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해균
![]() | |
---|---|
![]() 백일해균의 그람 염색 사진. | |
생물 분류ℹ️ | |
역: | 세균역 |
문: | 프로테오박테리아문 |
강: | 베타프로테오박테리아강 |
목: | 버크홀데리아목 |
과: | 알칼리게나과 |
속: | 보르데텔라속 |
종: | 백일해균 |
학명 | |
Bordetella pertussis | |
(Bergey et al. 1923) Moreno-López 1952 |
백일해균(百日咳菌) 또는 보르데텔라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 또는 보르데텔라 펄투시스)은 백일해(Whooping cough 또는 pertussis)를 일으키는 작은 막대 모양의 균이다. 1906년 벨기에의 세균학자 쥘 보르데(Jules Jean Baptiste Vincent Bordet)와 프랑스의 세균학자 옥타브 겐구(Octave Gengou 또는 장구 Gengou, O.)가 함께 발견한 것으로, 공기와 침 속에 섞여 전염되는 비말감염으로 확인되었으며 그람 반응에서 염색되지 않고 운동성이 없다.
백일해[편집]
백일해는 박테리아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에 의해 발생한다. 감염된 사람의 기침과 재채기를 통해 쉽게 퍼지는 공기 매개 질병(비말 감염)이다.[1][2]
보르데텔라속[편집]
보르데텔라속(Bordetella屬)은 그람 음성의 알막대균[3] 또는 막대균으로 분류되는 한 속이다. 호흡 감염과 피부 궤사를 일으킬 수 있다.
보르데텔라백일해[편집]
보르데텔라^백일해(bordetella百日咳)는 절대 산소성의 짧은 그람 음성 막대균. 백일해균은 사람에게만 감염을 일으키며 7~10일의 잠복기 후에 경련기가 시작되어 발적과 연관된 기침이 반복적으로 일어난 뒤에 그르렁거리며 숨을 들이쉬는 백일해 기침을 일으킨다.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 ↑ “Pertussis (Whooping Cough) Causes & Transmission”. 《cdc.gov》. 2014년 9월 4일. 2015년 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12일에 확인함.
- ↑ “Pertussis”. 《WHO》. 2015년 6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23일에 확인함.
- ↑ Bailey & Scott 진단미생물학 II 14판,저자 김태운,출판사 (주)범문에듀케이션,ISBN 9791159431234 출판일 201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