족발’이 유명하다.[22]

행정 구역[편집]

법정동 행정동
창신동 창신제1동[23]
창신제2동[24]
창신제3동[25]

교육[편집]

교통[편집]

미디어[편집]

각주[편집]

  1. 창신제1동 동명유래, 2017년 3월 20일 확인
  2.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1982), 《동명연혁고 동대문구편》, 157-158쪽.
  3. 이창헌(2000), 《경판방각소설판본연구》, 457-458쪽.
  4. 조정구 (2012년 3월 6일). “서울에 이런곳이? 높이 40m '절벽 동네' 장관”. 중앙일보. 2018년 11월 26일에 확인함. 
  5. 경기도 고시 제7호, 1914년 4월 1일.
  6. 경기도 고시 제32호
  7. 조선총독부령 제163호, 1943년 6월 9일.
  8. 서울시 헌장 제1조
  9. 서울특별시 조례 제66호
  10. 서울특별시 조례 제397호
  11. 서울특별시 조례 제613호
  12. 대통령령 제7816호
  13. 서울특별시 조례 제979호
  14. 서울특별시 조례 제1413호
  15. 한은화 (2015년 5월 15일). “재조명받는 서울 종로구 창신동…박수동 작업실,백남준 생가...”. 중앙일보. 2015년 5월 17일에 확인함. 
  16. 도재기 (2017년 3월 8일). “백남준 기념관, 옛 집터에 10일 개관”. 경향신문. 2017년 3월 12일에 확인함. 
  17. 이유정 (2016년 1월 25일). “[단독]가수 고(故) 김광석, 학창시절 보낸 창신동 집 팔려”. 포커스뉴스. 2016년 5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8일에 확인함. 
  18. 前林宗相氏不動産(전임종상지부동산)말썽 移轉登記抹消請求訴訟(이전등기말소청구소송), 동아일보.
  19. “임종상씨승소 대법원서최종판결”. 동아일보. 1957년 11월 20일. 2016년 12월 4일에 확인함. 
  20. 유종수 (1924년 7월 21일). “창신동 창신궁”. 동아일보. 2016년 12월 4일에 확인함. 
  21. 青年運動半世紀(청년운동반세기) (47) 大同青年團(대동청년단) 1 李靑天(이청천)장군 颱風(태풍)의 눈으로, 경향신문.
  22. 강혜란; 홍상지 (2015년 12월 12일). “월요병에 축 처진 당신, 오늘 매운맛 좀 볼래요?”. 중앙일보. 2021년 9월 21일에 확인함. 
  23. 창신제1동 관할 창신동 지번
    25~127, 128-30~128-38, 129, 130-1~130-60, 130-74~130-78, 130-98, 130-115~130-117, 130-141~130-142, 130-150~130-154, 137~202, 205~498, 509~526
  24. 창신제2동 관할 창신동 지번
    23-324~23-329, 23-353, 23-433~23-631, 23-676, 23-682, 23-696, 23-703, 23-706, 23-713~23-714, 23-717~23-719, 23-733, 23-785, 23-804~805, 130-60~130-70, 130-80~130-97, 130-102~130-113, 130-119~130-129, 130-161, 131, 135, 136, 503~701, 산6-4, 산6-42, 산6-45~산6-54
  25. 창신제3동 관할 창신동 지번
    1, 7, 13~18, 20, 23-2~23-318, 23-334~23-352, 23-632~23-640, 23-655~23-663, 23-665~23-673, 23-679, 23-680, 23-686~23-694, 23-697~23-701, 23-707~23-708, 23-712, 23-715~23-716, 23-739~23-781, 23-783, 23-786~23-803, 23-806~23-811, 128-1~128-29, 128-40~128-70, 702~703, 산1, 산6, 산6-5, 산6-36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