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1TV 대하 드라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BS 1TV 대하드라마에서 넘어옴)

KBS 1TV 대하 드라마KBS 1TV에서 매주 토요일부터 일요일에 방송되었던 TV 드라마였다.

역사 드라마 형식으로 방송되었다.

1994년 4월 막을 내린 《먼동》 이후 1차 중단[1]되었으며, 이후 1995년 8월 첫 회가 나간 《김구》로 재개되었다. 하지만 이 작품 이후로는 대부분 매주 토요일부터 일요일 오후 9시 50분에 방영되었으며 2002년 6월 주5일제에 맞춰 주말 《KBS 뉴스 9》가 45분에서 30분으로 편성이 축소됨에 따라 오후 10시 10분으로 이동했다[2]. 이로 인해 시청률이 갈수록 떨어지자 2007년 봄 개편부터 오후 9시 40분으로 돌아왔다. 이후 2009년 《천추태후》가 끝나고 재정난으로 2차 중단되었다가[3] 2010년 재개하였다. 2015년 2월 5일 《징비록》의 제작 발표회에서 조대현 사장은 재정 적자를 언급한 뒤 "《징비록》도 사실 《정도전》에 바로 이어서 해야 하는데 재정 때문에 반년을 건너뛰고 시작한다. 금년부터는 대하 드라마를 쉬지 않고 하겠다"고 말했다.[4] 하지만 《징비록》이 끝난 후 후속 작품이 바로 이어지지 않고 5개월 여 만인 2016년 1월 2일 《장영실》이 첫 방송되었으며 이후 이 드라마가 종영되면서 낮은 시청률과 제작비 문제로 인해 3차 중단했다가 2021년 12월 11일부터 《태종 이방원》으로 5년 만에 재개하여 방영하였다.

