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백일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일해
백일해로 인해 기침을 하고 있는 어린이
진료과감염내과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백일해(百日咳; 문화어: 백날기침; 영어: pertussis)는 전염성이 매우 높은 세균병이다.[1][2][3][4] 백일해균(학명Bordetella pertussis)으로 일어나는 어린이의 호흡기 전염병으로서, 한번 걸리면 평생 면역이 된다. 초기 증상은 대개 콧물, 발열, 가벼운 기침 등으로 일반적인 감기의 증상과 매우 비슷하지만, 몇 주 동안 심한 기침 발작이 뒤따른다는 차이가 있다.[3] 기침 외에도 고음의 윙윙 소리가 나거나 숨이 막히기도 한다.[3] 기침이 10주 이상 지속될 수 있으므로 백일해라 불린다.[5] 기침을 너무 심하게 해서 구토늑골 골절, 피로가 발생하기도 한다.[3][6] 1살 이하의 경우 기침 대신 무호흡을 보일 수 있다. 감염으로부터 대략 7~10일 후에 증상이 발생한다.[7] 예방접종을 받은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으나, 이 경우 경미한 증상만 보인다.[3]

백일해균에 의해 발생하며,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전염된다.[8][9]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할 때부터 대략 3주간 전염성을 보인다. 항생제를 사용하면 5일 내로 치료할 수 있다.[10] 비인두에서 면봉을 통해 시료를 채취한 뒤 세포 배양이나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통해 검진한다.[11]

백일해 백신을 통해 예방접종할 수 있다.[12] 생후 6~8주에 첫째로 접종한 후 2세 이전에 네 번 접종하는 것이 권장된다.[13] 시간이 지나면서 저항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청소년기나 성인이 되어 추가적으로 접종할 것이 권장된다.[14] 백일해에 막 감염된 경우 더 심각한 질병을 막기 위해 항생제를 투여할 수 있다.[15] 그러나 첫 3주가 지나면 항생제가 별 효과를 보지 못한다. 임산부나 1세 이하의 어린이의 경우 증상이 나타난 후 3주가 지나더라도 6주 이내라면 항생제를 투여할 것이 권장된다. 에리트로마이신, 아지트로마이신, 클래리스로마이신, 트리메소프림/설파메톡사졸 등의 항생제가 사용된다.[10] 항생제 외에 다른 약물들이 기침을 멎게 할 수 있다고 볼 정도로 많은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16] 1세 이하의 유아의 경우 절반정도가 입원 치료를 필요로 하며, 200명 중 1명이 사망에 이른다.[3][6]

2015년을 기준으로 전 세계에 1630만명이 이 질병에 걸린 것으로 추정된다.[17] 대부분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하며, 모든 연령대가 다 질병에 감염될 수 있다.[12][16] 1990년에는 13만 8천명이 사망한데 비해 2015년에는 5만 8700명이 사망하여 그 수가 감소하고 있다.[18][19] 역사에 처음 기록된 유행 사례는 16세기의 것이다.[7] 세균은 1906년에 처음으로 분리되었으며, 1940년대에 백신이 개발되었다.[7] 한국에서는 제2급 감염병으로 분류한다.

원인

[편집]

백일해는 백일해균의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기침 및 재채기를 통해 공기중으로 비말의 형태로 전파된다.[8]

인수공통감염성

[편집]

이 질병이 인수공통감염병인지에 대한 의문이 1910년대를 기점으로 제기되었으나,[20][21] 한천 배지에서 여러 세대를 거치면서 독성이 사라지는 것이 1930년대에 관찰되었다.[22]

오늘날에는 최소한 일부 유인원들이 백일해균에 의해 감염되기 쉬워 접종을 하지 않을 경우 백일해로 발전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3][24] 고릴라 등 야생동물에서 백일해균이 발견되었으나, 이에 대한 실험적인 검증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25] 일부 동물원은 유인원류에게 백일해 백신을 접종시킨다.[26]

기작

[편집]

세균은 흡입된 이후 인두섬모 상피 세포에 정착한다. 섬유성 헤마글루티닌퍼탁틴 등 백일해균의 표면에 있는 단백질이 상피 세포에 부착하는 것을 도와주는데, 이러한 부착 이후 증식한다.[27][28] 유아의 경우 세균이 허파로 내려감에 따라 더 심각한 증상도 발견된다.[28]

