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해
백일해 | |
---|---|
백일해로 인해 기침을 하고 있는 어린이 | |
진료과 | 감염내과 |
백일해(百日咳; 문화어: 백날기침; 영어: pertussis)는 전염성이 매우 높은 세균병이다.[1][2][3][4] 백일해균(학명: Bordetella pertussis)으로 일어나는 어린이의 호흡기 전염병으로서, 한번 걸리면 평생 면역이 된다. 초기 증상은 대개 콧물, 발열, 가벼운 기침 등으로 일반적인 감기의 증상과 매우 비슷하지만, 몇 주 동안 심한 기침 발작이 뒤따른다는 차이가 있다.[3] 기침 외에도 고음의 윙윙 소리가 나거나 숨이 막히기도 한다.[3] 기침이 10주 이상 지속될 수 있으므로 백일해라 불린다.[5] 기침을 너무 심하게 해서 구토나 늑골 골절, 피로가 발생하기도 한다.[3][6] 1살 이하의 경우 기침 대신 무호흡을 보일 수 있다. 감염으로부터 대략 7~10일 후에 증상이 발생한다.[7] 예방접종을 받은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으나, 이 경우 경미한 증상만 보인다.[3]
백일해균에 의해 발생하며,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전염된다.[8][9]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할 때부터 대략 3주간 전염성을 보인다. 항생제를 사용하면 5일 내로 치료할 수 있다.[10] 비인두에서 면봉을 통해 시료를 채취한 뒤 세포 배양이나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통해 검진한다.[11]
백일해 백신을 통해 예방접종할 수 있다.[12] 생후 6~8주에 첫째로 접종한 후 2세 이전에 네 번 접종하는 것이 권장된다.[13] 시간이 지나면서 저항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청소년기나 성인이 되어 추가적으로 접종할 것이 권장된다.[14] 백일해에 막 감염된 경우 더 심각한 질병을 막기 위해 항생제를 투여할 수 있다.[15] 그러나 첫 3주가 지나면 항생제가 별 효과를 보지 못한다. 임산부나 1세 이하의 어린이의 경우 증상이 나타난 후 3주가 지나더라도 6주 이내라면 항생제를 투여할 것이 권장된다. 에리트로마이신, 아지트로마이신, 클래리스로마이신, 트리메소프림/설파메톡사졸 등의 항생제가 사용된다.[10] 항생제 외에 다른 약물들이 기침을 멎게 할 수 있다고 볼 정도로 많은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16] 1세 이하의 유아의 경우 절반정도가 입원 치료를 필요로 하며, 200명 중 1명이 사망에 이른다.[3][6]
2015년을 기준으로 전 세계에 1630만명이 이 질병에 걸린 것으로 추정된다.[17] 대부분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하며, 모든 연령대가 다 질병에 감염될 수 있다.[12][16] 1990년에는 13만 8천명이 사망한데 비해 2015년에는 5만 8700명이 사망하여 그 수가 감소하고 있다.[18][19] 역사에 처음 기록된 유행 사례는 16세기의 것이다.[7] 세균은 1906년에 처음으로 분리되었으며, 1940년대에 백신이 개발되었다.[7] 한국에서는 제2급 감염병으로 분류한다.
원인
[편집]백일해는 백일해균의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기침 및 재채기를 통해 공기중으로 비말의 형태로 전파된다.[8]
인수공통감염성
[편집]이 질병이 인수공통감염병인지에 대한 의문이 1910년대를 기점으로 제기되었으나,[20][21] 한천 배지에서 여러 세대를 거치면서 독성이 사라지는 것이 1930년대에 관찰되었다.[22]
오늘날에는 최소한 일부 유인원들이 백일해균에 의해 감염되기 쉬워 접종을 하지 않을 경우 백일해로 발전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3][24] 고릴라 등 야생동물에서 백일해균이 발견되었으나, 이에 대한 실험적인 검증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25] 일부 동물원은 유인원류에게 백일해 백신을 접종시킨다.[26]
기작
[편집]세균은 흡입된 이후 인두의 섬모 상피 세포에 정착한다. 섬유성 헤마글루티닌과 퍼탁틴 등 백일해균의 표면에 있는 단백질이 상피 세포에 부착하는 것을 도와주는데, 이러한 부착 이후 증식한다.[27][28] 유아의 경우 세균이 허파로 내려감에 따라 더 심각한 증상도 발견된다.[28]
세균은 독소를 분비한다. 기도 독성을 가진 펩티도글리칸 조각을 분비하여 기도의 섬모 상피 세포가 파괴되고, 이에 따라 점액질의 분비가 억제된다.[29] 이 독소로 인해 백일해의 특징인 비정상적 기침이 발생하는데,[30] 아직 밝혀지지 않은 "기침 독소" 역시 존재할 것으로 여겨진다.[31] 백일해 독소가 림프구증가증을 일으키는 기작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백혈구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폐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는데, 백일해로 인해 사망하는 이유가 대부분 이 것 때문이다.[28][29] 유아에서 뇌증, 뇌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저산소증으로 피질이 위축될 수 있다.[28]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Carbonetti NH (June 2007). “Immunomodulation in the pathogenesis of Bordetella pertussis infection and disease”. 《Curr Opin Pharmacol》 7 (3): 272–8. doi:10.1016/j.coph.2006.12.004. PMID 17418639.
