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음각 연꽃 넝쿨 무늬 매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靑磁 陰刻蓮花唐草紋 梅甁)
(Celadon Prunus Vase with Incised Lotus and Scroll Desig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국보
종목국보 제97호
(1962년 12월 20일 지정)
수량1개
시대고려 시대
소유국유
주소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靑磁 陰刻 蓮花唐草紋 梅甁)은 연꽃과 덩굴무늬를 음각으로 넣은, 고려청자 매병[주해 1]이다.

특징[편집]

각진 입 부분과 어깨에서부터 벌어져 풍만하면서도 유려한 곡선을 보여주는 동체로 이루어져 훤칠한 맛이 나는, 잘생긴 매병이다. 몸체 전면에 비스듬히 깎은 비교적 굵은 선으로 음각된 연화당초문이 대범하게 장식되었으며, 굽 둘레에는 간결한 뇌문대가 돌려 있다. 유색은 담녹청색으로 맑고 빛깔의 깊이가 있으며, 은은한 광택이 나 있다. 그물모양의 유빙렬[주해 2]이 성기게 나있다. 원래 이 매병은 중국 송대의 매병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으며, 고려 중기에 전래된 이후 세련되기 시작하여 고려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이루어내게 된 것이다. 12세기 후반 강진 사당리 가마에서 제작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대표적인 작품의 하나이다.

주해[편집]

  1. 매병이란 병의 아가리가 좁고 몸의 어깨는 넓으며 아래로 갈수록 홀쭉해지는 병을 말한다.
  2. 유빙렬(釉氷裂)은 도자기를 가마에서 꺼낸 뒤에 유약이 식으면서 간 금을 이르는 말이다.

참고 자료[편집]

본 문서에는 서울특별시에서 지식공유 프로젝트를 통해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한 저작물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