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론 에서 결합 도식 (結合圖式, 영어 : association scheme 어소시에이션 스킴[* ] ) 또는 일관 구조 (一貫構造, 영어 : coherent configuration )는 어떤 특별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일련의 이항 관계 들이 주어진 유한 집합 이며, 변 색칠 이 주어진 완전 그래프 로도 간주될 수 있다.[ 1] [ 2] [ 3] [ 4] 주어진 결합 도식으로부터 그 구조를 나타내는 결합 대수 인 보스-메스너 대수 (बसु-Mesner代數, 영어 : Bose–Mesner algebra )가 존재한다.
결합 도식의 개념은 여러 가지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 정의들은 모두 서로 동치 이다.
결합 도식
(
X
,
R
)
{\displaystyle (X,{\mathcal {R}})}
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3] :2479, Definition 1 [ 1] :1, §1.1
유한 집합
X
{\displaystyle X}
X
×
X
{\displaystyle X\times X}
의,
n
+
1
{\displaystyle n+1}
개의 부분 집합 들
R
{\displaystyle {\mathcal {R}}}
,
|
R
|
=
n
+
1
{\displaystyle |{\mathcal {R}}|=n+1}
이는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
R
{\displaystyle {\mathcal {R}}}
는
X
×
X
{\displaystyle X\times X}
의 분할 을 이룬다. 즉,
R
,
R
′
∈
R
{\displaystyle R,R'\in {\mathcal {R}}}
이며
R
≠
R
′
{\displaystyle R\neq R'}
이라면
R
∩
R
′
=
∅
{\displaystyle R\cap R'=\varnothing }
이며, 또한
⋃
R
=
X
×
X
{\displaystyle \textstyle \bigcup {\mathcal {R}}=X\times X}
이다.
㉡
{
(
x
,
x
)
:
x
∈
X
}
=
⋃
R
′
{\displaystyle \textstyle \{(x,x)\colon x\in X\}=\bigcup {\mathcal {R}}'}
인 부분 집합
R
′
⊆
R
{\displaystyle {\mathcal {R}}'\subseteq {\mathcal {R}}}
가 존재한다.
㉢
∅
∉
R
{\displaystyle \varnothing \not \in {\mathcal {R}}}
㉣ 임의의
R
∈
R
{\displaystyle R\in {\mathcal {R}}}
에 대하여,
R
op
∈
R
{\displaystyle R^{\operatorname {op} }\in {\mathcal {R}}}
㉤ 임의의
R
,
R
′
,
R
″
∈
R
{\displaystyle R,R',R''\in {\mathcal {R}}}
및
(
x
,
y
)
∈
R
{\displaystyle (x,y)\in R}
에 대하여,
|
{
z
∈
X
:
x
∼
R
′
y
∼
R
″
z
}
|
∈
N
{\displaystyle |\{z\in X\colon x\sim _{R'}y\sim _{R''}z\}|\in \mathbb {N} }
는
(
x
,
y
)
{\displaystyle (x,y)}
에 의존하지 않는다.
여기서
R
∈
R
{\displaystyle R\in {\mathcal {R}}}
에 대하여,
x
∼
R
y
{\displaystyle x\sim _{R}y}
는
(
x
,
y
)
∈
R
{\displaystyle (x,y)\in R}
를 뜻한다.
R
op
=
{
(
y
,
x
)
:
(
x
,
y
)
∈
R
}
{\displaystyle R^{\operatorname {op} }=\{(y,x)\colon (x,y)\in R\}}
는
R
{\displaystyle R}
의 반대 이항 관계 이다.
흔히,
R
{\displaystyle {\mathcal {R}}}
의 원소는
(
R
0
,
R
1
,
…
,
R
n
)
{\displaystyle (R_{0},R_{1},\dotsc ,R_{n})}
으로 표기되며, 이 경우
R
0
=
{
(
x
,
x
)
:
x
∈
X
}
{\displaystyle R_{0}=\{(x,x)\colon x\in X\}}
이다. 또한,
p
i
j
k
=
|
{
z
∈
X
:
x
∼
i
y
∼
j
z
}
|
(
x
∼
k
y
)
{\displaystyle p_{ij}^{k}=|\{z\in X\colon x\sim _{i}y\sim _{j}z\}|\qquad (x\sim _{k}y)}
는 결합 도식의 구조 상수 (構造常數, 영어 : structure constant )라고 한다.
결합 도식
(
X
,
n
,
A
)
{\displaystyle (X,n,{\mathcal {A}})}
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1] :13–14, §1.3
유한 집합
X
=
{
0
,
1
,
…
,
q
−
1
}
{\displaystyle X=\{0,1,\dotsc ,q-1\}}
자연수
n
{\displaystyle n}
n
{\displaystyle n}
개의, 모든 성분이 0 또는 1인
q
×
q
{\displaystyle q\times q}
정사각 행렬 들의 족
A
=
{
A
0
,
A
1
,
…
,
A
n
}
{\displaystyle {\mathcal {A}}=\{A_{0},A_{1},\dotsc ,A_{n}\}}
.
이는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
∑
i
=
0
n
A
i
{\displaystyle \textstyle \sum _{i=0}^{n}A_{i}}
는 모든 성분이 1인
k
×
k
{\displaystyle k\times k}
정사각 행렬 이다.
㉡
1
k
×
k
=
∑
A
′
{\displaystyle \textstyle 1_{k\times k}=\sum {\mathcal {A}}'}
인
A
′
⊆
A
{\displaystyle {\mathcal {A}}'\subseteq {\mathcal {A}}}
가 존재한다.
㉢
0
k
×
k
∉
A
{\displaystyle 0_{k\times k}\not \in {\mathcal {A}}}
.
