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감수경 권3~4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용감수경 권3~4
(龍龕手鏡 卷三~四)
(Yonggam sugyeong (The Handy Mirror in the Dragon Shrine), Volumes 3 and 4)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국보
종목국보 제291호
(1997년 1월 1일 지정)
수량1점
시대고려시대
소유고려대학교
주소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중앙도서관 (안암동5가,고려대학교안암캠퍼스(인문사회계))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용감수경<제3권,4권>
(龍龕手鏡<第三卷,四卷>)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해지)
종목보물 제130호
(1963년 1월 21일 지정)
(1997년 1월 1일 해지)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용감수경 권3~4(龍龕手鏡 卷三~四)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고려대학교에 있는, 중국 요나라 성종 15년(997)에 행균스님이 편찬한 한자의 자전이다.

1997년 1월 1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291호 용감수경(龍龕手鏡)으로 지정되었다가, 2010년 8월 25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1]

개요[편집]

이 책은 재래 중국의 자전과 달리 부수 별로 먼저 배열하고, 또 같은 각수 안에서는 운(韻)별로 배열하여 여러 가지를 병용하는 방법을 취하였고, 정자 이외의 속자까지도 전부 망라하여 해설을 붙인 것이다. 이 책을 언제 중간했는지는 알 수 없으며, 단지 나주에서 권득령의 책임 하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의 원형인 『용감수경』은 중국에서는 벌써 없어지고 남송 때에 와서 『용감수감』으로 이름이 바뀌어 나왔으므로, 요나라 때의 원판본은 일찍부터 전해지지 않는다. 금강산 유점사에서 발견된 『용감수경』권1과 최남선의 장서 가운데에서 발견된 권3 및 권4가 있었는데, 이 책의 원본은 고려시대에 다시 새긴 본으로 짐작된다. 결국 국보 제291호는 『용감수경』의 원형으로 세상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본이라고 할 수 있어 1996년 11월 28일 보물 제130호에서 등급이 조정되었다.

본자가 26,430여 자이며, 주가 163,170자에 달하여 자전으로서 매우 귀중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요나라의 음운 연구에는 유일하므로 자료로서의 가치가 대단히 높게 평가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문화재청고시제2010-89호(국가지정문화재 보물지정), 제17328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10. 8. 25. / 63 페이지 / 1.2MB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