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
대한민국의 국보 | |
종목 | 국보 제319호 (2015년 6월 22일 지정) |
---|---|
시대 | 조선 시대 |
소유 | 국유 |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국립중앙도서관 |
정보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
대한민국의 보물(해지) | |
종목 | 보물 제1085호 (1991년 9월 30일 지정) (2015년 6월 22일 해지) |
---|---|
정보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
《동의보감》(東醫寶鑑)은 허준(1539∼1615)이 선조의 명을 받아 중국과 한국의 한의학 서적들을 하나로 모아 발간한 백과사전으로서, 1596년(선조 29)부터 편찬하여 1610년(광해 2)에 완성된 의학서이다.[1] 당시 의학을 집대성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2]허준이 직접 간행에 관여하여 나온 동의보감의 어제본은 국립중앙도서관과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소장 중으로, 각각 국보 319호와 319-2호로 지정되었으며,[3] 2009년 7월 31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4]
대표 편찬자
[편집]1569년 6월, 부제학 유희춘은 허준을 이조판서 홍담에게 내의원 의원직 천거한다. 1590년, 광해군의 두창을 치료한 공로로 정3품 통정대부(당상관)의 작위를 받고, 1596년, 광해군의 병을 치료한 공로로 정2품 정헌대부의 작위를 받았다.
집필 과정
[편집]궁중 내의였던 허준은 1596년(선조 29) 왕명을 받아 정작(鄭碏), 이명원(李命源), 양예수(楊禮壽), 김응탁(金應鐸), 정예남(鄭禮男) 등 여러 명과 함께 편찬에 착수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1년뒤 정유재란으로 편찬이 중단, 전쟁이 끝나고 허준 혼자 편찬을 했다.
《동의보감》의 판본은 다음이 있다.
- 조선 간본은 총 7종이.[5]
- 내의원활자 초간본(초판 완질 어제본)(1613)
- 전남관찰영 간본(1648 이전)[6]
- 호남관찰영 개간본(호남관찰영 전주장본 1711)
- 기해 내의원교정 영영개간본(영남관찰영 대구장본 1779)
- 갑술 내의원교정 영영개간본(1814)
- 갑술 내의원교정 완영중간본(1814)
- 갑술완영중간본의 번각본(19세기 중후반)
- 중국 간본
- 《동의보감》 초간본(1763)
- 재간본(1796, 江寧, 敦化堂)
- 광서번각본(1890) — 일본판을 저본으로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민국상해석인본,
- 대만영인본
- 일본 간본 — 일본 에도시대(江戶時代)에 의가(醫家)들 반드시 읽어야 할 방서로서 널리 전파되었다.
- 《동의보감》 초간본(梱井藤兵衛, 京都書林, 1724)
- 《동의보감》(1799)
- 《원원통》 훈점 재간본(大阪書林, 1799)
현재 규장각, 장서각,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으며, 1986년에 태학사에서 1613년의 활자본 및 그 이후의 중간본을 탕액편만 모아 영인한 적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소장 중인 동의보감 어제본은 2009년 7월 31일 그 가치를 인정받아 바베이도스의 수도 브리지타운에서 열린 유네스코 제9차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에 의해 대한민국의 7번째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7] 이는 동양의학서적으로는 최초이며 한편 동의보감에서는 한국의 의학서적뿐만 아니라 체계적으로 신병(身病)에 관해서 동양의 주요 의학서적들을 검증하여 언급하고 있는 점이 높이 평가된다.
번역본
[편집]한국학 중앙연구원에는 궁중에서 쓰던 19세기에 번역된 한글본을 소장하고 있는데 이것은 궁체풍의 반흘림체로 풀어 쓴 것이다. 현재 전하는 조선시대의 유일한 한글 번역본이다. '내경' 편의 1·3·5권만 남아 있다. 1권 앞부분에 전체 25권의 목차가 실려 있다.[8]
내용
[편집]내용은 내과학인 내경편(內景篇), 외과학인 외형편(外形篇), 잡병편, 약방 관계의 탕액편(湯液篇), 침구편 등으로 되어 있으며, 각 편마다 여러 항목이 있고, 각 항목마다 소제목들과 단방(單方), 침구법(針灸法)이 있다. 전체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다.