세균은 독소를 분비한다. 기도 독성을 가진 펩티도글리칸 조각을 분비하여 기도의 섬모 상피 세포가 파괴되고, 이에 따라 점액질의 분비가 억제된다.[29] 이 독소로 인해 백일해의 특징인 비정상적 기침이 발생하는데,[30] 아직 밝혀지지 않은 "기침 독소" 역시 존재할 것으로 여겨진다.[31] 백일해 독소가 림프구증가증을 일으키는 기작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백혈구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폐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는데, 백일해로 인해 사망하는 이유가 대부분 이 것 때문이다.[28][29] 유아에서 뇌증, 뇌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저산소증으로 피질이 위축될 수 있다.[28]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Carbonetti NH (June 2007). “Immunomodulation in the pathogenesis of Bordetella pertussis infection and disease”. 《Curr Opin Pharmacol》 7 (3): 272–8. doi:10.1016/j.coph.2006.12.004. PMID 17418639. 
  2. “Pertussis (Whooping Cough) Signs & Symptoms”. 2014년 5월 22일. 2015년 2월 12일에 확인함. 
  3. “Pertussis (Whooping Cough) Signs & Symptoms”. 2014년 5월 22일. 2015년 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12일에 확인함. 
  4. Carbonetti NH (June 2007). “Immunomodulation in the pathogenesis of Bordetella pertussis infection and disease”. 《Current Opinion in Pharmacology》 7 (3): 272–8. doi:10.1016/j.coph.2006.12.004. PMID 17418639. 
  5. “Pertussis (Whooping Cough) Fast Facts”. 《cdc.gov》. 2014년 2월 13일. 2015년 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12일에 확인함. 
  6. “Pertussis (Whooping Cough) Complications”. 《cdc.gov》. 2013년 8월 28일. 2015년 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12일에 확인함. 
  7. Atkinson W (May 2012). 《Pertussis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Vaccine-Preventable Diseases》 12판. Public Health Foundation. 215–230쪽. ISBN 9780983263135. 2017년 7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8. “Pertussis (Whooping Cough) Causes & Transmission”. 《cdc.gov》. 2014년 9월 4일. 2015년 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12일에 확인함. 
  9. “Pertussis”. 《WHO》. 2015년 6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23일에 확인함. 
  10. “Pertussis (Whooping Cough) Treatment”. 《cdc.gov》. 2013년 8월 28일. 2015년 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13일에 확인함. 
  11. “Pertussis (Whooping Cough) Specimen Collection”. 《cdc.gov》. 2013년 8월 28일. 2015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13일에 확인함. 
  12. Heininger U (February 2010). “Update on pertussis in children”. 《Expert Review of Anti-Infective Therapy》 8 (2): 163–73. doi:10.1586/eri.09.124. PMID 20109046. 
  13. “Revised guidance on the choice of pertussis vaccines: July 2014” (PDF). 《Releve Epidemiologique Hebdomadaire》 89 (30): 337–40. July 2014. PMID 25072068. 2015년 2월 1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14. “Pertussis vaccines: WHO position paper”. 《Releve Epidemiologique Hebdomadaire》 85 (40): 385–400. October 2010. PMID 20939150. 
  15. “Pertussis (Whooping Cough) Prevention”. 《cdc.gov》. 2014년 10월 10일. 2015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13일에 확인함. 
  16. Wang K, Bettiol S, Thompson MJ, Roberts NW, Perera R, Heneghan CJ, Harnden A (September 2014). “Symptomatic treatment of the cough in whooping cough”.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9 (9): CD003257. doi:10.1002/14651858.CD003257.pub5. PMID 25243777. 
  17. Vos, Theo; Allen, Christine; Arora, Megha; Barber, Ryan M.; Bhutta, Zulfiqar A.; Brown, Alexandria; Carter, Austin; Casey, Daniel C.; Charlson, Fiona J.; Chen, Alan Z.; Coggeshall, Megan; Cornaby, Leslie; Dandona, Lalit; Dicker, Daniel J.; Dilegge, Tina; Erskine, Holly E.; Ferrari, Alize J.; Fitzmaurice, Christina; Fleming, Tom; Forouzanfar, Mohammad H.; Fullman, Nancy; Gething, Peter W.; Goldberg, Ellen M.; Graetz, Nicholas; Haagsma, Juanita A.; Hay, Simon I.; Johnson, Catherine O.; Kassebaum, Nicholas J.; Kawashima, Toana; 외. (October 2016).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545–1602. doi:10.1016/S0140-6736(16)31678-6. PMC 5055577. PMID 27733282. 