방송 시간[편집]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방송 분량
KBS 1TV 1981년 1월 5일 ~ 1981년 1월 19일 매주 월요일 저녁 8시 10분 ~ 밤 9시 50분
1981년 1월 26일 ~ 1981년 1월 19일 매주 월요일 저녁 8시 ~ 밤 9시 60분
1981년 2월 2일 매주 월요일 밤 10시 10분 ~ 11시 10분
1981년 2월 9일 매주 월요일 밤 9시 40분 ~ 10시 40분
1981년 2월 23일
1981년 9월 7일 ~ 1981년 12월 14일
1981년 2월 16일 매주 월요일 밤 10시 45분 ~ 11시 45분
1981년 3월 2일 매주 월요일 밤 11시 50분 ~ 12시 50분
1981년 3월 9일 ~ 1981년 3월 30일 매주 월요일 밤 9시 45분 ~ 10시 45분
1981년 4월 6일 매주 월요일 밤 9시 45분 ~ 10시 40분 55분
1981년 4월 13일 ~ 1981년 8월 31일 매주 월요일 밤 9시 40분 ~ 10시 40분 60분
1981년 12월 28일 매주 월요일 밤 9시 40분 ~ 10시 50분 70분
1982년 1월 10일 ~ 1982년 4월 4일 매주 일요일 저녁 8시 ~ 밤 9시 60분
1983년 1월 9일 ~ 1987년 11월 8일
1987년 11월 22일 ~ 1988년 5월 1일
1992년 10월 11일 ~ 1993년 3월 28일
1982년 4월 11일 ~ 1982년 12월 19일 매주 일요일 저녁 7시 50분 ~ 밤 9시 70분
1982년 12월 26일 매주 일요일 저녁 6시 ~ 밤 9시 180분
1983년 1월 2일 매주 일요일 저녁 7시 ~ 밤 9시 120분
1987년 11월 15일 ~ 1982년 4월 4일 매주 일요일 저녁 8시 10분 ~ 밤 9시 10분 60분
1988년 5월 8일 ~ 1989년 4월 16일 매주 일요일 밤 9시 20분 ~ 10시 40분 80분
1989년 4월 23일 ~ 1990년 7월 15일 매주 일요일 밤 9시 20분 ~ 10시 30분 70분
1990년 7월 22일 ~ 1990년 9월 9일 매주 일요일 밤 9시 30분 ~ 10시 40분 70분
1990년 9월 30일 ~ 1990년 12월 16일
1990년 9월 16일 매주 일요일 밤 9시 35분 ~ 11시 15분 100분
1990년 9월 23일 매주 일요일 밤 10시 ~ 11시 10분 70분
1991년 1월 13일 ~ 1991년 5월 5일 매주 일요일 밤 9시 30분 ~ 10시 30분 60분
1991년 5월 25일 ~ 1991년 10월 5일 매주 토요일 밤 9시 30분 ~ 10시 30분
1993년 5월 1일 ~ 1994년 4월 16일
1991년 10월 12일 ~ 1992년 3월 28일 매주 토요일 밤 9시 45분 ~ 10시 45분
1992년 4월 12일 ~ 1992년 10월 4일 매주 일요일 저녁 7시 50분 ~ 8시 50분
1993년 4월 3일 매주 토요일 밤 9시 40분 ~ 10시 30분 50분
1993년 4월 10일 매주 토요일 밤 9시 40분 ~ 10시 40분 60분
1993년 4월 24일
1993년 4월 17일 매주 토요일 밤 9시 40분 ~ 11시 10분 90분
1995년 8월 5일 ~ 1995년 9월 23일 매주 주말 밤 9시 50분 ~ 10시 50분 60분
1995년 10월 28일 ~ 1996년 3월 3일 매주 주말 밤 9시 40분 ~ 10시 40분
2021년 12월 11일 ~ 2021년 12월 12일
1996년 3월 9일 ~ 1996년 3월 10일 매주 토요일 밤 9시 45분 ~ 10시 45분
매주 일요일 밤 10시 40분 ~ 11시 40분
1996년 3월 16일 ~ 1996년 3월 17일 매주 주말 밤 9시 45분 ~ 10시 45분
매주 일요일 밤 9시 45분 ~ 10시 40분 55분
1996년 3월 23일 ~ 1998년 10월 11일 매주 주말 밤 9시 45분 ~ 10시 45분 60분
1998년 10월 17일 ~ 1999년 1월 31일 매주 주말 밤 9시 45분 ~ 10시 35분 50분
1999년 9월 18일 ~ 1999년 12월 19일
2000년 5월 6일 ~ 2003년 6월 22일
1999년 2월 6일 ~ 1999년 5월 22일 매주 주말 밤 9시 50분 ~ 10시 40분
1999년 12월 25일 ~ 2000년 4월 29일
1999년 5월 29일 ~ 1999년 9월 12일 매주 주말 밤 9시 40분 ~ 10시 30분
2007년 4월 28일 ~ 2008년 3월 30일
2010년 11월 6일 ~ 2012년 4월 29일
2012년 9월 8일 ~ 2013년 6월 9일
2014년 1월 4일 ~ 2014년 5월 18일
2014년 6월 7일 ~ 2014년 6월 29일
2015년 2월 14일 ~ 2015년 8월 2일
2016년 1월 2일 ~ 2016년 3월 26일
2021년 12월 18일 ~ 2021년 12월 26일
2022년 1월 8일 ~ 2022년 2월 27일
2022년 3월 12일 ~ 2022년 4월 24일
2003년 6월 28일 ~ 2004년 8월 8일 매주 주말 밤 10시 10분 ~ 11시
2004년 8월 14일 ~ 2004년 8월 15일 매주 토요일 밤 10시 10분 ~ 11시
매주 일요일 밤 10시 10분 ~ 11시 20분 70분
2004년 9월 4일 ~ 2004년 10월 31일 매주 주말 밤 10시 ~ 10시 50분 50분
2004년 11월 6일 ~ 2007년 4월 22일 매주 주말 밤 9시 30분 ~ 10시 20분
2014년 5월 24일 ~ 2014년 6월 1일
2022년 1월 1일 매주 토요일 밤 10시 ~ 10시 50분
2022년 3월 5일 ~ 2022년 3월 6일 매주 토요일 밤 9시 50분 ~ 10시 40분
매주 일요일 밤 10시 ~ 10시 50분
2022년 4월 30일 ~ 2022년 5월 1일 매주 토요일 밤 9시 40분 ~ 10시 30분
매주 일요일 밤 9시 40분 ~ 10시 35분 55분
KBS 2TV 2008년 4월 5일 ~ 2008년 11월 16일 매주 주말 밤 9시 5분 ~ 10시 5분 60분
2009년 1월 3일 ~ 2009년 1월 4일 매주 주말 밤 10시 15분 ~ 11시 30분 75분
2009년 1월 10일 ~ 2009년 1월 11일 매주 주말 밤 10시 15분 ~ 11시 25분 70분
2009년 1월 17일 ~ 2009년 1월 18일 매주 토요일 밤 10시 ~ 11시 25분 85분
매주 토요일 밤 10시 15분 ~ 11시 25분 70분
2009년 1월 24일 ~ 2009년 1월 25일 매주 토요일 밤 10시 ~ 11시 60분
매주 토요일 밤 10시 15분 ~ 11시 15분
2009년 1월 31일 ~ 2009년 2월 22일 매주 주말 밤 10시 15분 ~ 11시 15분
2009년 2월 28일 ~ 2009년 9월 27일 매주 주말 밤 10시 15분 ~ 11시 20분 65분

