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이름 Gonorrhea, Gonorrhoea, gonococcal infection, gonococcal urethritis, the clap 피부 임질 병소 발음 진료과 감염병 증상 없음, 배뇨곤란 , 질액 , 음경 으로부터의 배출물, 골반통 , 고환통 [1] 합병증 골반염 , 부고환염 , 화농성 관절염 , 심내막염 [1] [2] 병인 임균 (일반적으로 성병 을 통해)[1] 진단 방식 소변, 남성의 요도 , 여성의 자궁경부 검사[1] 예방 콘돔 , 감염되지 않은 사람하고만 성관계를 가지기, 성관계 절제[1] [3] 치료 세프트리악손 (주사), 아지트로마이신 (구강)[4] [5] 빈도 0.8% (여성), 0.6% (남성)[6]
임질 (淋疾, 痳疾, Gonorrhea)은 대표적인 성병 이다. 음질 (陰疾)로도 부른다. 보통 감염된 사람과 성교 1~2주 후에 농, 고름이 있는 소변을 보게 되며, 소변을 볼 때 따끔거리는 증상이 있다. 감염 시에 항생제 로 치료가 가능하지만 자가 치료보다는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안전하다.
보통 쌍구균, 즉 두개의 공모양으로 보이는 구균인 임질구균 (gonococcus)에 의해 전염된다.[1] 특히 여성은 이로 인해 불임이 될 수도 있다. 매독과 함께 성병의 대표적인 전염병이다. 치료는 항생제로 한다.
일부 학자들은 성경 용어로 임질을 자브(zav, 남성의 경우)와 자바(zavah, 여성의 경우)로 번역한다.[7]
수은 이 임질 치료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산 은 은 19세기에 널리 사용된 약물 가운데 하나였다. 그러나 프로타골 로 대체되었다. 아르투어 아이헨그륀 은 이러한 종류의 콜로이드 은을 발명하여 1897년 이후로 바이엘 에 의해 마케팅되고 있다. 은 기반의 치료는 최초의 항생제가 1940년대에 사용될 때까지 쓰였다.[8] [9]
갤러리 [ 편집 ]
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정부는 임질과 다른 성감염의 위험에 대하여 군인에게 경고하는 포스터를 게재하기도 하였다.
↑ 가 나 다 라 마 바 “Gonorrhea - CDC Fact Sheet (Detailed Version)” . 《CDC》. 2015년 11월 17일. 2016년 8월 27일에 확인함 .
↑ Morgan, MK; Decker, CF (August 2016). “Gonorrhea.”. 《Disease-a-month : DM》 62 (8): 260–8. doi :10.1016/j.disamonth.2016.03.009 . PMID 27107780 .
↑ Workowski, KA; Bolan, GA (2015년 6월 5일).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treatment guidelines, 2015.” . 《MMWR. Recommendations and Reports :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Recommendations and Reports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64 (RR-03): 1–137. PMC 5885289 . PMID 26042815 .
↑ “Antibiotic-Resistant Gonorrhea Basic Information” . 《CDC》. 13 June 2016. 8 September 2016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7 August 2016에 확인함 .
↑ Unemo, M (2015년 8월 21일). “Current and future antimicrobial treatment of gonorrhoea - the rapidly evolving Neisseria gonorrhoeae continues to challenge.” . 《BMC Infectious Diseases》 15 : 364. doi :10.1186/s12879-015-1029-2 . PMC 4546108 . PMID 26293005 .
↑ Newman, Lori; Rowley, Jane; Vander Hoorn, Stephen; Wijesooriya, Nalinka Saman; Unemo, Magnus; Low, Nicola; Stevens, Gretchen; Gottlieb, Sami; Kiarie, James; Temmerman, Marleen; Meng, Zhefeng (2015년 12월 8일). “Global Estimates of the Prevalence and Incidence of Four Curable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in 2012 Based on Systematic Review and Global Reporting” . 《PLOS ONE》 10 (12): e0143304. Bibcode :2015PLoSO..1043304N . doi :10.1371/journal.pone.0143304 . PMC 4672879 . PMID 26646541 .
↑ [1]
↑ Max Bender (1898). “Ueber neuere Antigonorrhoica (insbes. Argonin und Protargol)”. 《Archives of Dermatological Research》 43 (1): 31–36. doi :10.1007/BF01986890 .
↑ (영어) Neonatal Conjunctivitis - 메드라인플러스
외부 링크 [ 편집 ]
제1급 감염병(?) 제2급 감염병(?) 제3급 감염병(?) 제4급 감염병(?) 기생충감염병(?) 세계보건기구 감시대상 감염병(?) 생물 테러 감염병(?) 성매개 감염병 (?) 인수공통감염병 (?) 의료 관련 감염병(?)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