㉣ 임의의
A
∈
A
{\displaystyle A\in {\mathcal {A}}}
에 대하여,
A
⊤
∈
A
{\displaystyle A^{\top }\in {\mathcal {A}}}
㉤ 임의의
A
i
,
A
j
∈
A
{\displaystyle A_{i},A_{j}\in {\mathcal {A}}}
에 대하여, 그 곱
A
i
A
j
{\displaystyle A_{i}A_{j}}
는
A
{\displaystyle {\mathcal {A}}}
의 원소들의 자연수 계수 선형 결합 이다. 즉, 각
0
≤
i
,
j
,
k
≤
k
{\displaystyle 0\leq i,j,k\leq k}
에 대하여,
A
i
A
j
=
∑
k
=
0
n
p
i
j
k
A
k
{\displaystyle \textstyle A_{i}A_{j}=\sum _{k=0}^{n}p_{ij}^{k}A_{k}}
인 자연수
p
i
j
k
{\displaystyle p_{ij}^{k}}
가 존재한다.
이 두 정의는 서로 동치 이다. 즉, 두 정의 사이를 번역하려면, 각 이항 관계
∼
i
{\displaystyle \sim _{i}}
를 대신 정사각 행렬
(
A
i
)
x
,
y
=
x
∼
i
y
(
x
,
y
∈
X
)
{\displaystyle (A_{i})_{x,y}=x\sim _{i}y\qquad (x,y\in X)}
로 치환하면 된다.
결합 도식의 개념은 거리 공간 과 유사하게 정의될 수도 있다.[ 3] :2479, §Ⅱ.A
결합 도식
(
X
,
D
,
∂
)
{\displaystyle (X,D,\partial )}
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유한 집합
X
{\displaystyle X}
유한 집합
D
{\displaystyle D}
함수
∂
:
X
×
X
→
D
{\displaystyle \partial \colon X\times X\to D}
. 이는 거리 함수 (距離函數, 영어 : distance )라고 한다.
이는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 임의의
x
,
y
,
z
∈
X
{\displaystyle x,y,z\in X}
에 대하여, 만약
∂
(
x
,
x
)
=
∂
(
y
,
z
)
{\displaystyle \partial (x,x)=\partial (y,z)}
라면,
y
=
z
{\displaystyle y=z}
이다.
㉢
∂
{\displaystyle \partial }
은 전사 함수 이다.
㉣ 임의의
x
,
y
,
x
′
,
y
′
∈
X
{\displaystyle x,y,x',y'\in X}
에 대하여,
∂
(
x
,
y
)
=
∂
(
x
′
,
y
′
)
{\displaystyle \partial (x,y)=\partial (x',y')}
라면
∂
(
y
,
x
)
=
∂
(
y
′
,
x
′
)
{\displaystyle \partial (y,x)=\partial (y',x')}
㉤ 임의의
x
,
y
,
x
′
,
y
′
∈
X
{\displaystyle x,y,x',y'\in X}
에 대하여, 만약
∂
(
x
,
y
)
=
∂
(
x
′
,
y
′
)
{\displaystyle \partial (x,y)=\partial (x',y')}
라면,
∀
z
∈
X
:
∂
(
x
,
z
)
=
∂
(
x
′
,
f
(
z
)
)
{\displaystyle \forall z\in X\colon \partial (x,z)=\partial (x',f(z))}
이자
∀
z
∈
X
:
∂
(
z
,
y
)
=
∂
(
f
(
z
)
,
y
′
)
{\displaystyle \forall z\in X\colon \partial (z,y)=\partial (f(z),y')}
가 되는 전단사 함수
f
:
X
→
X
{\displaystyle f\colon X\to X}
가 존재한다.
이 정의 역시 나머지 두 정의와 서로 동치이다. 즉, 각
α
∈
D
{\displaystyle \alpha \in D}
에 대하여 이항 관계
x
∼
α
y
⟺
∂
(
x
,
y
)
=
α
{\displaystyle x\sim _{\alpha }y\iff \partial (x,y)=\alpha }
를 대응시키면 된다.
같은 집합
X
{\displaystyle X}
위의 두 결합 도식
(
X
,
R
)
{\displaystyle (X,{\mathcal {R}})}
및
(
X
,
R
′
)
{\displaystyle (X,{\mathcal {R}}')}
에 대하여, 만약
R
⊆
R
′
{\displaystyle {\mathcal {R}}\subseteq {\mathcal {R}}'}
이라면,
(
X
,
R
)
{\displaystyle (X,{\mathcal {R}})}
를
(
X
,
R
′
)
{\displaystyle (X,{\mathcal {R}}')}
의 부분 결합 도식 (部分結合圖式, 영어 : subscheme )이라고 한다.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유한 집합
X
{\displaystyle X}
위의 결합 도식
(
X
,
R
)
{\displaystyle (X,{\mathcal {R}})}
유한 집합
X
′
{\displaystyle X'}
위의 결합 도식
(
X
′
,
R
′
)
{\displaystyle (X',{\mathcal {R}}')}
그렇다면, 결합 도식 사상 (영어 : morphism of association schemes )
(
f
,
g
)
:
(
X
,
R
)
→
(
X
′
,
R
′
)
{\displaystyle (f,g)\colon (X,{\mathcal {R}})\to (X',{\mathcal {R}}')}
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다.[ 2] :83, Chapter 5
함수
f
:
X
→
X
′
{\displaystyle f\colon X\to X'}
함수
g
:
R
→
R
′
{\displaystyle g\colon {\mathcal {R}}\to {\mathcal {R}}'}
이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임의의
x
,
y
∈
X
{\displaystyle x,y\in X}
및
R
∈
R
{\displaystyle R\in {\mathcal {R}}}
에 대하여, 만약
x
∼
R
y
{\displaystyle x\sim _{R}y}
라면,
f
(
x
)
∼
g
(
R
)
f
(
y
)
{\displaystyle f(x)\sim _{g(R)}f(y)}
이다.