- ↑ “Pertussis (Whooping Cough) Signs & Symptoms”. 2014년 5월 22일. 2015년 2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Pertussis (Whooping Cough) Signs & Symptoms”. 2014년 5월 22일. 2015년 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12일에 확인함.
- ↑ Carbonetti NH (June 2007). “Immunomodulation in the pathogenesis of Bordetella pertussis infection and disease”. 《Current Opinion in Pharmacology》 7 (3): 272–8. doi:10.1016/j.coph.2006.12.004. PMID 17418639.
- ↑ “Pertussis (Whooping Cough) Fast Facts”. 《cdc.gov》. 2014년 2월 13일. 2015년 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Pertussis (Whooping Cough) Complications”. 《cdc.gov》. 2013년 8월 28일. 2015년 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Atkinson W (May 2012). 《Pertussis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Vaccine-Preventable Diseases》 12판. Public Health Foundation. 215–230쪽. ISBN 9780983263135. 2017년 7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가 나 “Pertussis (Whooping Cough) Causes & Transmission”. 《cdc.gov》. 2014년 9월 4일. 2015년 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12일에 확인함.
- ↑ “Pertussis”. 《WHO》. 2015년 6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Pertussis (Whooping Cough) Treatment”. 《cdc.gov》. 2013년 8월 28일. 2015년 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13일에 확인함.
- ↑ “Pertussis (Whooping Cough) Specimen Collection”. 《cdc.gov》. 2013년 8월 28일. 2015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13일에 확인함.
- ↑ 가 나 Heininger U (February 2010). “Update on pertussis in children”. 《Expert Review of Anti-Infective Therapy》 8 (2): 163–73. doi:10.1586/eri.09.124. PMID 20109046.
- ↑ “Revised guidance on the choice of pertussis vaccines: July 2014” (PDF). 《Releve Epidemiologique Hebdomadaire》 89 (30): 337–40. July 2014. PMID 25072068. 2015년 2월 1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 “Pertussis vaccines: WHO position paper”. 《Releve Epidemiologique Hebdomadaire》 85 (40): 385–400. October 2010. PMID 20939150.
- ↑ “Pertussis (Whooping Cough) Prevention”. 《cdc.gov》. 2014년 10월 10일. 2015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13일에 확인함.
- ↑ 가 나 Wang K, Bettiol S, Thompson MJ, Roberts NW, Perera R, Heneghan CJ, Harnden A (September 2014). “Symptomatic treatment of the cough in whooping cough”.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9 (9): CD003257. doi:10.1002/14651858.CD003257.pub5. PMID 25243777.
- ↑ Vos, Theo; Allen, Christine; Arora, Megha; Barber, Ryan M.; Bhutta, Zulfiqar A.; Brown, Alexandria; Carter, Austin; Casey, Daniel C.; Charlson, Fiona J.; Chen, Alan Z.; Coggeshall, Megan; Cornaby, Leslie; Dandona, Lalit; Dicker, Daniel J.; Dilegge, Tina; Erskine, Holly E.; Ferrari, Alize J.; Fitzmaurice, Christina; Fleming, Tom; Forouzanfar, Mohammad H.; Fullman, Nancy; Gething, Peter W.; Goldberg, Ellen M.; Graetz, Nicholas; Haagsma, Juanita A.; Hay, Simon I.; Johnson, Catherine O.; Kassebaum, Nicholas J.; Kawashima, Toana; 외. (October 2016).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545–1602. doi:10.1016/S0140-6736(16)31678-6. PMC 5055577. PMID 27733282.