작품 리스트[편집]

  • 아래의 텔레비전 드라마 중 2002년 11월 이후에 시청 가능 연령을 표시하는 드라마 등급 제도를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 2017년 3월 1일부터 TV 프로그램 등급 표시 외에 주제, 폭력성, 선정성, 언어, 모방 위험 등 분류 사유 표시를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1980년대[편집]

- 제목 방영일
(첫방/종방)
총방영
횟수
원작자 극본 주인공 시청률 비고
역사인물 배우 최고 평균
1 대명 1981년 1월 5일 49회 - 이철향 효종 김흥기 - -
1981년 12월 28일
2 풍운 1982년 1월 10일 49회 유주현 신봉승 흥선대원군 이순재 - -
1982년 12월 26일
3 개국 1983년 1월 2일 49회 이태원 이은성 이성계 임동진 - -
1983년 12월 18일
4 독립문 1984년 1월 1일 50회 - 이철향 안영복 임혁 - - 가상인물 사극
1984년 12월 30일 배정자 정윤희
5 새벽 1985년 2월 17일 46회 - 김교식 이승만 신구 - - 작가가 도중에 변경
1985년 12월 29일 오재호 김구 이치우
6 노다지 1986년 10월 25일 64회 선우휘 박병우 오성희 한혜숙 - - 가상인물 사극
1987년 5월 31일
7 이화 1987년 6월 6일 44회 윌리엄 아서 노블 김항명 이화 김소연 - - 가상인물 사극
1987년 10월 18일
8 토지 1987년 10월 24일 103회 박경리 김원석 최서희 최수지 - - 가상인물 사극
1989년 8월 6일
9 역사는 흐른다 1989년 9월 3일 54회 한무숙 박병우 박옥련 장미희 - - 가상인물 사극
1990년 9월 9일 이규직 유인촌

1990년대[편집]

- 제목 방영일
(첫방/종방)
총방영
횟수
원작자 극본 주인공 시청률 비고
역사인물 배우 최고 평균
10 여명의 그날 1990년 9월 16일 13회 - 김교식 이승만 신구 - -
1990년 12월 16일 김구 이영후
11 왕도 1991년 1월 6일 34회 유현종 김항명 홍국영 김영철 - -
1991년 10월 5일
12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1991년 10월 12일 24회 유안진 이철향 심씨 신혜수 - - 가상인물 사극
1992년 3월 28일 유석우 정애리
13 삼국기 1992년 4월 12일 50회 이남교 유현종 김유신 서인석 - -
계백 유동근
1993년 4월 17일 연개소문 조경환
14 먼동 1993년 4월 24일 39회 홍성원 김항명 송보경 하희라 - - 가상인물 사극
1994년 4월 16일
15 김구 1995년 8월 5일 16회 - 이봉원 김구 조상건 - -
홍승연
1995년 9월 24일 정경아 김상중
16 찬란한 여명 1994년 10월 29일 100회 신봉승 유홍기 이정길 - -
1995년 11월 25일 이동인 김갑수
17 용의 눈물 1996년 11월 24일 159회 박종화 이환경 태조 이성계 김무생 49.6% -
1998년 5월 31일 태종 이방원 유동근
18 왕과 비 1998년 6월 6일 186회 - 정하연 세조 임동진 44.0% -
2000년 3월 26일 인수대비 채시라

2000년대[편집]