이는 사실 이항 관계 가 주어진 구조 사이의 준동형 의 특수한 경우이다.
결합 도식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 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결합 도식을 대칭 결합 도식 (對稱結合圖式, 영어 : symmetric association scheme )이라고 한다.[ 3] :2479, §II.A
조합론적 정의
(
X
,
R
)
{\displaystyle (X,{\mathcal {R}})}
에서,
R
{\displaystyle {\mathcal {R}}}
의 모든 원소는 대칭 관계 이다. 즉, 만약
R
∈
R
{\displaystyle R\in {\mathcal {R}}}
라면,
R
=
R
op
{\displaystyle R=R^{\operatorname {op} }}
이다.
행렬을 통한 정의
(
X
,
A
)
{\displaystyle (X,{\mathcal {A}})}
에서, 모든
A
∈
A
{\displaystyle A\in {\mathcal {A}}}
는 대칭 행렬 이다.
기하학적 정의
(
X
,
∂
)
{\displaystyle (X,\partial )}
에서, 임의의
x
,
y
∈
X
{\displaystyle x,y\in X}
에 대하여
∂
(
x
,
y
)
=
∂
(
y
,
x
)
{\displaystyle \partial (x,y)=\partial (y,x)}
이다.
결합 도식
(
X
,
R
)
{\displaystyle (X,{\mathcal {R}})}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결합 도식을 가환 결합 도식 (可換結合圖式,영어 : commutative association scheme )이라고 한다.
그 보스-메스너 대수가 가환환 이다.
조합론적 정의에서, 임의의
R
,
R
′
,
R
″
∈
R
{\displaystyle R,R',R''\in {\mathcal {R}}}
및
(
x
,
y
)
∈
R
{\displaystyle (x,y)\in R}
에 대하여,
|
{
z
∈
X
:
x
∼
R
′
z
∼
R
″
y
}
|
=
|
{
z
∈
X
:
x
∼
R
″
z
∼
R
′
y
}
|
{\displaystyle |\{z\in X\colon x\sim _{R'}z\sim _{R''}y\}|=|\{z\in X\colon x\sim _{R''}z\sim _{R'}y\}|}
행렬을 통한 정의
(
X
,
A
)
{\displaystyle (X,{\mathcal {A}})}
에서, 임의의
A
,
B
∈
A
{\displaystyle A,B\in {\mathcal {A}}}
에 대하여
A
B
=
B
A
{\displaystyle AB=BA}
이다.
기하학적 정의
(
X
,
∂
)
{\displaystyle (X,\partial )}
에서, 임의의
x
,
y
∈
X
{\displaystyle x,y\in X}
에 대하여,
∀
z
∈
X
:
(
∂
(
x
,
z
)
,
∂
(
z
,
y
)
)
=
(
∂
(
y
,
f
(
z
)
)
,
∂
(
f
(
z
)
,
x
)
)
{\displaystyle \forall z\in X\colon (\partial (x,z),\partial (z,y))=(\partial (y,f(z)),\partial (f(z),x))}
가 되는 자기 전단사 함수
f
:
X
→
X
{\displaystyle f\colon X\to X}
가 존재한다.
결합 도식
(
X
,
R
)
{\displaystyle (X,{\mathcal {R}})}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균등 결합 도식 (均等結合圖式, 영어 : homogeneous association scheme )이라고 한다.
조합론적 정의
(
X
,
R
)
{\displaystyle (X,{\mathcal {R}})}
에서,
{
(
x
,
x
)
:
x
∈
X
}
∈
R
{\displaystyle \{(x,x)\colon x\in X\}\in {\mathcal {R}}}
이다.
행렬을 통한 정의
(
X
,
A
)
{\displaystyle (X,{\mathcal {A}})}
에서,
1
|
X
|
×
|
X
|
∈
A
{\displaystyle 1_{|X|\times |X|}\in {\mathcal {A}}}
이다.
기하학적 정의
(
X
,
∂
)
{\displaystyle (X,\partial )}
에서,
∀
x
,
y
∈
X
:
∂
(
x
,
x
)
=
∂
(
y
,
y
)
{\displaystyle \forall x,y\in X\colon \partial (x,x)=\partial (y,y)}
이다.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대칭 결합 도식 ⊊ 가환 결합 도식 ⊊ 균등 결합 도식 ⊊ 결합 도식
결합 도식
(
X
,
∂
)
{\displaystyle (X,\partial )}
이 주어졌을 때,
X
{\displaystyle X}
위에 다음과 같은 동치 관계 를 정의할 수 있다.
x
≈
y
⟺
∂
(
x
,
x
)
=
∂
(
y
,
y
)
{\displaystyle x\approx y\iff \partial (x,x)=\partial (y,y)}
이 동치 관계에 대한 동치류를
X
{\displaystyle X}
의 올 (영어 : fibre )이라고 하자. 올들로 구성된 집합의 분할 을
(
X
α
)
α
∈
I
{\displaystyle (X_{\alpha })_{\alpha \in I}}
로 표기할 때, 다음이 성립한다.