총론
- 총론
- 인용서
- 동의수서보감과 비교
- 천지운기
- 심병(진찰)
- 변증
- 진맥
- 용약
내경편(内景篇)(전4권)
- 1권: 신형(身形), 정(精), 기(氣), 신(神)
- 2권: 혈(血), 몽(夢), 성음(聲音), 언어(言語), 진액(津液), 담음(痰飲)
- 3권: 오장육부(五臟六腑), 간장(肝臟), 심장(心臟), 비장(脾臟), 폐장(肺臟), 신장(腎臟), 담부(膽腑), 위부(胃腑), 소장부(小腸腑), 대장부(大腸腑), 방광부(膀胱腑), 삼초부(三焦腑), 포(胞), 충(蟲)
- 4권: 소변(小便), 대변(大便)
외형편(外形篇) (전4권)
- 1권: 두(頭), 면(面), 안(眼)
- 2권: 이(耳), 비(鼻), 구설(口舌), 치아(齒牙), 인후(咽喉), 경항(頸項), 배(背)
- 3권: 흉(胸), 유(乳), 복(腹), 제(臍), 요(腰), 협(脇), 피(皮), 육(肉), 맥(脈), 근(筋), 골(骨)
- 4권: 수(手), 족(足), 모발(毛髮), 전음(前陰), 후음(後陰)
잡병(雜病編) (전11권)
- 1권: 천지운기(天地運氣), 심병(審病), 변증(辨證), 진맥(診脈), 용약(用藥), 토(吐), 한(汗), 하(下)[9]
- 2권: 풍(風), 한상(寒上)[10]
- 3권: 한하(寒下)[10], 서(暑), 습(濕), 조(燥), 화(火)
- 4권: 내상(內傷), 허로(虛勞)
- 5권: 곽란(霍亂), 구토(嘔吐), 해수(咳嗽)
- 6권: 적취(積聚), 부종(浮腫), 창만(脹滿), 소갈(消渇), 황달(黃疸)
- 7권: 학질(瘧疾), 온역(瘟疫), 사수(邪祟), 옹저상(癰疽上)[10]
- 8권: 옹저하(癰疽下)[10], 제창(諸瘡)
- 9권: 제상(諸傷), 해독(解毒), 구급(救急), 괴질(怪疾), 잡방(雜方)
- 10권: 부인(婦人)
- 11권: 소아(小兒)
탕액편(湯液編) (전3권)
- 1권: 탕액서례(湯液序例), 수부(水部), 토부(土部), 곡부(穀部), 인부(人部), 금부(禽部), 수부(獸部)
- 2권: 어부(魚部), 충부(蟲部), 과부(果部), 채부(菜部), 초부상(草部上)[10]
- 3권: 초부하(草部下)[10], 목부(木部), 옥부(玉部), 석부(石部), 금부(金部)
침구편(鍼灸編) (전1권)
- 1권: 침구(鍼灸, 침과 뜸)
동의보감의 특징
[편집]《동의보감》은 내용이 매우 체계적으로 잘 짜여져 있고, 각 병마다 처방을 풀이한 체제로 되어 있어 활용하기에 편하여서, 조선뿐만 아니라 일본과 중국에서도 여러 번 출판되었다.
《동의보감》의 특징은 본문이 거의 대부분 인용문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11] 각 소제목별 본문은 편저자가 직접 기술한 내용이 아니라, 당시 사용하던 여러 서적에서 인용한 것이다. 총 25권의 책에 실린 모든 본문에 대해 인용 출처를 밝혔고, 이러한 인용을 자신이 편집한 맥락에 맞추어 재해석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인정된다. 180여권이 넘는 의학서적이 인용되었으며, 여기에 도가, 역사, 유교, 불가 서적 등 더해져 총 200여권의 책이 인용되었다.[12] 이것은 당시 다양한 관점의 의학 저서를 하나의 관점에서 통합·정리한 것으로, 당시 의학을 집대성했다는 평가를 받는 동시에 중국 의서의 짜깁기라는 비판을 동시에 받는다.[13]
동의보감은 조선의 의서인 《의방유취》와 《향약집성방》을 비롯해, 본초강목 등 중국의 의서 86종과 민간에 내려오던 요법까지 포함하고 있다. 19세기까지 서양에선 등장하지 않았던 '국민의 보건의료에 대한 책무가 국가에 있다.'는 근대적 이념을 형성하고 있다. 실용성을 중요하게 여겨 쉽게 구할 수 있는 약물재료를 바탕으로 병이 생기기 전에 치료한다는 `양생`의 개념을 적극 제시하고 있다.[14]
문화재 지정
[편집]같이 보기
[편집]- 동의보감언해
- 한의학
- 허준
- 대한민국의 세계유산
- 언해구급방
- 메드라인플러스 - 오늘날의 동의보감에 해당하는, 일반인을 위한 세계 최대 의학정보 데이터베이스
- 약보(藥補)
- 식보(食補)
- 행보(行補)
각주
[편집]- ↑ “동의보감 (東醫寶鑑)”. 국가문화유산포털. 2020년 9월 21일에 확인함.
- ↑ 임동욱 (2013년 8월 7일). “동의보감, 400년 동안 찬사 받는 이유”. 한겨레. 2020년 9월 21일에 확인함.
- ↑ 각각 오대산 사고본, 적상산 사고본이다. 그리고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것도 있는데, 이는 태백산 사고본으로, 2008년 8월 28일에 보물 1085-3호로 지정했다가, 2015년 6월 22일에 보물 지정을 해제하고, 국보 319-3호로 지정했다.
- ↑ 신규범 (2009년 7월 31일). “동의보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 최종 승인 -”. 보건복지부. 2020년 9월 21일에 확인함.
- ↑ 박훈평 17-18세기 조선 간행 『동의보감』 목판본에 대한 서지학적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8권 1호 (2015년) 25-37쪽 UCI G704-SER000008932.2015.28.1.002[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동의보감 첫 목판본 ‘전남관찰영간본’ 후쇄본 실물 발견 - 민족의학신문 2015-06-10
- ↑ 동의보감 마침내 세계기록유산되다 - 부산일보 2009-07-31
- ↑ 노형석, 동의보감 19세기 한글번역본 공개 한겨레신문
- ↑ 약물을 써 설사시키는 치료법
- ↑ 가 나 다 라 마 바 제본 편집상 상편과 하편으로 나뉜 것.
- ↑ “1460. 동의보감은 표절서가 아니라 뛰어난 학술서”. 우리문화신문. 2008년 12월 9일.
- ↑ 안상우 (2008년 12월 31일). 《동의보감 쉽게 읽기(HOW TO READ DONGUIBOGAM EASILY)》.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 ↑ “[1]동의보감 과연 세계적 의학 가치 있는가?”. 메디팜뉴스. 2009년 8월 16일.
- ↑ 백성의 건강은 국가책임 매일경제 2009년 7월 31일자
참고 자료
[편집]- 한권으로 읽는 동의보감, 1999, 김남일외, 들녘
-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양반관료의 문화〉"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본 문서에는 서울특별시에서 지식공유 프로젝트를 통해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한 저작물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박훈평, 17-18세기 조선 간행 동의보감 목판본에 대한 서지학적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