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식적 스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수기하학에서 형식적 스킴(形式的scheme, 영어: formal scheme)은 스스로의 ‘무한소 근방’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스킴의 개념의 일반화이다.[1]:190–200, §Ⅱ.9

정의[편집]

아핀 형식적 스킴[편집]

뇌터 가환환 아이디얼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완비화

을 정의할 수 있다. 즉, 다음과 같은 환 준동형들이 존재한다.

이 경우, 환의 스펙트럼을 취하자.

를 제외하면, 나머지는 모두 위상 동형이다. (물론, 이들은 환 달린 공간으로서 서로 다르다.)

이 경우, 환 달린 공간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위상 공간으로서 는 (임의의 에 대하여) 위상 동형이다.
  • 의 구조층은 가환환층의 사영 극한 이다.

이 구성은 에 의존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이는 위상환 구조에만 의존한다. 즉, 와 동형인 위상환을 정의하는 을 사용하더라도 동형인 환 달린 공간을 얻는다.

일반적 형식적 스킴[편집]

형식적 스킴은 임의의 점이 아핀 형식적 스킴과 동형인 열린 근방을 갖는 환 달린 공간이다. (즉, 아핀 형식적 스킴과 형식적 스킴의 관계는 아핀 스킴스킴의 관계, 또는 유클리드 공간매끄러운 다양체의 관계와 같다.)

성질[편집]

뇌터 위상환 은 자연스럽게 기저

를 갖는 위상을 가져 위상환을 이룬다. 이 경우, 의 점들은 소 아이디얼 가운데 열린집합인 것들이다.

또한, 정의에 따라 임의의 열린집합 에 대하여,

이다.

[편집]

자명환[편집]

자명환 은 (이산 공간으로) 위상환을 이루며, 이 위상은 영 아이디얼 으로 정의된다. 그 형식적 스펙트럼은 공집합이다.

형식적 멱급수[편집]

뇌터 가환환 가 주어졌을 때, 다항식환

아이디얼

에 대한 완비화형식적 멱급수환이다.

위상환으로서, 이는 이산 공간으로 간주한 의 가산 무한 곱집합위상 동형이다. 이에 대한 형식적 스펙트럼 을 취할 수 있다.

이제 추가로 라고 가정하자. 그 소 아이디얼들은 이다. 이 가운데 열린집합인 것(즉, 완비화를 정의하는 아이디얼 부분 집합으로 포함하는 것)은 자체 밖에 없다. 즉, 한원소 집합이다. 그 위의 구조층의 단면 대수는 정의에 따라서

이다.

국소 뇌터 스킴[편집]

임의의 가환환 이산 공간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는 영 아이디얼에 대한 완비화로 생각할 수 있다.

만약 가 이산 뇌터 가환환이라면, 그 형식적 스펙트럼은 스펙트럼과 (환 달린 공간으로서) 같다.

보다 일반적으로, 모든 국소 뇌터 스킴은 형식적 스킴을 이룬다.

닫힌 부분 스킴의 완비화[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위상 공간 위에 다음과 같은 가환환층을 부여할 수 있다.[1]:192, §Ⅱ.9

그렇다면 는 형식적 스킴을 이룬다. 이를 근처의 형식적 완비화(영어: formal completion of along )라고 한다.

물론, 이 경우 (즉, )로 놓으면, 원래 스킴 를 얻는다.[1]:Example 9.3.3

역사[편집]

오스카 자리스키가 1949년에 “형식적 정칙 함수”의 개념을 도입하였다.[2][3] (이는 오늘날 형식적 완비화의 구조층의 단면에 해당한다.) 이후 자리스키의 개념을 알렉산더 그로텐디크스킴의 언어로 재정의하여 형식적 스킴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참고 문헌[편집]

  1. Hartshorne, Robin (1977). 《Algebraic geomet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52. Springer-Verlag. doi:10.1007/978-1-4757-3849-0. ISBN 978-0-387-90244-9. ISSN 0072-5285. MR 0463157. Zbl 0367.14001. 
  2. Zariski, Oscar (1949). “A fundamental lemma from the theory of holomorphic functions on an algebraic variety”. 《Annali di Matematica Pura ed Applicata》 (영어) 29: 187–198. MR 0041488. 
  3. Zariski, Oscar (1951). “Theory and applications of holomorphic functions on algebraic varieties over arbitrary ground fields”. Memoir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5. doi:10.1090/memo/0005. MR 0041487. 

외부 링크[편집]