∀
R
∈
R
∃
α
,
β
∈
I
:
R
⊆
X
α
×
X
β
{\displaystyle \forall R\in {\mathcal {R}}\exists \alpha ,\beta \in I\colon R\subseteq X_{\alpha }\times X_{\beta }}
증명:
임의의
x
,
y
,
y
′
∈
X
{\displaystyle x,y,y'\in X}
가 주어졌으며, 귀류법 을 사용하여
∂
(
x
,
y
)
=
∂
(
x
,
y
′
)
{\displaystyle \partial (x,y)=\partial (x,y')}
∂
(
y
,
y
)
≠
∂
(
y
′
,
y
′
)
{\displaystyle \partial (y,y)\neq \partial (y',y')}
이라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
z
∈
X
:
∂
(
x
,
z
)
=
∂
(
x
,
y
)
,
∂
(
z
,
y
)
=
∂
(
y
,
y
)
}
=
{
y
}
{\displaystyle \{z\in X\colon \partial (x,z)=\partial (x,y),\;\partial (z,y)=\partial (y,y)\}=\{y\}}
{
z
∈
X
:
∂
(
x
,
z
)
=
∂
(
x
,
y
)
,
∂
(
z
,
y
′
)
=
∂
(
y
,
y
)
}
=
∅
{\displaystyle \{z\in X\colon \partial (x,z)=\partial (x,y),\;\partial (z,y')=\partial (y,y)\}=\varnothing }
이므로, 이는 결합 도식의 정의와 모순된다.
이에 따라, 결합 도식
(
X
,
∂
)
{\displaystyle (X,\partial )}
의 임의의 올
X
i
{\displaystyle X_{i}}
이 주어졌을 때,
(
X
i
,
∂
↾
X
i
2
)
{\displaystyle (X_{i},\partial \upharpoonright X_{i}^{2})}
는 균등 결합 도식을 이룬다.
유한 개의 결합 도식
(
X
i
,
R
i
)
i
∈
I
{\displaystyle (X_{i},{\mathcal {R}}_{i})_{i\in I}}
|
I
|
<
ℵ
0
{\displaystyle |I|<\aleph _{0}}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곱집합
X
=
∏
i
∈
I
X
i
{\displaystyle X=\prod _{i\in I}X_{i}}
위에 이항 관계
R
=
∏
i
∈
I
R
i
{\displaystyle {\mathcal {R}}=\prod _{i\in I}{\mathcal {R}}_{i}}
(
x
i
)
i
∈
I
∼
(
R
i
)
i
∈
I
(
y
i
)
i
∈
I
⟺
∀
i
∈
I
:
x
i
∼
R
i
y
i
{\displaystyle (x_{i})_{i\in I}\sim _{(R_{i})_{i\in I}}(y_{i})_{i\in I}\iff \forall i\in I\colon x_{i}\sim _{R_{i}}y_{i}}
를 줄 수 있다. 그렇다면,
(
X
,
R
)
{\displaystyle (X,{\mathcal {R}})}
는 결합 도식을 이루며, 이를
(
X
i
,
R
i
)
i
∈
I
{\displaystyle (X_{i},{\mathcal {R}}_{i})_{i\in I}}
의 직접곱 (直接곱, 영어 : direct product )이라고 한다.[ 2] :140, Chapter 7
이는 군 의 직접곱 의 개념의 일반화이다.
임의의 결합 도식
X
{\displaystyle X}
의 구조 상수들
(
p
i
j
k
)
1
≤
i
,
j
,
k
≤
n
{\displaystyle (p_{ij}^{k})_{1\leq i,j,k\leq n}}
은 다음을 만족시킨다.
∑
i
,
j
,
k
=
0
n
p
i
j
k
|
R
k
|
=
|
X
|
3
{\displaystyle \sum _{i,j,k=0}^{n}p_{ij}^{k}|R_{k}|=|X|^{3}}
만약
R
i
op
=
R
ı
¯
{\displaystyle R_{i}^{\operatorname {op} }=R_{\bar {\imath }}}
R
j
op
=
R
ȷ
¯
{\displaystyle R_{j}^{\operatorname {op} }=R_{\bar {\jmath }}}
R
k
op
=
R
k
¯
{\displaystyle R_{k}^{\operatorname {op} }=R_{\bar {k}}}
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p
j
k
i
=
p
k
¯
ȷ
¯
ı
¯
{\displaystyle p_{jk}^{i}=p_{{\bar {k}}{\bar {\jmath }}}^{\bar {\imath }}}
균등 결합 도식
(
X
,
R
)
{\displaystyle (X,{\mathcal {R}})}
의 구조 상수들
(
p
i
j
k
)
1
≤
i
,
j
,
k
≤
n
{\displaystyle (p_{ij}^{k})_{1\leq i,j,k\leq n}}
은 다음을 만족시킨다.[ 1] :26, Exercise 1.1(a)
p
0
i
j
=
p
i
0
j
=
δ
i
j
{\displaystyle p_{0i}^{j}=p_{i0}^{j}=\delta _{i}^{j}}
p
i
j
0
=
p
ȷ
¯
ı
¯
0
=
δ
j
ı
¯
p
i
ı
¯
0
{\displaystyle p_{ij}^{0}=p_{{\bar {\jmath }}{\bar {\imath }}}^{0}=\delta _{j}^{\bar {\imath }}p_{i{\bar {\imath }}}^{0}}
∑
i
,
j
=
0
n
p
i
j
0
=
∑
i
=
0
n
p
i
ı
¯
0
=
|
X
|
{\displaystyle \sum _{i,j=0}^{n}p_{ij}^{0}=\sum _{i=0}^{n}p_{i{\bar {\imath }}}^{0}=|X|}
(여기서
δ
i
j
{\displaystyle \delta _{i}^{j}}
는 크로네커 델타 이다.)
