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미프라민
보이기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3-(3-chloro-10,11-dihydro-5H-dibenzo[b,f]azepin-5-yl)-N,N-dimethylpropan-1-amine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303-49-1 |
ATC 코드 | N06AA04 |
PubChem | 2801 |
드러그뱅크 | DB01242 |
ChemSpider | 2699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19H23ClN2 |
분자량 | 314.857 g/mol |
유의어 | Clomimipramine; 3-Chloroimipramine; G-34586[1]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50%[2] |
단백질 결합 | 96–98%[2]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간 (en:CYP2D6)[2] |
생물학적 반감기 | CMI: 19–37 hours[2] DCMI: 54–77 hours[2] |
배출 | 콩팥 (51–60%)[2] 똥 (24–32%)[2] |
처방 주의사항 | |
허가 정보 | |
임부투여안전성 | C(오스트레일리아)C(미국)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By mouth, intravenous[3] |
클로미프라민(clomipramine, 상표명: Anafranil 등)은 삼환계 항우울제(TCA)이다.[4] 강박장애, 공황장애, 주요 우울 장애, 만성 통증 치료에 사용된다.[4] 65세 초과자의 자살 위험을 줄일 수 있다.[4] 구강으로 투여한다.[4]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구강 건조, 변비, 식욕 부진, 졸림, 체중 증가, 성 기능 장애, 소변 문제가 포함된다.[4]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25세 미만자의 자살 위험 증가, 그리고 뇌전증 발작, 조증, 간 질환이 포함된다.[4] 약물을 갑작스럽게 중단할 경우 두통, 발한, 어지럼증과 함께 금단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4] 임신 중에 투여해도 안전한지에 대해서는 확실치 않다.[4] 동작 구조는 분명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세로토닌의 수치 증가가 수반되는 것으로 간주된다.[4]
클로미프라민은 1964년 스위스의 제약사 시바-가이기(Ciba-Geigy)에 의해 발견되었다.[5] 의료제도에 필수적인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의약품 목록인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6] 제네릭 의약품으로 구매가 가능하다.[4] 개발도상국의 도매가는 2014년 기준으로 일일 0.11~0.21 사이이다.[7] 미국 내 도매가는 2018년 기준으로 일일 대략 US$9이다.[8] 이미프라민으로 만든다.[5]
약리학
[편집]약력학
[편집]세로토닌성 활성
[편집]약물 | 복용 범위 (mg/day)[9] |
~80% SERT 점유 (mg/일)[10][11] |
비율 (복용량 / 80% 점유) |
---|---|---|---|
시탈로프람 | 20–40 | 40 | 0.5–1 |
에스시탈로프람 | 10–20 | 10 | 1–2 |
플루옥세틴 | 20–80 | 20 | 1–4 |
플루복사민 | 50–300 | 70 | 0.71–5 |
파록세틴 | 10–60 | 20 | 0.5–3 |
설트랄린 | 25–200 | 50 | 0.5–4 |
둘록세틴 | 20–60 | 30 | 0.67–2 |
벤라팍신 | 75–375 | 75 | 1–5 |
클로미프라민 | 50–250 | 10 | 5–25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J. Elks (14 November 2014). 《The Dictionary of Drugs: Chemical Data: Chemical Data, Structures and Bibliographies》. Springer. 299–쪽. ISBN 978-1-4757-2085-3. 15 February 2017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Thomas L. Lemke; David A. Williams (24 January 2012). 《Foye's Principles of Medicinal Chemistr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604–605쪽. ISBN 978-1-60913-345-0. 8 September 2017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Taylor, D; Paton, C; Shitij, K (2012). 《Maudsley Prescribing Guidelines in Psychiatry》 11판. West Sussex: Wiley-Blackwell. ISBN 978-0-47-097948-8.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Clomipramine Hydrochloride”.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5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Dec 2, 2015에 확인함.
- ↑ 가 나 Joseph Zohar (2012년 5월 31일).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Current Science and Clinical Practice》. John Wiley & Sons. 19–30, 32, 50, 59쪽. ISBN 978-1-118-30801-1.
- ↑ “WHO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19th List)” (PDF). 《World Health Organization》. April 2015. 13 December 2016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8 December 2016에 확인함.
- ↑ “Clomipramine”. 《International Drug Price Indicator Guide》. 2019년 1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3일에 확인함.
- ↑ “NADAC as of 2018-02-07”. 《Centers for Medicare and Medicaid Services》 (영어). 2018년 6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 ↑ Gerald P. Koocher; John C. Norcross; Beverly A. Greene Ph.D. (2013년 9월 4일). 《Psychologists' Desk Reference》. Oxford University Press. 442–쪽. ISBN 978-0-19-984550-7.
- ↑ Gründer G, Hiemke C, Paulzen M, Veselinovic T, Vernaleken I (2011). “Therapeutic plasma concentrations of antidepressants and antipsychotics: lessons from PET imaging”. 《Pharmacopsychiatry》 44 (6): 236–48. doi:10.1055/s-0031-1286282. PMID 21959785.
- ↑ Kasper S, Sacher J, Klein N, Mossaheb N, Attarbaschi-Steiner T, Lanzenberger R, Spindelegger C, Asenbaum S, Holik A, Dudczak R (2009). “Differences in the dynamics of serotonin reuptake transporter occupancy may explain superior clinical efficacy of escitalopram versus citalopram”. 《Int Clin Psychopharmacol》 24 (3): 119–25. doi:10.1097/YIC.0b013e32832a8ec8. PMID 19367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