- 제목 방영일
(첫방/종방)
총방영
횟수
원작자 극본 주인공 시청률 비고
역사인물 배우 최고 평균
19 태조 왕건 2000년 4월 1일 200회 이환경 왕건 최수종 - -
궁예 김영철
2002년 2월 24일 견훤 서인석
20 제국의 아침 2002년 3월 2일 94회 - 이환경 광종 김상중 - -
2003년 1월 26일
21 무인시대 2002년 2월 8일 158회 - 유동윤 이의방 서인석 - - -
정중부 김흥기
경대승 박용우
2004년 8월 15일 이의민 이덕화
최충헌 김갑수
22 불멸의 이순신 2004년 9월 4일 104회 김훈 윤선주 이순신 김명민 33.1% 22.0%
박영숙
2005년 8월 26일 김탁환 윤영수
장기창
23 서울 1945 2006년 1월 7일 71회 - 정성희 김해경 한은정 17.9%
(제44회)
12.9% [5]
최운혁 류수영
2006년 9월 10일 이한호 이동우 김호진
문석경 소유진
24 대조영 2006년 9월 16일 134회 유현종 장영철 대조영 최수종 36.8%
(제130회)
26.9%
2007년 12월 23일
25 대왕 세종 2008년 1월 5일 100회 - 윤선주 세종 김상경 23.0%
(제2회)
15.3% [6]
2008년 11월 16일 김태희
26 천추태후 2009년 1월 3일 78회 - 손영목 천추태후 채시라 23.1%
(제2회)
15.6% [7]
이상민
2009년 9월 27일 강영란

2010년대[편집]

# 제목 방영일
(시작/종영)
총 횟수 원작자 극본 주인공 시청률 비고
역사인물 배우 최고 평균
27 근초고왕 2010년 11월 6일 60회 - 정성희
유숭열
근초고왕 감우성 12.9%
(제30회)
(제34회)
11.0%
2011년 5월 29일
28 광개토태왕 2011년 6월 4일 92회 - 조명주
장기창
최진영
김주
담덕 이태곤 20.9%
(제45회)
16.8% [8]
2012년 4월 29일
29 대왕의 꿈 2012년 9월 8일 70회 - 유동윤
김선덕
김춘추
김유신
최수종
김유석
13.9%
(제13회)
(제25회)
11.2% [9]
2013년 6월 9일
30 정도전 2014년 1월 4일 50회 - 정현민 정도전 조재현 19.8%
(제36회)
15.8% [10]
2014년 6월 29일
31 징비록 2015년 2월 14일 50회 류성룡 정형수
정지연
류성룡 김상중 13.8%
(제22회)
-
[11]
2015년 8월 2일
32 장영실 2016년 1월 2일 24회 - 이명희
마창준
장영실 송일국 14.1%
(제7회)
(제8회)
11.6% [12]
2016년 3월 26일

2020년대[편집]

# 제목 방영일
(시작/종영)
총 횟수 원작자 극본 주인공 시청률 비고
역사인물 배우 최고 평균
33 태종 이방원 2021년 12월 11일~ 2022년 5월 1일 32회 - 이정우 이방원 주상욱 11.7%

(제28회)

5.3%

(제7회)

[13]

각주[편집]

  1. “실존 인물 감동적 삶 드라마로 KBS 「인간극장」봄 개편 때 선봬”. 경향신문. 1994년 1월 29일. 
  2. “KBS1 주말 대하사극 ‘불멸의 이순신’,뉴스 시간대 잠식 편성 놓고 ‘고심’”. 파이낸셜뉴스. 2004년 8월 10일. 
  3. 이현아 (2009년 8월 6일). “재정악화 KBS, 대하사극 당분간 '스톱'. 스포츠한국. 
  4. 조대현 KBS 사장 "'징비록'부터 대하드라마 블랙아웃 없앤다"
  5. 가상인물을 주인공으로 하는 대하드라마.
  6. 방영중 1TV에서 2TV로 이동.
  7. 2TV에서 방송됨.
  8. 종영 이후 제작 완성도와 런던올림픽으로 인하여 9월로 방영을 미룸.
  9. 종영 이후 정도전이 방영할 때 까지 무기한 제작 중단됨
  10. 정도전부터 1년에 1작품만 제작하는 방식으로 방영됨.
  11. 제48회 시청률의 오류로 인하여 평균 시청률의 미산출. 오류 된 48회의 시청률은 전국 기준 7.7%이며, 오류된 시청률을 포함한 평균시청률은 11.2%가 된다.
  12. 종영 이후 무기한 제작중단.
  13. 원래는 3월 말에 종영 예정이였으나 말 학대 사건과 베이징 동계 올림픽 편성으로 인한 결방으로 5월 1일 종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