대칭 결합 도식
(
X
,
R
)
{\displaystyle (X,{\mathcal {R}})}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X
{\displaystyle X}
의 원소를 꼭짓점들로 하는 완전 그래프
K
X
{\displaystyle K_{X}}
위에,
R
∖
{
R
0
}
{\displaystyle {\mathcal {R}}\setminus \{R_{0}\}}
의 원소를 색으로 하는 변 색칠
c
:
E
(
K
X
)
→
R
∖
{
R
0
}
{\displaystyle c\colon \operatorname {E} (K_{X})\to {\mathcal {R}}\setminus \{R_{0}\}}
을 정의할 수 있다.
c
:
(
x
,
y
)
↦
R
⟺
(
x
,
y
)
∈
R
(
R
∈
R
,
R
≠
R
0
)
{\displaystyle c\colon (x,y)\mapsto R\iff (x,y)\in R\qquad (R\in {\mathcal {R}},\;R\neq R_{0})}
이에 따라, 대칭 결합 도식은 특별한 변 색칠 이 주어진 유한 완전 그래프 로 여겨질 수 있다.[ 1] :7–8, §1.2
(행렬을 통한 정의의) 결합 도식
(
X
,
A
)
{\displaystyle (X,{\mathcal {A}})}
이 주어졌을 때,
A
{\displaystyle {\mathcal {A}}}
의 선형 생성
Span
Z
A
⊆
Mat
(
|
X
|
,
|
X
|
;
Z
)
{\displaystyle \operatorname {Span} _{\mathbb {Z} }{\mathcal {A}}\subseteq \operatorname {Mat} (|X|,|X|;\mathbb {Z} )}
은 정수 계수 결합 대수 를 이룬다. 이를
X
{\displaystyle X}
에 대응하는 보스-메스너 대수 라고 한다 (흔히, 정수 계수 대신 실수나 복소수 계수가 사용된다).[ 3] :2480, Definition 2
에르미트 수반 에 대하여 닫혀 있는 복소수 행렬 결합 대수 이므로, 복소수 계수 보스-메스너 대수는 항상 반단순 대수 이다.
아르틴-웨더번 정리 에 따라서, 복소수 계수 보스-메스너 계수는 다음과 같은 꼴로 유일하게 표현된다.
∏
a
=
1
k
Mat
(
m
a
,
m
a
;
C
)
{\displaystyle \prod _{a=1}^{k}\operatorname {Mat} (m_{a},m_{a};\mathbb {C} )}
이에 따라, 위 분해에 등장하는 멱등원
E
a
=
(
0
,
0
,
…
,
0
,
1
m
a
×
m
a
,
0
,
…
,
0
)
{\displaystyle E_{a}=(0,0,\dotsc ,0,1_{m_{a}\times m_{a}},0,\dotsc ,0)}
들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들은
E
a
E
b
=
δ
a
b
E
a
(
a
,
b
∈
{
0
,
…
,
k
}
)
{\displaystyle E_{a}E_{b}=\delta _{ab}E_{a}\qquad (a,b\in \{0,\dotsc ,k\})}
를 만족시킨다 (
δ
a
b
{\displaystyle \delta _{ab}}
는 크로네커 델타 ). 또한, 편의상
E
0
=
1
|
X
|
J
|
X
|
×
|
X
|
.
{\displaystyle E_{0}={\frac {1}{|X|}}{\mathsf {J}}_{|X|\times |X|}.}
로 놓는다. 여기서
J
|
X
|
×
|
X
|
{\displaystyle {\mathsf {J}}_{|X|\times |X|}}
는 모든 성분이 1인
|
X
|
×
|
X
|
{\displaystyle |X|\times |X|}
정사각 행렬 (즉, 아다마르 곱 의 항등원)이다. 이는 결합 도식의 공리에 따라 보스-메스너 대수의 원소이며, 0이 아닌 고윳값이 1개 밖에 없는 멱영원이므로 위 분해에 항상 등장한다.
특히,
E
a
{\displaystyle E_{a}}
를
D
i
{\displaystyle D_{i}}
로 전개하였을 때의 계수
|
X
|
E
a
=
∑
i
=
0
n
Q
a
i
D
j
{\displaystyle |X|E_{a}=\sum _{i=0}^{n}Q_{ai}D_{j}}
를 정의할 수 있다.
가환 결합 도식
X
{\displaystyle X}
의 경우, 최소 멱등원의 수는
|
X
|
=
n
{\displaystyle |X|=n}
와 같으며, 멱영원 들
(
E
a
)
0
≤
a
≤
n
{\displaystyle (E_{a})_{0\leq a\leq n}}
은 보스-메스너 대수
A
{\displaystyle {\mathcal {A}}}
의 기저 를 이룬다. 이에 따라, 다음을 정의할 수 있다.
D
i
=
∑
a
=
0
n
P
i
,
a
E
a
{\displaystyle D_{i}=\sum _{a=0}^{n}P_{i,a}E_{a}}
또한,
D
i
{\displaystyle D_{i}}
들은 모두 아다마르 곱 에 대하여 닫혀 있으므로,
E
a
{\displaystyle E_{a}}
들의 아다마르 곱 에 대한 구조 상수
E
a
◯
E
b
=
q
a
b
c
E
c
{\displaystyle E_{a}\bigcirc E_{b}=q_{ab}^{c}E_{c}}
를 정의할 수 있다. (아다마르 곱은 교환 법칙 을 따르므로
q
a
b
c
=
q
b
a
c
{\displaystyle q_{ab}^{c}=q_{ba}^{c}}
이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쌍대성이 존재한다.