- ↑ Wang, Haidong; Naghavi, Mohsen; Allen, Christine; Barber, Ryan M.; Bhutta, Zulfiqar A.; Carter, Austin; Casey, Daniel C.; Charlson, Fiona J.; Chen, Alan Zian; Coates, Matthew M.; Coggeshall, Megan; Dandona, Lalit; Dicker, Daniel J.; Erskine, Holly E.; Ferrari, Alize J.; Fitzmaurice, Christina; Foreman, Kyle; Forouzanfar, Mohammad H.; Fraser, Maya S.; Fullman, Nancy; Gething, Peter W.; Goldberg, Ellen M.; Graetz, Nicholas; Haagsma, Juanita A.; Hay, Simon I.; Huynh, Chantal; Johnson, Catherine O.; Kassebaum, Nicholas J.; Kinfu, Yohannes; 외. (October 2016).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459–1544. doi:10.1016/s0140-6736(16)31012-1. PMC 5388903. PMID 27733281.
- ↑ GBD 2013 Mortality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January 2015).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Lancet》 385 (9963): 117–71. doi:10.1016/S0140-6736(14)61682-2. PMC 4340604. PMID 25530442.
- ↑ Inaba I (1912). “Über den Bordet-Gengouschen Keuchhustenbacillus Übertragungsversuches des Keuchenhustens auf Tiere”. 《Z Kinderheilkd》 4: 252–264. doi:10.1007/bf02088879.
- ↑ Bachamn W, Burghard E (1925). “Der Nachweis der Bordet-Gengouschen Bacillen und ihre aetiologische Bedeutung für den Keuchenhusten”. 《Z Kinderheilkd》 39: 465–483. doi:10.1007/BF02225286.
- ↑ Shibley GS, Hoelscher H (September 1934). “Studies on whooping cough. I. Type-specific (S) and dissociation (R) forms of haemophilus pertussi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60 (4): 403–18. doi:10.1084/jem.60.4.403. PMC 2132401. PMID 19870311.
- ↑ Gustavsson OE, Röken BO, Serrander R (1990). “An epizootic of whooping cough among chimpanzees in a zoo”. 《Folia Primatologica; International Journal of Primatology》 55 (1): 45–50. doi:10.1159/000156498. PMID 2394416.
- ↑ Warfel JM, Merkel TJ (October 2014). “The baboon model of pertussis: effective use and lessons for pertussis vaccines”. 《Expert Review of Vaccines》 13 (10): 1241–52. doi:10.1586/14760584.2014.946016. PMID 25182980.
- ↑ Butynski TM et al. (eds.): Mammals of Africa vol. II: Primates, p. 51. Bloomsbury Publishing, London, 2013. ISBN 978-1-4081-2252-5
- ↑ Loomis MR (1985). 〈Immunoprofylaxis in infant great apes〉. Graham CE, Bowen JA. 《Clinical Management of Infant Great Apes》. Monographs in Primatology 5. New York: Liss. 107–112쪽.
- ↑ Top KA, Halperin SA (2017). 〈Pertussis and other Bordetella infections〉. Kasper DL, Fauci AS. 《Harrison's Infectious Diseases》 3판. New York: McGraw-Hill Education. 502–506쪽. ISBN 9781259835971.
- ↑ 가 나 다 라 Kilgore PE, Salim AM, Zervos MJ, Schmitt HJ (July 2016). “Pertussis: Microbiology, Disease, Treatment, and Prevention”. 《Clinical Microbiology Reviews》 29 (3): 449–86. doi:10.1128/CMR.00083-15. PMC 4861987. PMID 27029594.
- ↑ 가 나 Hewlett EL, Burns DL, Cotter PA, Harvill ET, Merkel TJ, Quinn CP, Stibitz ES (April 2014). “Pertussis pathogenesis--what we know and what we don't know”. 《Th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209 (7): 982–5. doi:10.1093/infdis/jit639. PMC 3952676. PMID 24626533.
- ↑ Melvin JA, Scheller EV, Miller JF, Cotter PA (April 2014). “Bordetella pertussis pathogenesis: current and future challenges”. 《Nature Reviews. Microbiology》 12 (4): 274–88. doi:10.1038/nrmicro3235. PMC 4205565. PMID 24608338.
- ↑ Cherry JD (2013). “Pertussis: challenges today and for the future”. 《PLoS Pathogens》 9 (7): e1003418. doi:10.1371/journal.ppat.1003418. PMC 3723573. PMID 23935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