  18. Wang, Haidong; Naghavi, Mohsen; Allen, Christine; Barber, Ryan M.; Bhutta, Zulfiqar A.; Carter, Austin; Casey, Daniel C.; Charlson, Fiona J.; Chen, Alan Zian; Coates, Matthew M.; Coggeshall, Megan; Dandona, Lalit; Dicker, Daniel J.; Erskine, Holly E.; Ferrari, Alize J.; Fitzmaurice, Christina; Foreman, Kyle; Forouzanfar, Mohammad H.; Fraser, Maya S.; Fullman, Nancy; Gething, Peter W.; Goldberg, Ellen M.; Graetz, Nicholas; Haagsma, Juanita A.; Hay, Simon I.; Huynh, Chantal; Johnson, Catherine O.; Kassebaum, Nicholas J.; Kinfu, Yohannes; 외. (October 2016).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459–1544. doi:10.1016/s0140-6736(16)31012-1. PMC 5388903. PMID 27733281. 
  19. GBD 2013 Mortality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January 2015).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Lancet》 385 (9963): 117–71. doi:10.1016/S0140-6736(14)61682-2. PMC 4340604. PMID 25530442. 
  20. Inaba I (1912). “Über den Bordet-Gengouschen Keuchhustenbacillus Übertragungsversuches des Keuchenhustens auf Tiere”. 《Z Kinderheilkd》 4: 252–264. doi:10.1007/bf02088879. 
  21. Bachamn W, Burghard E (1925). “Der Nachweis der Bordet-Gengouschen Bacillen und ihre aetiologische Bedeutung für den Keuchenhusten”. 《Z Kinderheilkd》 39: 465–483. doi:10.1007/BF02225286. 
  22. Shibley GS, Hoelscher H (September 1934). “Studies on whooping cough. I. Type-specific (S) and dissociation (R) forms of haemophilus pertussi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60 (4): 403–18. doi:10.1084/jem.60.4.403. PMC 2132401. PMID 19870311. 
  23. Gustavsson OE, Röken BO, Serrander R (1990). “An epizootic of whooping cough among chimpanzees in a zoo”. 《Folia Primatologica; International Journal of Primatology》 55 (1): 45–50. doi:10.1159/000156498. PMID 2394416. 
  24. Warfel JM, Merkel TJ (October 2014). “The baboon model of pertussis: effective use and lessons for pertussis vaccines”. 《Expert Review of Vaccines》 13 (10): 1241–52. doi:10.1586/14760584.2014.946016. PMID 25182980. 
  25. Butynski TM et al. (eds.): Mammals of Africa vol. II: Primates, p. 51. Bloomsbury Publishing, London, 2013. ISBN 978-1-4081-2252-5
  26. Loomis MR (1985). 〈Immunoprofylaxis in infant great apes〉. Graham CE, Bowen JA. 《Clinical Management of Infant Great Apes》. Monographs in Primatology 5. New York: Liss. 107–112쪽. 
  27. Top KA, Halperin SA (2017). 〈Pertussis and other Bordetella infections〉. Kasper DL, Fauci AS. 《Harrison's Infectious Diseases》 3판. New York: McGraw-Hill Education. 502–506쪽. ISBN 9781259835971. 
  28. Kilgore PE, Salim AM, Zervos MJ, Schmitt HJ (July 2016). “Pertussis: Microbiology, Disease, Treatment, and Prevention”. 《Clinical Microbiology Reviews》 29 (3): 449–86. doi:10.1128/CMR.00083-15. PMC 4861987. PMID 27029594. 
  29. Hewlett EL, Burns DL, Cotter PA, Harvill ET, Merkel TJ, Quinn CP, Stibitz ES (April 2014). “Pertussis pathogenesis--what we know and what we don't know”. 《Th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209 (7): 982–5. doi:10.1093/infdis/jit639. PMC 3952676. PMID 24626533. 
  30. Melvin JA, Scheller EV, Miller JF, Cotter PA (April 2014). “Bordetella pertussis pathogenesis: current and future challenges”. 《Nature Reviews. Microbiology》 12 (4): 274–88. doi:10.1038/nrmicro3235. PMC 4205565. PMID 24608338. 
  31. Cherry JD (2013). “Pertussis: challenges today and for the future”. 《PLoS Pathogens》 9 (7): e1003418. doi:10.1371/journal.ppat.1003418. PMC 3723573. PMID 23935481.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