이항 연산
아다마르 곱
◯
{\displaystyle \bigcirc }
행렬의 곱
기저
D
i
{\displaystyle D_{i}}
E
a
{\displaystyle E_{a}}
기저의 직교성
D
i
◯
D
j
=
δ
i
j
D
i
{\displaystyle D_{i}\bigcirc D_{j}=\delta _{ij}D_{i}}
E
a
E
b
=
δ
a
b
E
a
{\displaystyle E_{a}E_{b}=\delta _{ab}E_{a}}
멱등원 조건
D
i
{\displaystyle D_{i}}
의 모든 성분은 0 또는 1 (아다마르 곱 의 멱등원 )
E
a
{\displaystyle E_{a}}
의 모든 고윳값 은 0 또는 1 (행렬곱의 멱등원 )
항등원
D
0
=
1
n
×
n
{\displaystyle D_{0}=1_{n\times n}}
E
0
=
J
n
×
n
/
|
X
|
{\displaystyle E_{0}={\mathsf {J}}_{n\times n}/|X|}
기저 원소의 쌍대성
D
ı
¯
=
D
i
⊤
{\displaystyle D_{\bar {\imath }}=D_{i}^{\top }}
E
a
¯
=
E
a
⊤
=
E
¯
a
{\displaystyle E_{\bar {a}}=E_{a}^{\top }={\bar {E}}_{a}}
(각 성분의 복소켤레 )
기저의 합
∑
i
D
i
=
J
|
X
|
×
|
X
|
{\displaystyle \textstyle \sum _{i}D_{i}={\mathsf {J}}_{|X|\times |X|}}
∑
a
E
a
=
1
|
X
|
×
|
X
|
{\displaystyle \textstyle \sum _{a}E_{a}=1_{|X|\times |X|}}
차수
v
i
=
{
y
∈
X
:
x
∼
i
y
}
(
∀
x
∈
X
)
{\displaystyle v_{i}=\{y\in X\colon x\sim _{i}y\}\;(\forall x\in X)}
m
a
=
dim
C
im
E
a
{\displaystyle m_{a}=\dim _{\mathbb {C} }\operatorname {im} E_{a}}
차수의 합
∑
i
v
i
=
|
X
|
{\displaystyle \textstyle \sum _{i}v_{i}=|X|}
∑
a
m
a
=
|
X
|
{\displaystyle \textstyle \sum _{a}m_{a}=|X|}
구조 상수
D
i
D
j
=
p
i
j
k
D
k
{\displaystyle D_{i}D_{j}=p_{ij}^{k}D_{k}}
|
X
|
E
a
◯
E
b
=
q
a
b
c
E
c
{\displaystyle |X|E_{a}\bigcirc E_{b}=q_{ab}^{c}E_{c}}
기저 변환
D
i
=
∑
a
=
0
n
P
i
a
E
a
{\displaystyle \textstyle D_{i}=\sum _{a=0}^{n}P_{ia}E_{a}}
E
a
=
∑
i
=
0
n
Q
a
i
D
i
{\displaystyle \textstyle E_{a}=\sum _{i=0}^{n}Q_{ai}D_{i}}
이 표에서, 배경색이 노란 칸은 가환 결합 도식일 경우에만 정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만약 두 결합 도식
X
{\displaystyle X}
,
Y
{\displaystyle Y}
의 복소수 계수 보스-메스너 대수
A
X
{\displaystyle {\mathcal {A}}_{X}}
,
A
Y
{\displaystyle {\mathcal {A}}_{Y}}
가 각각
(
A
X
,
⋅
,
◯
,
(
D
i
)
i
)
≅
(
A
Y
,
◯
,
⋅
,
(
E
a
)
a
)
{\displaystyle ({\mathcal {A}}_{X},\cdot ,\bigcirc ,(D_{i})_{i})\cong ({\mathcal {A}}_{Y},\bigcirc ,\cdot ,(E_{a})_{a})}
라면, 서로 쌍대 (영어 : dual )라고 한다. 즉, 반선형 변환(영어 : antilinear map )
f
:
A
X
→
A
Y
{\displaystyle f\colon {\mathcal {A}}_{X}\to {\mathcal {A}}_{Y}}
f
(
λ
M
)
=
λ
¯
f
(
M
)
(
λ
∈
C
,
M
∈
A
X
)
{\displaystyle f(\lambda M)={\bar {\lambda }}f(M)\qquad (\lambda \in \mathbb {C} ,\;M\in {\mathcal {A}}_{X})}
f
(
M
N
)
=
f
(
M
)
◯
f
(
N
)
{\displaystyle f(MN)=f(M)\bigcirc f(N)}
f
(
M
◯
N
)
=
f
(
M
)
f
(
N
)
{\displaystyle f(M\bigcirc N)=f(M)f(N)}
를 만족시킬 경우, 이들이 서로 쌍대라고 한다.
아다마르 곱 은 항상 교환 법칙 을 따르므로, 쌍대성은 오직 두 가환 결합 도식 사이에만 존재할 수 있다.[ 5]
특히, 해밍 결합 도식 은 스스로의 쌍대이다.[ 3] :2482, Example 1 (continued)
다음은
n
=
3
{\displaystyle n=3}
인 대칭 결합 도식의 한 예이다. 여기서
X
=
{
A
,
B
,
C
,
D
,
E
,
F
}
{\displaystyle X=\{{\mathsf {A}},{\mathsf {B}},{\mathsf {C}},{\mathsf {D}},{\mathsf {E}},{\mathsf {F}}\}}
이다.
A
B
C
D
E
F
A
0
1
1
2
3
3
B
1
0
1
3
2
3
C
1
1
0
3
3
2
D
2
3
3
0
1
1
E
3
2
3
1
0
1
F
3
3
2
1
1
0
그 구조 상수는 다음과 같다.
1
=
p
00
0
=
p
01
1
=
p
02
2
=
p
03
3
=
p
11
1
=
p
23
1
=
p
33
1
=
p
22
2
=
p
12
3
=
p
13
3
{\displaystyle 1=p_{00}^{0}=p_{01}^{1}=p_{02}^{2}=p_{03}^{3}=p_{11}^{1}=p_{23}^{1}=p_{33}^{1}=p_{22}^{2}=p_{12}^{3}=p_{13}^{3}}
2
=
p
11
0
=
p
33
0
=
p
13
2
{\displaystyle 2=p_{11}^{0}=p_{33}^{0}=p_{13}^{2}}
여기서
p
i
j
k
{\displaystyle p_{ij}^{k}}
가 수록되었다면
p
j
i
k
{\displaystyle p_{ji}^{k}}
는 생략하였으며, 수록되지 않은 구조 상수는 모두 0이다.
크기가 2 이상인 임의의 유한 집합
X
{\displaystyle X}
위에
R
0
=
{
(
x
,
x
)
:
x
∈
X
}
{\displaystyle R_{0}=\{(x,x)\colon x\in X\}}
R
1
=
X
×
X
∖
R
0
{\displaystyle R_{1}=X\times X\setminus R_{0}}
R
=
{
R
0
,
R
1
}
{\displaystyle {\mathcal {R}}=\{R_{0},R_{1}\}}
을 정의하면,
(
X
,
2
,
R
)
{\displaystyle (X,2,{\mathcal {R}})}
는 결합 도식을 이루며, 이를 자명한 결합 도식 (自明-結合圖式, 영어 : trivial association scheme )이라고 한다.[ 6] :§1.1 그 구조 상수는 다음과 같다.
p
00
0
=
p
01
1
=
p
10
1
=
1
{\displaystyle p_{00}^{0}=p_{01}^{1}=p_{10}^{1}=1}
p
00
1
=
p
01
0
=
p
10
0
=
0
{\displaystyle p_{00}^{1}=p_{01}^{0}=p_{10}^{0}=0}
p
11
0
=
|
X
|
−
1
{\displaystyle p_{11}^{0}=|X|-1}
p
11
1
=
|
X
|
−
2
{\displaystyle p_{11}^{1}=|X|-2}
이는 사실
n
=
1
{\displaystyle n=1}
인 해밍 결합 도식 과 같다.
임의의 유한 집합
X
{\displaystyle X}
위에,
R
=
{
{
(
x
,
y
)
}
:
x
,
y
∈
X
}
{\displaystyle {\mathcal {R}}=\{\{(x,y)\}\colon x,y\in X\}}
를 정의하면,
(
X
,
R
)
{\displaystyle (X,{\mathcal {R}})}
역시 결합 도식을 이룬다. 이를 이산 결합 도식 (離散結合圖式, 영어 : discrete association scheme )이라고 한다.[ 6] :§1.1 그러나
|
X
|
≥
2
{\displaystyle |X|\geq 2}
일 경우 이는 균등 결합 도식이 아니다.
크기 1의 결합 도식은 유일하며, 이는 대칭 결합 도식이다.
크기 2의 결합 도식은 다음 두 가지가 있다.
(가)는 자명한 결합 도식이며, (나)는 이산 결합 도식이다. (가)는 대칭 결합 도식이지만, (나)는 균등 결합 도식이 아니다.
주어진 집합
X
{\displaystyle X}
위의, 특별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결합 도식의 수는 다음과 같다.[ 6] :Table 1
|
X
|
{\displaystyle |X|}
균등 결합 도식의 수 (OEIS 의 수열 57495 )
대칭 결합 도식의 수
1
1
1
2
1
1
3
2
1
4
4
3
5
3
2
6
8
4
7
4
2
8
21
10
9
12
6
10
13
8
11
4
2
12
59
21
임의의 곱집합
X
=
F
n
{\displaystyle X=F^{n}}
위에, 두 벡터 사이의 해밍 거리 가
0
,
1
,
…
,
n
{\displaystyle 0,1,\dotsc ,n}
인 것을 각각 이항 관계 로 삼으면, 이는 결합 도식을 이룬다. 이를 해밍 결합 도식 이라고 한다.
특히,
F
=
{
0
,
1
}
{\displaystyle F=\{0,1\}}
일 때, 주어진 해밍 무게 의 벡터들만을 취한 부분 결합 도식을 존슨 결합 도식 이라고 한다.
유한군
G
{\displaystyle G}
의, 유한 집합
X
{\displaystyle X}
위의 왼쪽 정추이적 작용 이 주어졌다고 하자. (특히,
|
G
|
=
|
X
|
{\displaystyle |G|=|X|}
이다.) 그렇다면,
n
=
|
G
|
{\displaystyle n=|G|}
R
=
{
{
(
x
,
g
x
)
:
x
∈
X
}
:
g
∈
G
}
{\displaystyle {\mathcal {R}}=\{\{(x,gx)\colon x\in X\}\colon g\in G\}}
를 정의하면,
(
X
,
n
,
R
)
{\displaystyle (X,n,{\mathcal {R}})}
는 결합 도식을 이루며, 그 구조 상수는
p
g
h
k
=
{
1
g
h
=
k
0
g
h
≠
k
(
g
,
h
,
k
∈
G
)
{\displaystyle p_{gh}^{k}={\begin{cases}1&gh=k\\0&gh\neq k\end{cases}}\qquad (g,h,k\in G)}
이다.
이에 대응하는 보스-메스너 대수는 군환
Z
[
G
]
{\displaystyle \mathbb {Z} [G]}
과 동형이다.
또한,
G
{\displaystyle G}
에 대응하는 결합 도식이 가환 결합 도식일 필요 충분 조건 은
G
{\displaystyle G}
가 아벨 군 인 것이다.
유한군
G
{\displaystyle G}
의, 유한 집합
X
{\displaystyle X}
위의 왼쪽 작용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G
{\displaystyle G}
는
X
2
=
X
×
X
{\displaystyle X^{2}=X\times X}
위에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g
⋅
(
x
,
y
)
=
(
g
⋅
x
,
g
⋅
y
)
(
x
,
y
∈
X
,
g
∈
G
)
{\displaystyle g\cdot (x,y)=(g\cdot x,g\cdot y)\qquad (x,y\in X,\;g\in G)}
그렇다면,
G
{\displaystyle G}
의 작용에 대한 궤도들은
X
2
{\displaystyle X^{2}}
의 분할
X
2
/
G
{\displaystyle X^{2}/G}
을 정의한다.
이 경우,
(
X
,
X
2
/
G
)
{\displaystyle (X,X^{2}/G)}
는 결합 도식을 이룬다.[ 3] :2482, §II.D 또한, 이 결합 도식이 각종 조건을 만족시킬 필요 충분 조건 은 다음과 같다.
결합 도식
군의 작용
올
X
{\displaystyle X}
위의
G
{\displaystyle G}
-작용 의 궤도
균등 결합 도식
G
→
Sym
(
X
)
{\displaystyle G\to \operatorname {Sym} (X)}
가 추이적 작용
대칭 결합 도식
임의의
x
,
y
∈
X
{\displaystyle x,y\in X}
에 대하여,
(
g
⋅
x
,
g
⋅
y
)
=
(
y
,
x
)
{\displaystyle (g\cdot x,g\cdot y)=(y,x)}
가 되는
g
∈
G
{\displaystyle g\in G}
가 존재
자명 결합 도식
G
→
Sym
(
X
)
{\displaystyle G\to \operatorname {Sym} (X)}
가 2-추이적 작용
이산 결합 도식
G
→
Sym
(
X
)
{\displaystyle G\to \operatorname {Sym} (X)}
가 자명한 작용 (즉,
g
⋅
x
=
x
∀
g
∈
G
,
x
∈
X
{\displaystyle g\cdot x=x\forall g\in G,\;x\in X}
)
1952년에 라지 찬드라 보스 와 시마모토(T. Shimamoto)가 블록 설계 의 이론에 대한 응용을 위해 결합 도식의 개념 및 용어를 도입하였다.[ 7] 보스와 시마모토의 논문에서, “결합 도식”(영어 : association scheme )이라는 용어는 대칭 결합 대수를 뜻했다.
1959년에 라지 찬드라 보스 와 데일 마시 메스너(영어 : Dale Marsh Mesner )는 보스-메스너 대수를 도입하였다.[ 8]
이후 도널드 고든 히그먼(영어 : Donald Gordon Higman , 1928~2006)이 1970년에 군론 에서의 응용을 위하여 본 문서의 결합 도식과 동치인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히그먼은 이 개념을 “일관 구조”(영어 : coherent configuration )라고 불렀다.[ 9] :6, §3
↑ 가 나 다 라 마 Bailey, Rosemary Anne (2004). 《Association schemes: designed experiments, algebra and combinatorics》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 :10.1017/CBO9780511610882 . ISBN 978-0-521-82446-0 . MR 2047311 .
↑ 가 나 다 Zieschang, Paul-Hermann (2005). 《Theory of association schemes》. Springer Monographs in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doi :10.1007/3-540-30593-9 . ISBN 978-3-540-26136-0 . ISSN 1439-7382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Delsarte, Philippe; Levenshtein, Vladimir Iosifovich (1998년 10월). “Association schemes and coding theory” .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영어) 44 (6): 2477–2504. doi :10.1109/18.720545 . ISSN 0018-9448 .
↑ Seidel, Johan Jacob (1991). “Introduction to association schemes” . 《Séminaire Lotharingien de Combinatoire》 (영어) 26 : B26g. ISSN 1286-4889 . Zbl 0981.05535 .
↑ Neumaier, Arnold (1989년 3월). “Duality in coherent configurations” . 《Combinatorica》 (영어) 9 (1): 59–67. doi :10.1007/BF02122684 . ISSN 0209-9683 . Zbl 0673.05015 . 2004년 11월 8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Cameron, Peter J. 〈Coherent configurations, association schemes and permutation groups〉 (PDF) . Ivanov, A. A.; Liebeck, M. W.; Saxl, J. 《Groups, combinatorics and geometry. Durham 2001》 (영어). World Scientific. 55–71쪽. doi :10.1142/9789812564481_0004 . ISBN 978-981-238-312-9 . Zbl 1022.05085 .
↑ Bose, Raj Chandra ; Shimamoto, T. (1952).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partially balanced incomplete block designs with two associate classe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영어) 47 : 151–184. doi :10.1080/01621459.1952.10501161 . Zbl 0048.11603 .
↑ Bose, Raj Chandra ; Mesner, Dale Marsh (1959). “On linear associative algebras corresponding to association schemes of partially balanced designs”. 《Annals of Mathematical Statistics》 (영어) 30 (1): 21–38. doi :10.1214/aoms/1177706356 . ISSN 0003-4851 . JSTOR 2237117 . MR 102157 . Zbl 0089.15002 .
↑ Higman, Donald Gordon (1970). “Coherent configurations Ⅰ” . 《Rendiconti del Seminario Matematico della Università di Padova》 (영어) 44 : 1–25. MR 325420 . Zbl 0279.05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